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

사건번호:

2008재다502

선고일자:

200902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심리불속행 상고기각 판결에 대해 판단유탈, 대법원판례 위반 등의 사유를 들어 재심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 제10호,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6. 11. 22. 선고 96재다325 판결, 대법원 1997. 5. 7. 선고 96재다479 판결(공1997상, 1701),

판례내용

【원고(재심원고)】 【피고(재심피고)】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8다30741 판결 【주 문】 재심청구를 기각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재심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재심사유를 본다. 원고(재심원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는, 재심대상판결의 원심판결에 대한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이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3호, 제4호, 제5호에 해당하여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재심대상판결이 이를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하면서 상고이유에 대하여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재심청구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3호, 제4호, 제5호에 해당하는 사건을 심리불속행으로 상고기각하였다는 사유는 적법한 재심사유가 되지 아니하고, 재심대상판결이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이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정하는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더 나아가 심리를 하지 아니하고 상고를 기각한 이상, 재심대상판결이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누락하였다거나 종전의 당원 판결에 위반된다고 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대법원 1996. 2. 13. 선고 95재누176 판결, 대법원 1996. 11. 22. 선고 96재다325 판결, 대법원 1997. 2. 25. 선고 96재누197 판결 등 참조). 그러므로 재심청구를 기각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양승태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심리불속행 기각과 재심청구

대법원이 사건을 자세히 심리하지 않고 기각하는 '심리불속행' 제도를 이용해 기각된 판결에 대해서는, 판결에서 중요한 부분을 빠뜨렸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재심#기각#판단누락

민사판례

심리불속행 판결에 대한 재심 청구, 받아들여질까?

대법원이 심리불속행(자세한 이유 설명 없이 상고 기각)으로 판결한 사건이 기존 대법원 판례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대법관 전원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에서 재판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재심#심리불속행#전원합의체#대법원 판례

일반행정판례

심리불속행 상고기각과 재심

대법원이 '심리불속행'으로 상고를 기각한 것이 재심의 사유가 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은 "안 된다"입니다.

#심리불속행#상고기각#재심#재심사유

특허판례

심리불속행 기각과 재심

대법원이 사건을 자세히 심리하지 않고 기각하는 '심리불속행' 판결에 대해서는 '판단 안 한 부분이 있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또한,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재심을 청구해야 합니다.

#심리불속행#재심#기각#판단유탈

민사판례

대법원이 심리를 안 해줬어요! 그래서 재심 청구했는데... 결과는?

대법원이 '심리불속행'으로 상고를 기각한 경우, 판단유탈이나 판례위반을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재심#상고기각#판단유탈

민사판례

심리불속행 판결과 재심, 그리고 새로운 청구

심리불속행으로 상고가 기각된 경우, 확정 시점은 판결 선고일이 아닌 상고인에게 판결문이 송달된 날이며, 재심의 소에서는 새로운 청구를 추가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기각#확정시점#송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