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침범

사건번호:

2008도8973

선고일자:

2010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경계침범죄에서 ‘경계’의 의미 및 법률상의 정당한 경계를 침범하는 행위가 있더라도 토지의 사실상의 경계에 대한 인식불능의 결과가 발생하지 않는 한 경계침범죄가 성립하지 아니하는지 여부(적극) [2] 피고인이 피해자 소유의 인접한 토지를 침범하여 나무를 심고 도랑을 파내는 등의 행위를 하였다는 경계침범의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고인과 피해자 소유의 토지는 이전부터 경계구분이 되어 있지 않았고, 피고인의 행위로 새삼스럽게 토지경계에 대한 인식불능의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70조 / [2] 형법 제37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9. 10. 선고 91도856 판결(공1991, 2559),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도1682 판결(공1993상, 492), 대법원 1999. 4. 9. 선고 99도480 판결(공1999상, 949), 대법원 2007. 12. 28. 선고 2007도9181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8. 9. 25. 선고 2008노107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형법」제370조의 경계침범죄는 토지의 경계에 관한 권리관계의 안정을 확보하여 사권을 보호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단순히 경계표를 손괴, 이동 또는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위와 같은 행위나 기타 방법으로 토지의 경계를 인식불능하게 함으로써 비로소 성립된다 할 것인데, 여기에서 말하는 경계는 법률상의 정당한 경계인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종래부터 경계로서 일반적으로 승인되어 왔거나 이해관계인들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존재하는 등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통용되어 오던 사실상의 경계를 의미한다 할 것이므로, 설령 법률상의 정당한 경계를 침범하는 행위가 있었다 하더라도 그로 말미암아 위와 같은 토지의 사실상의 경계에 대한 인식불능의 결과가 발생하지 않는 한 경계침범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 대법원 1991. 9. 10. 선고 91도856 판결,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도168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관계를 토대로, 비록 피고인이 인접한 피해자 소유의 토지를 침범하여 나무를 심고 도랑을 파내는 등의 행위를 하였다 하더라도, 피고인과 피해자 소유의 토지는 이전부터 경계구분이 되어 있지 않았고 피고인의 행위로 인하여 새삼스럽게 토지경계에 대한 인식불능의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없는 이상, 그 판시 2007년 2월 중순경 경계침범의 점은 그 범죄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원심판결의 이유 설시에 다소 적절하지 아니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위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의 결론 자체는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 위반 및 경계침범죄에 관한 법리오해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땅, 네 땅, 경계 분쟁, 어디까지 처벌될까?

땅의 경계를 표시하는 나무를 뽑아내거나 땅을 파서 경계를 흐리게 만드는 행위는, 법적으로 정해진 경계가 아니더라도 오랫동안 사람들이 인정해 온 경계라면 경계 침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경계침범#관습경계#경계표#나무

형사판례

옆집 담벼락, 함부로 연장하면 안 되는 이유

기존 담장의 연장선에 담장을 추가로 설치한 행위는 경계를 명확히 하려는 의도일 뿐, 토지 경계를 알아볼 수 없게 만든 것은 아니므로 경계침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담장#추가설치#경계침범죄#불성립

형사판례

땅 주인끼리 정한 경계, 함부로 넘으면 안 돼요! (경계침범죄)

법적으로 정확한 경계가 아니더라도, 관련된 사람들끼리 합의한 경계를 침범하면 경계침범죄가 성립하며, 그 경계를 표시하는 표식이 일시적인 것이라도 경계침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경계침범죄#일시적 경계표#합의된 경계#형법 제370조

형사판례

옆집 담벼락, 함부로 부수면 안 돼요! 경계침범죄, 알고 계신가요?

단순히 경계표를 손괴하는 것만으로는 경계침범죄가 성립하지 않고, 그 손괴로 인해 토지 경계를 알아볼 수 없게 되어야 한다.

#경계침범죄#경계표#손괴#토지경계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경계 확인 소송까지 해야 하나요?

지적도에 토지 경계가 명확히 나와있는 경우, 옆집이 내 땅을 침범했다면 침범한 부분에 대한 **인도 청구 소송**만으로 충분하며, 별도로 경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은 할 필요가 없다.

#지적도#경계 명확#인도 청구 소송#경계확인 소송 불필요

민사판례

옆집 땅인 줄 몰랐어요! - 내 땅인 줄 알고 점유하면 자주점유?

건물과 함께 대지를 매수할 때, 착오로 인접 토지를 자신의 땅으로 알고 점유했다면 이는 '자주점유'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매매된 대지 면적이 등기부상 면적보다 훨씬 크다면, 매수인이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추정되어 '타주점유'로 판단될 수 있다. 단, 건물 외벽이 경계 역할을 하여 매수인이 초과 면적을 몰랐다면 자주점유로 볼 수 있다.

#자주점유#타주점유#인접토지 점유#건물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