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소장각하명령에대한이의

사건번호:

2008마547

선고일자:

20080701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항소장에 인지를 첩부하지 아니하고 소송상 구조신청을 한 데 대하여 구조신청 기각결정이 확정되었으나 다시 소송상 구조신청을 한 경우, 새로운 신청에 대한 기각결정의 확정 여부와는 관계없이 인지를 보정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항소장을 각하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28조, 제40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 1. 25.자 92마1134 결정(공1993상, 1055)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명령】 서울중앙지법 2008. 3. 21.자 2007나26225 명령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항소인이 항소장을 제출하면서 소정의 인지를 첩부하지 아니하고 소송상 구조신청을 한 경우, 소송상 구조신청에 대한 결정이 확정되기 전에 항소장의 인지가 첩부되어 있지 아니함을 이유로 항소장을 각하하여서는 안된다고 할 것이나, 일단 소송상 구조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이 확정된 후 인지 등 보정을 명하고 이를 보정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항소장을 각하하는 것은 정당하고, 처음의 소송상 구조신청에 대한 기각결정이 확정된 후 재차 소송상 구조신청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 구조신청이 이유 있어 받아들여졌다면 모르되 그렇지 아니하는 한 다음의 구조신청에 대한 기각결정의 확정 여부와는 상관없이 항소장을 각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1. 25. 선고 92마1134 결정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은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가단151175 사건의 원고로서 2007. 7. 5. 패소판결을 선고받고 2007. 7. 26. 항소하였는바, 그 항소장에 인지를 첩부하지 아니한 사실, 이에 1심 재판장은 2007. 8. 6. ‘명령이 송달된 날로부터 7일 안에 인지 등을 보정하라’는 인지보정명령을 하였으며, 그 명령이 2007. 8. 9. 재항고인에게 송달된 사실, 재항고인은 2007. 8. 16. 인지첩부의무에 관한 소송구조신청을 하였으나 2007. 8. 21. 신청이 기각되었고, 이에 대하여 2007. 9. 5. 항고하였으나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10. 26.자 2007라894 결정에 의하여 항고가 기각되었고, 송달료 미납으로 국고대납요청을 거쳐 2007. 12. 13.경 위 기각 결정을 재항고인이 수감되어 있던 광주교도소장에게 송달하였으나 이사불명으로 송달되지 아니하자 공시송달을 실시하여 2008. 1. 19. 재항고기간 도과로 위 기각 결정이 확정된 사실, 그 후 항소심 재판장은 2008. 2. 27. 다시 명령이 송달된 날로부터 7일 안에 인지 등을 보정할 것을 명하였고, 그 명령이 2008. 3. 10. 재항고인에게 송달된 사실, 그러자 재항고인은 2008. 3. 17. 다시 인지첩부의무에 관한 소송구조신청(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카구193)을 한 사실, 이에 원심 법원은 2008. 3. 21. 위 소송구조신청을 기각하였고, 같은 날 원심 재판장은 위 인지보정명령에서 정한 기간을 도과하여 이를 보정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이 사건 항소장을 각하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재항고인이 항소장을 제출하면서 소정의 인지를 첩부하지 아니하고 소송상 구조신청을 하여 일단 그 소송상 구조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이 확정된 후 인지 등 보정을 명하고 이를 보정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항소장을 각하하는 것은 정당하다 할 것이고, 거기에 재항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인지보정명령의 효력이나 항소심 재판장의 항소장심사권에 관한 법리오해, 헌법 위반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영란 김황식(주심) 이홍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할 때 인지 납부, 꼭 해야 할까요? 소송구조제도와 인지보정명령에 대한 이야기

항소할 때 인지대신 소송구조를 신청했는데 기각되면, 다시 소송구조를 신청하더라도 인지대를 내지 않으면 항소가 각하될 수 있다.

#소송구조#기각#인지 미납#항소장 각하

민사판례

소송구조 신청 중에는 인지 납부 안 해도 소송 진행 가능!

소송구조(소송비용을 내기 어려운 사람을 위해 국가가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를 신청했는데 기각되었더라도, 그 기각 결정이 확정되기 전에는 인지(소송할 때 내는 수수료)를 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소송을 각하할 수 없다.

#소송구조#인지 미납#각하#확정 전

민사판례

소송구조 신청 중에는 인지대 납부를 기다려야 할까?

소송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사람이 소송구조(법원의 지원)를 신청한 경우, 법원이 그 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인지대(소송을 제기할 때 내는 수수료)를 내지 않았다고 해서 소송을 각하할 수 없다.

#소송구조#인지대#납부유예#소송각하

민사판례

소송할 돈 없어서 도움 요청했는데, 소장부터 퇴짜 맞았다고?!

소송 비용을 감면받기 위해 소송구조를 신청했는데, 아직 결과가 나오기 전에 인지(소송 비용)를 내지 않았다고 소송 자체를 각하해서는 안 된다.

#소송구조#인지미납#소장각하#위법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항소할 때 인지 어떻게 붙여야 할까?

여러 피고가 함께 항소할 때 인지 납부 방식과 효력에 대한 판례입니다. 핵심은 경제적 이익이 겹치는 부분은 가장 큰 금액을 기준으로 한 번만 인지를 내면 되지만, 각자 따로 항소장을 낸 뒤 나중에 하나로 합치는 경우에는 이미 낸 인지를 활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단, 처음부터 인지 없이 항소장을 냈다가 나중에 다른 사람과 함께 인지 붙여서 다시 제출하면 처음 낸 항소장에도 추가 인지가 필요 없습니다.

#공동항소#인지납부#경제적 이익#인지보정

민사판례

항소할 때 인지 안 붙이면 어떻게 될까?

항소할 때 인지(수수료)를 붙이지 않으면 법원이 항소를 각하할 수 있는데, 소송대리인에게 인지 보정 권한이 있으며, 각하명령이 나온 후에는 인지 보정을 해도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항소#인지보정#각하명령#소송대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