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위반

사건번호:

2008도4488

선고일자:

200807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 전에 선정된 시공자가 같은 법 부칙에 따라 시공자 선정 신고를 하여 수리된 경우, 법 시행 후 다시 시공자 선정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 전에 선정된 시공자가 법 시행 이후 시공자 선정 신고를 하여 불수리처분을 받았다가 행정심판을 청구한 결과 신고가 수리된 사안에서, 다시 시공자 선정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1조, 부칙(2002. 12. 30.) 제7조 제2항,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규칙 부칙(2003. 7. 1.) 제2조 /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1조, 부칙(2002. 12. 30.) 제7조 제2항,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규칙 부칙(2003. 7. 1.) 제2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5도8426 판결(공2008상, 24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송흥섭외 1인 【환송판결】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5도842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2. 12. 30. 법률 제6582호로 제정된 것. 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한다) 부칙(이하 ‘법 부칙’이라 한다) 제7조 제2항은 “조합 설립의 인가를 받은 조합으로서 토지 등 소유자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얻어 시공자를 선정하여 이미 시공계약을 체결한 정비사업 또는 2002년 8월 9일 이전에 토지 등 소유자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얻어 시공자를 선정한 주택재건축사업으로서 이 법 시행일 이후 2월 이내에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시장·군수에게 신고한 경우에는 당해 시공자를 본칙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선정된 시공자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고, 위 조항의 위임을 받은 도시정비법 시행규칙(2003. 7. 1. 건설교통부령 제363호로 제정된 것) 부칙(이하 ‘시행규칙 부칙’이라 한다) 제2조는 “ 법 부칙 제7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법 본칙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시공자로 선정되었음을 인정받고자 하는 자는 법 시행 후 2월 이내에 시공계약서 또는 토지등소유자의 동의서 등 법 부칙 제7조 제2항에 규정된 요건을 갖추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갖추어 시장·군수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록 도시정비법 시행 이전에 종전의 근거법령 등에 따라 총회의 의결을 거쳐 특정 건설업자가 시공자로 선정되었더라도 도시정비법 시행 후에 법 부칙 제7조 제2항에서 규정하는 예외적인 인정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면 종전의 총회에서의 시공자 선정 의결은 그 효력이 없게 되고 따라서 도시정비법의 규정에 따라 다시 시공자 선정의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지만(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5도8426 판결 참조), 법 부칙 제7조 제2항 및 시행규칙 부칙 제2조의 규정에 따라 도시정비법 시행 전에 선정된 시공자가 시장·군수에게 신고하고 이러한 신고가 심사를 거쳐 적법하게 수리되었다면 위 시공자는 도시정비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선정된 시공자로 인정받는 것이므로, 위 신고의 수리처분 자체가 당연무효라거나 행정쟁송절차에 의하여 취소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시 시공자 선정의 절차를 거쳐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시공가계약이 2003. 7. 8. 체결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시공가계약 체결일은 도시정비법 시행일인 2003. 7. 1. 이후이고, 시공자선정은 2002. 8. 9. 이후로서 법 부칙 제7조 제2항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음이 명백하므로, 도시정비법 시행일 이후 2월 이내에 시장·군수에게 신고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삼성물산 주식회사(이하 ‘삼성물산’이라 한다)는 도시정비법 소정의 시공자로 인정받을 수 없고, 따라서 피고인이 새로운 조합 총회의 의결을 거치지 아니하고 삼성물산과 이 사건 시공가계약을 체결한 것은 도시정비법 위반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삼성물산은 도시정비법 시행일 이후 2003. 8. 29. 법 부칙 제7조의 규정에 따라 고양시장에게 시공자선정 신고를 하였다가 2003. 10. 22.경 불수리처분을 받았으나, 이에 불복하여 고양시장을 상대로 행정심판을 청구하여 2004. 4. 2. 위 불수리처분 취소재결을 받았고, 고양시장은 행정심판결과에 따라 2004. 4. 17. 삼성물산의 시공자선정 신고를 수리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삼성물산은 도시정비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선정된 시공자로 인정받는 것이므로, 이 사건 조합으로서는 위 신고의 수리처분 자체가 당연무효라거나 행정쟁송절차에 의하여 취소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총회의결 등 다시 시공자 선정의 절차를 거쳐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피고인이 새로운 시공사 선정의 절차 및 총회의 의결을 거치지 아니하고 이 사건 조합의 조합장으로서 삼성물산과 시공가계약을 체결하였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도시정비법 제85조 제5호를 위반하였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 부분 공소사실에 대하여 유죄를 선고한 것은 법 부칙 제7조 제2항의 시공자 선정 신고의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범한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더 나아가 살펴 볼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영란 이홍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건축 시공사 선정, 동의는 언제까지 받아야 할까?

재건축 시공사를 선정할 때 법에서 정한 기준일 이전에 전체 토지 소유자의 과반 동의를 얻지 못했으면, 나중에 동의를 추가로 받더라도 시공사 선정은 무효입니다.

#재건축#시공사 선정#토지 소유자 과반 동의#무효

민사판례

재개발 시공자 선정, 법 개정 전후 차이점은?

이 판례는 재개발 사업에서 시공자 선정 방식에 대한 법률 개정 전후의 해석과, 조합 설립 후 이전 추진위원회의 시공자 선정 결의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의 적법성 여부를 다룹니다.

#재개발#시공자 선정#법령 해석#소송 요건

생활법률

아파트 재건축, 시공사는 어떻게 선정될까요? (feat. 시공보증)

재건축/재개발 시공사 선정은 경쟁입찰 원칙이나, 유찰되거나 소규모 사업 등 예외적인 경우 수의계약이 가능하며, 시공보증서 확보를 통해 조합원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

#재건축/재개발#시공사 선정#경쟁입찰#수의계약

생활법률

아파트 재개발/재건축 시공사 선정,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재건축·재개발 시공사 선정은 조합(또는 조합 외 주체)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경쟁입찰(또는 수의계약/추천) 방식으로 진행하며, 입찰공고, 현장설명회, 입찰서 접수 및 개봉, 대의원회 의결, 합동홍보설명회, 총회 의결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된다.

#시공사 선정#조합#조합 외(토지등소유자#시장·군수·구청장

민사판례

재개발 시공사 선정, 비리 있으면 무효!

2006년 8월 25일 이전에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은 재개발조합의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건설사가 조합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하여 시공사로 선정되었다면, 설령 총회에서 결의되었다 하더라도 그 결의는 무효이다.

#재개발#시공사 선정#금품 제공#총회 결의 무효

형사판례

재건축 시공사 변경, 언제 처벌할 수 있을까? - 도시정비법 위반과 시공사 변경 시점

재건축 시공사 변경 과정에서 조합 정관을 위반했더라도, 실제로 시공사가 변경된 시점을 기준으로 관련 법 위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재건축#시공사 변경#절차적 하자#사실상 변경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