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명령취소

사건번호:

2008두6646

선고일자:

2008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1호에 규정한 ‘허위·과장의 광고’의 의미 및 판단 기준 [2] 아파트의 설계도와 모델하우스에는 온돌마루로 되어있는 거실 바닥을 카달로그에 ‘수입 원목마루’라고 기재한 분양광고가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1호 / [2]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03. 6. 27. 선고 2002두6965 판결(공2003하, 1633), 대법원 2005. 2. 18. 선고 2003두8203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공정거래위원회(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동인 담당변호사 박용규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4. 10. 선고 2007누2220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이 사건 광고에 대한 원고의 책임 여부에 대하여 원심은 그 채택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 신축사업의 사업대행사로서, 단지 형식적으로만 이 사건 광고 문구를 확인하고 광고 대금을 지급했다고 볼 수 없고 적어도 소외 주식회사와 공동으로 광고행위를 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광고행위의 실질적인 책임은 소외 주식회사에 있고 원고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 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 심리미진,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이 사건 광고에 대한 원고의 책임 여부가 쟁점인 이 사건에 있어서, 이 사건 아파트 거실바닥의 시공 잘못의 책임이 소외 주식회사에 있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원심이 특별한 이유 설시를 하지 않았다고 하여 판단 누락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의 설계도서와 모델하우스에는 거실 바닥이 온돌마루로 되어 있는 사정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사실 인정하고 있고, 이는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는 취지로 볼 수 있으므로, 원심에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판단누락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판례는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2. 이 사건 광고가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1호에서 말하는 허위·과장의 광고는 사실과 다르게 광고하거나 사실을 지나치게 부풀려 광고하여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 광고행위로서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광고를 말하고, 광고가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지는 보통의 주의력을 가진 일반 소비자가 당해 광고를 받아들이는 전체적·궁극적 인상을 기준으로 하여 객관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대법원 2003. 6. 27. 선고 2002두6965 판결 참조).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광고는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허위·과장광고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광고가 통상적인 신의칙 또는 상거래 관행에 따른 약간의 과장이나 허위에 해당할 뿐이고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광고가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한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안대희 양창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과장 광고,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 부동산 분양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분양 대행사가 광고를 진행했더라도 분양 회사가 광고 내용을 검토하고 최종 결정했다면 해당 광고는 분양 회사의 광고로 간주됩니다. 또한, 해당 광고가 허위 또는 과장 광고라면 분양 회사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분양광고#대행사#분양회사#책임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 광고, 믿을 수 있을까? 허위·과장 광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

아파트 분양 광고에 허위·과장 내용이 있을 경우, 최초 분양받은 사람이 아닌 중간에 분양권을 산 사람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또한, 분양 광고 내용 중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단순 광고로 간주되어 계약 위반으로 볼 수 없다.

#분양권#허위과장광고#손해배상#분양계약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 허위 광고, 누구 책임일까요?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확정되지 않은 대형할인매장 입점 계획을 사실처럼 광고한 것은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하며, 분양계약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허위 광고로 인한 재산상 손해액을 정확히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이를 고려하여 위자료를 증액할 수 있다.

#아파트 분양#허위 광고#손해배상#위자료 증액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 광고, 허위·과장이면 안 돼요! 그리고 입주 지연 보상은 언제부터?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군부대를 근린공원으로만 표시한 것은 허위·과장 광고이며, 입주 지연 손해배상은 입주 가능 통지를 한 시점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상 입주 예정일이 지나고 실제 입주 가능일까지 발생한다는 판결.

#아파트#입주지연#손해배상#허위광고

민사판례

아파트 허위 광고, 손해배상은 어떻게 될까?

대기업 건설사가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전용면적이 넓을 것처럼 허위 과장 광고를 하여 수분양자에게 정신적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된 사례. 재산상 손해는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아파트#허위광고#손해배상#정신적 손해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계약, 알고 보면 광고 내용도 계약 내용?! 허위·과장 광고는 NO!

아파트 분양 광고는 단순한 유인이지만, 분양계약서에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면 광고 내용 중 일부는 계약 내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분양자는 수분양자에게 공동묘지처럼 중요한 사실을 고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영업양도가 아닌 수탁자 변경의 경우, 신수탁자는 신탁재산 범위 내에서 전수탁자의 책임을 승계합니다.

#분양광고#계약내용#고지의무#수탁자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