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08도5364

선고일자:

200809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영업비밀이 담긴 타인의 재물을 절취하여 그 영업비밀을 부정사용한 행위가 절도의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2] 부정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타인의 영업비밀이 담긴 CD를 절취하여 그 영업비밀을 부정사용한 사안에서, 절도죄와 별도로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상 영업비밀부정사용죄가 성립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그 기업에 유용한 영업비밀이 담겨 있는 타인의 재물을 절취한 후 그 영업비밀을 사용하는 경우, 영업비밀의 부정사용행위는 새로운 법익의 침해로 보아야 하므로 위와 같은 부정사용행위가 절도범행의 불가벌적 사후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2] 부정한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타인의 영업비밀이 담긴 CD를 절취하여 그 영업비밀을 부정사용한 사안에서, 절도죄와 별도로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상 영업비밀부정사용죄가 성립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2항, 형법 제329조 / [2]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2항, 제19조 제1항, 형법 제32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정인 담당변호사 이학수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8. 6. 5. 선고 2007노422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기업에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그 기업에 유용한 영업비밀이 담겨 있는 타인의 재물을 절취한 후 그 영업비밀을 사용하는 경우, 영업비밀의 부정사용행위는 새로운 법익의 침해로 보아야 하므로 위와 같은 부정사용행위가 절도범행의 불가벌적 사후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삼원산업의 영업비밀이 담겨 있는 이 사건 단가리스트 CD를 절취한 후 그 CD에 담겨 있는 영업비밀을 부정사용한 피고인의 행위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2항 위반죄에 해당한다고 본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은 그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 판시와 같은 사정들을 종합해 보면, 이 사건 단가리스트 CD에 담긴 자료는 단순한 선박용 엔진부품의 규격, 단가 및 거래처 등에 관한 개별 정보의 나열이 아니라 선박용 엔진부품의 판매업체로서 삼원산업의 영업노하우(know-how)가 집적된 영업비밀에 해당하며, 나아가 피고인에게 부정한 목적이 있었음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는바, 관계 법령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나 영업비밀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양승태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컴퓨터에 저장된 회사 자료, 영업비밀일까?

직원이 퇴사하면서 회사 컴퓨터에 저장된 자료를 가지고 나갔더라도, 회사가 그 자료를 비밀로 관리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면 영업비밀로 인정되지 않는다.

#영업비밀#자료유출#비밀관리#상당한 노력

형사판례

회사 기밀, 함부로 가져가면 절도죄 & 영업비밀보호법 위반!

퇴사하는 직원이 회사의 배합비율, 제조공정, 실험결과 등의 자료를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은 절도죄이면서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에 해당한다. 이러한 자료는 완성되지 않았거나 제3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회사의 경쟁력에 도움이 되는 비밀 정보라면 영업비밀로 보호받는다.

#기밀자료#무단반출#절도죄#부정경쟁방지법

형사판례

영업비밀, 프로그램 저작권, 배임, 절도에 대한 대법원 판결 분석

회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다른 회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하고, 회사 카메라를 무단 반출한 피고인의 행위는 영업비밀 침해, 저작권 침해, 업무상 배임, 절도에 해당한다는 판결.

#영업비밀 침해#저작권 침해#업무상 배임#절도

형사판례

컴퓨터 파일 복사는 절도인가? - 정보 절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해서 가져간 행위는 정보 자체도, 출력된 종이도 절도죄의 대상이 아니므로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컴퓨터 정보 출력물#절도죄 불성립#정보#물건

형사판례

회사 기밀, 외부로 보냈다고 무조건 범죄일까? - 영업비밀 취득의 의미

회사 직원이 이미 알고 있는 회사 영업비밀을 회사 이메일에서 개인 이메일로 옮긴 행위는 '영업비밀 취득'으로 보지 않아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이 아니다.

#영업비밀#취득#이메일#부정경쟁방지법

형사판례

회사 기밀 유출, 죄가 될까? - 영업비밀과 업무상 배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

회사 직원이 회사 자료를 무단으로 반출했을 때, 그 자료가 영업비밀이나 회사의 주요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영업비밀보호법 위반이나 업무상배임죄로 처벌하기 어렵다는 판결.

#자료 무단 반출#영업비밀#업무상배임죄#영업비밀 성립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