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대금

사건번호:

2009다7762

선고일자:

2009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문서의 작성명의인이 문서에 날인된 인영 부분의 성립을 인정하는 경우, 그 문서 전체의 진정성립이 추정되는지 여부(적극) 및 그 추정력을 번복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02조, 제357조, 제35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8. 9. 27. 선고 85다카1397 판결(공1988, 1315),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1다11406 판결(공2003상, 1141),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6다41204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8. 12. 19. 선고 2008나68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사문서는 본인 또는 대리인의 서명, 날인 또는 무인이 있는 때에는 진정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민사소송법」제358조), 사문서의 작성명의인이 당해 문서에 날인한 인영 부분의 성립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반증으로 그러한 추정이 번복되는 등의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문서 전체에 관한 진정성립이 추정된다고 할 것이고, 이러한 완성문서로서의 진정성립의 추정력을 뒤집으려면 그럴만한 합리적인 이유와 이를 뒷받침할 간접반증 등의 증거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대법원 1988. 9. 27. 선고 85다카1397 판결,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6다41204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제1심 공동피고 1 주식회사가 2006. 3. 2.경 원고에게 작성·교부한 이 사건 레미콘 주문서의 연대보증인란에 피고가 연대보증인으로 서명·날인함으로써 위 물품대금채무를 연대보증하였다는 이유로 피고에 대하여 위 레미콘대금 중 미지급금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해, 이 사건 주문서의 연대보증인란에 피고 명의의 기명·날인이 되어 있는 사실은 인정된다고 하면서도 원심에서의 도원동 주민센터에 대한 사실조회 결과에 비추어 원고 직원인 제1심 증인 소외 1의 증언만으로는 피고가 직접 위 주문서의 연대보증인란에 기명·날인을 하거나 그 기명·날인이 피고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그런데 피고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에 대하여 2006. 12. 7.자 준비서면에서 ‘이 사건 보증서(주문서)는 소외 2가 피고의 인장을 도용하여 피고 몰래 작성하였고 원고도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으므로 위 보증서는 피고에 대하여 효력이 없다’라고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그 주장대로라면 피고는 이 사건 주문서상 자기 명의의 인영의 성립 자체는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인데, 복수의 인장의 보유 및 사용이 특히 이례적인 현상이 아닌 한 원심의 위 사실조회 결과 이 사건 주문서에 날인된 피고 명의의 인영이 동 주민센터에 정식으로 신고·등록된 피고 명의의 인감의 그것과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만으로 달리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위 인영의 성립에 의하여 인정되는 사문서의 진정성립의 추정을 뒤집기 위한 피고의 적극적인 반증이 없는 한 위 주문서상 피고 명의의 연대보증 부분의 진정성립은 추정된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이 사건 소송의 전과정에 걸쳐 출석한 바 없는 피고가 제출한 위 준비서면의 취지가 그 기재와 다르다거나 위 인영의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피고가 위 주문서에 의한 레미콘대금의 지급을 연대보증한 바가 없고 위 주문서는 위조되었다고 하는 점 등에 대한 적극적인 소명 내지 반증을 요구한 다음, 그 여하에 따라 이 사건 주문서상 피고 명의의 연대보증인란의 진정성립 여부를 판단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이, 위 주문서상 피고 명의의 인영의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더 나아가 피고에 의한 직접 날인의 점에 대해서까지 원고에게 적극적인 증명책임이 법률상 요구되는데 그에 대한 증명이 부족하다는 취지로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여 버린 것은 사문서의 진정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도장 찍었으면 책임져야지? - 사문서 진정 추정과 입증 책임

내가 서명이나 날인한 문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체 내용이 진짜라고 법원에서 인정해준다는 판례입니다. 만약 서명/날인 할 때 문서의 일부가 비어있었다고 주장하려면, 그럴만한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서명/날인#진정성립 추정#빈칸#증명책임

민사판례

도장이 찍혀있다고 다 진짜 문서일까요? - 인장 날인과 문서 진정성립에 대한 이야기

계약서 등의 문서에 찍힌 인감이 본인의 도장으로 찍힌 것이 맞더라도, 본인이 직접 찍지 않고 다른 사람이 찍었다면, 문서를 제출한 사람은 그 다른 사람이 본인으로부터 정당한 권한을 위임받아 찍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서는 효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인감#날인#대리#권한

민사판례

도장이 찍혔다고 다 진짜 문서는 아닙니다! - 인영 진정성립 추정과 그 번복에 대한 이야기

도장이 찍힌 문서라도 위조되었다고 의심할 만한 충분한 정황이 있다면, 그 문서가 진짜라고 추정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인감도장#위조#진정성립 추정#정황증거

민사판례

도장 찍힌 문서, 내가 쓴 게 맞을까? - 사문서 진정성립에 대한 법원의 판단

본인이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인감이 찍힌 문서는 일단 진짜라고 추정되며, 본인이 도용이나 위조를 입증해야만 효력을 부정할 수 있습니다.

#인감#문서 효력#진정성립 추정#도용/위조 입증 책임

민사판례

도장이 찍혀있으면 진짜 문서일까? - 인영 진정성립 추정에 대한 이야기

도장이 찍힌 문서가 진짜인지 아닌지 다툴 때, 도장 주인이 찍었다는 추정을 뒤집으려면 확실한 증거까지는 필요 없고, 판사가 의심할 정도의 정황만 보여줘도 된다는 대법원 판결.

#인장#진정성립 추정#의심#정황증거

민사판례

도장 찍혔으면 진짜 문서? 현금보관증 진위를 둘러싼 법정 공방!

서명이나 날인이 있는 문서는 진짜라고 추정되며, 그 추정을 뒤집으려면 충분한 증거가 필요하다. 법원은 백지에 서명 후 나중에 내용이 채워졌다는 주장보다, 처음부터 내용이 있었다는 주장에 더 힘을 실어 주었다.

#서명#날인#문서진정성립#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