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사건번호:

2009므3652

선고일자:

201004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의사무능력자인 금치산자의 후견인(후견인이 배우자인 경우는 법원이 선임한 특별대리인)이 금치산자를 대리하여 그 배우자를 상대로 재판상 이혼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식물인간 상태의 의사무능력자인 금치산자의 어머니가 민사소송법상 특별대리인으로 선임되어 금치산자를 대리하여 후견인인 금치산자의 배우자를 상대로 이혼소송을 제기하고, 그 후 후견인으로 개임되자 친족회의 동의를 얻어 그 소송을 수행하는 것은 적법하다고 한 사례 [3] 병상에 누워있는 식물인간 상태의 남편을 내버려 둔 채 친정으로 돌아가 버린 뒤 다른 남자와 간통을 하는 등 그 배우자에게 혼인관계를 파탄에 이르게 한 이혼사유가 존재하고, 나아가 남편 본인의 이혼의사도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840조, 제938조, 제947조, 제949조, 가사소송법 제12조, 민사소송법 제62조 제1항, 제2항 / [2] 민법 제840조, 제938조, 제947조, 제949조, 제950조 제1항 제4호, 가사소송법 제12조, 민사소송법 제62조 제1항, 제2항 / [3] 민법 제840조 제1호,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9. 9. 9. 선고 2009르105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이 사건 특별대리인에 의한 이혼청구의 적부에 대하여 의식불명의 식물인간 상태와 같이 의사무능력자인 금치산자의 경우, 민법 제947조, 제949조에 의하여 금치산자의 요양·감호와 그의 재산관리를 기본적 임무로 하는 후견인이 금치산자를 대리하여 그 배우자를 상대로 재판상 이혼을 청구할 수 있고, 그 후견인이 배우자인 때에는 가사소송법 제12조 본문, 민사소송법 제62조 제1, 2항에 따라 수소법원에 특별대리인의 선임을 신청하여 그 특별대리인이 배우자를 상대로 재판상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 원심은, 원고의 특별대리인에 의해 제기된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원고가 식물인간 상태의 의사무능력자인 금치산자이고 이 사건 소 제기 당시에 배우자인 피고가 원고의 후견인인 상태에서 원고의 어머니가 민사소송법상 특별대리인으로 선임되어 이 사건 이혼소송을 제기하였고, 그 후 제1심 변론종결 후에 원고의 후견인으로 개임된 후 친족회의 동의를 얻어 원심에서 원고를 대리하여 이 사건 소송을 수행하고 있음을 이유로 이 사건 소는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금치산자의 특별대리인 또는 후견인에 의한 이혼심판 청구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은 없다. 2. 이혼사유 및 이혼의사의 추정에 대하여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 특히 피고가 병상에 누워있는 원고를 내버려 둔 채 친정으로 돌아가 버린 뒤 다른 남자와 간통을 한 사실 등을 종합하여, 피고에게 이 사건 혼인관계를 파탄에 이르게 한 이혼사유가 존재하고 나아가 원고 본인의 이혼의사도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따라서 원심판결에 이혼사유의 존부 등에 관한 경험칙 위반 등의 위법이 있다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의식 없는 배우자, 이혼할 수 있을까? - 후견인의 이혼 청구

의식불명으로 금치산자가 된 사람의 배우자가 이혼 사유를 제공한 경우, 후견인이 금치산자를 대리하여 이혼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단, 금치산자 본인이 이혼을 원했을 것이라고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금치산자#이혼#후견인#대리권

상담사례

의식 없는 배우자, 바람을 피웠다면 이혼할 수 있을까? 후견인의 이혼 청구!

의식 없는 배우자의 후견인은 배우자의 부정행위 등 이혼 사유 존재, 이혼 추정 가능성, 이혼이 배우자에게 최선의 이익이라는 조건을 충족하면 이혼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의식불명 배우자#후견인 이혼 청구#이혼 사유#배우자 의사 추정

형사판례

식물인간 배우자의 간통, 누가 고소할 수 있을까?

배우자가 식물인간 상태이고 금치산자가 되어 배우자 본인이 간통 사실을 고소할 수 없는 경우, 배우자의 어머니가 대신 고소할 수 있다.

#식물인간#간통#고소#친족

가사판례

의식불명 배우자와 사실혼 관계, 어떻게 될까요? 재산분할은 가능할까요?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 일방이 의식불명 상태가 되더라도, 다른 배우자는 자신의 의사만으로 사실혼 관계를 해소할 수 있고, 재산분할도 청구할 수 있다.

#사실혼#해소#의식불명#재산분할

가사판례

아내의 장기간 정신질환과 남편의 재혼: 이혼은 가능할까?

아내의 장기간 정신질환으로 별거가 길어지자 남편이 이혼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후 재혼까지 하였습니다. 이후 아내가 재심을 청구했지만, 혼인 관계가 이미 회복 불가능하게 파탄되었고, 그 주된 책임이 남편에게 없다고 판단되어 재심 청구가 기각되었습니다.

#정신질환#이혼#재심 기각#혼인 파탄

가사판례

배우자의 정신질환, 이혼 사유가 될까?

배우자의 정신병이 이혼 사유가 되려면, 그 병이 불치병이거나 가족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을 주는 정도여야 합니다. 단순히 정신병적인 증세만으로는 이혼할 수 없으며,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배우자#정신병#이혼#불치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