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공동상해)

사건번호:

2010도9151

선고일자:

201010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유죄판결을 선고하면서 판결이유에 명시하여야 할 내용 중 하나를 전부 누락한 경우 파기사유인지 여부(적극) [2] 정식재판을 청구한 피고인에 대해 약식명령의 형보다 불이익한 형을 선고하면서 그 판결이유에서 증거의 요지를 누락한 원심판결에 불이익변경금지의 법리 등을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하여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1항, 제383조 제1호 / [2]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1항, 제383조 제1호, 제457조의2

참조판례

[1] 대법원 2004. 4. 9. 선고 2004도340 판결(공2004상, 850),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9도3505 판결(공2009하, 126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대지 담당변호사 이건욱 외 3인 【원심판결】 서울북부지법 2010. 6. 30. 선고 2010노5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북부지방법원 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는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해서는 약식명령의 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한편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1항에 따르면, 유죄판결의 판결이유에는 범죄사실, 증거의 요지와 법령의 적용을 명시하여야 하는 것인바, 유죄판결을 선고하면서 판결이유에 이 중 어느 하나를 전부 누락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1호에 정한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률위반으로서 파기사유가 된다 (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9도3505 판결 등 참조). 2.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서울북부지방법원으로부터 이 사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공동상해)죄에 관하여 벌금 300,000원의 약식명령을 고지받은 다음 피고인만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실, 위 정식재판청구 사건을 담당한 제1심이 피고인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하자 검사가 항소한 사실, 이에 대해 원심은 피고인에 대해 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공동상해)죄와 일죄의 관계에 있는 판시 폭행죄로 유죄로 판단하면서[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공동상해)의 점은 이유에서 무죄로 판단]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을 벌금 700,000원에 처한 사실, 한편 원심은 피고인에 대하여 위와 같이 유죄판결을 선고하면서 그 판결이유에 범죄사실과 법령의 적용만을 기재하였을 뿐, 증거의 요지를 누락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앞서 본 법리에 위 사실을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에 대한 약식명령의 형보다 불이익한 형을 선고하면서 그 판결이유에서 증거의 요지를 누락한 원심판결에는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의 불이익변경금지의 법리 등을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일영(재판장) 이홍훈(주심) 김능환 이인복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약식명령보다 더 무거운 벌? 안 돼요! 정식재판 청구했을 때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벌금형에 대한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한 피고인에게 약식명령의 벌금형보다 무거운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법 위반이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한 사례.

#약식명령#중형선고 금지#정식재판#형종상향 금지

형사판례

약식명령보다 무거운 형벌? 안돼요!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약식명령에 불복하여 피고인만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항소심에서 약식명령보다 더 무거운 벌금형을 선고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 공소사실의 특정이 부족한 점도 지적됨.

#약식명령#정식재판#불이익변경금지원칙#공소사실특정

형사판례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 청구 시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다른 사건과 병합 심리 후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에도 원래 약식명령보다 더 무거운 형벌을 받으면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례입니다.

#약식명령#정식재판#불이익변경금지원칙#병합심리

형사판례

약식명령에 불복해서 정식재판 갔는데, 오히려 형량이 더 무거워진다면?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이 다른 사건과 병합되어 심리될 경우에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해서는 약식명령보다 무거운 형벌을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이는 벌금형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하여 항소심에 계류 중인 사건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약식명령#정식재판#형량상향금지#병합심리

형사판례

약식명령, 정식재판, 항소, 그리고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명령

약식명령보다 무거운 처벌을 할 수 없는 정식재판과 피고인만 항소한 경우 원심보다 무거운 처벌을 할 수 없는 항소심에서, 벌금형의 금액은 같더라도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명령을 추가하는 것은 피고인에게 더 불리한 처벌이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성폭력 치료프로그램#이수명령#정식재판#항소

형사판례

약식명령 받고 정식재판 갔더니 징역형? 이건 불법입니다!

벌금형을 받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법원이 벌금보다 무거운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약식명령#정식재판#형량증가금지#징역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