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불승인처분취소

사건번호:

2010두4216

선고일자:

2010081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민사상 손해배상 사건에서 손해의 확대 등에 기여한 기왕증을 참작하는 법리를 유추적용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와 재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비율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12. 14. 법률 제869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5조 제1호, 제37조(현행 제40조 참조), 민법 제396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 5. 24. 선고 93다38826 판결(공1994하, 1793), 대법원 2010. 8. 19. 선고 2010두5141 판결(공2010하, 182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근로복지공단 【원심판결】 대구고법 2010. 2. 5. 선고 2008누190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12. 14. 법률 제869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산재보험법’이라 한다) 제4조 제1호에서 말하는 ‘업무상의 재해’라 함은 업무수행 중 그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근로자의 부상·질병·신체장애 또는 사망을 뜻하는 것이므로 업무와 재해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그 인과관계에 관하여는 이를 주장하는 측에서 입증하여야 하는바, 그 입증의 방법 및 정도는 반드시 직접증거에 의하여 의학적·자연과학적으로 명백히 증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당해 근로자의 건강과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취업 당시의 건강상태, 기존 질병의 유무, 종사한 업무의 성질 및 근무환경, 같은 작업장에서 근무한 다른 근로자의 동종 질병에의 이환 여부 등의 간접사실에 의하여 업무와 재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가 추단될 정도로는 입증되어야 한다( 대법원 2005. 10. 27. 선고 2005두5451 판결 등 참조). 한편, 산재보험법에 의한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는 제도와 그 취지나 목적을 달리하므로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산재보험법에 의한 급여지급책임에는 과실책임의 원칙이나 과실상계의 이론이 적용되지 않고, 그 밖에 산재보험법의 입법 취지와 목적, 산재보험법에 의한 보험급여가 갖는 근로자의 생활보장적 성격( 대법원 1994. 5. 24. 선고 93다38826 판결 등 참조) 등에 비추어 보면, 민사상 손해배상사건에서 손해의 확대 등에 기여한 기왕증을 참작하는 법리를 유추적용함으로써 산재보험법상 업무와 재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비율적으로 인정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의 상병이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발병하였다거나 자연적인 진행경과 이상으로 악화되었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고 또한 그 지적하는 바와 같은 감정소견만으로 이를 추단하기도 어렵다고 본 것은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김지형 전수안(주심) 양창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과 기존 질병, 보상은 어떻게 될까요?

산업재해로 인한 요양급여를 받을 때, 기존에 앓고 있던 질병(기왕증)이 악화되었다 하더라도, 산재보험 혜택은 줄어들지 않습니다.

#산재보험#기왕증#요양급여#삭감불가

상담사례

건설현장, 기존 질병 악화도 산재 인정될까요? 🚧

기존 질병이라도 과중한 업무로 인해 악화되었다면, 업무와 질병 악화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산재 신청이 가능하다.

#건설현장#기존 질병 악화#산재 인정#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업무 중 다쳤는데 치료받다가 다른 병이 생겼어요! 산재 인정될까요?

업무상 재해로 치료받던 중 새로운 질병이 생겼다면, 새로운 질병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으려면 기존의 업무상 재해와 새로운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치료 과정의 의료 과실이나 약 부작용으로 새로운 질병이 생긴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업무상 재해#새로운 상병#인과관계#의료과실

일반행정판례

직장에서 아팠을 때 산재 인정받기, 얼마나 어려울까?

직장에서 발생한 질병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으려면, 근로자가 업무와 질병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때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여러 간접적인 사실들을 종합하여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업무상 재해#인과관계 증명책임#근로자#질병

일반행정판례

숨어있던 질병, 업무 중 사고로 악화되면 산재 인정될까?

기존에 앓고 있던 질병이라도 업무상 사고로 악화되거나 증상이 나타나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업무와 질병 악화 사이의 인과관계 입증은 의학적, 자연과학적 증명까지는 필요하지 않고,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되면 충분합니다.

#기존질병 악화#산재 인정#인과관계 추정#요양급여

일반행정판례

업무 중 다쳤는데, 치료 중 생긴 다른 병도 산재로 인정될까?

업무 중 다쳐서 치료받는 동안 새로운 질병이 생겼다면, 그 질병이 원래 다친 것 때문에 생긴 것이라는 걸 증명해야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업무상 재해#신규 질병#인과관계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