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추행

사건번호:

2011도8163

선고일자:

2011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다)목의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를 범한 자라고 하기 위해서는 성범죄의 대상이 아동·청소년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가)목, (다)목, 제7조, 제13조, 제33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11도5813, 2011전도99 판결(공2011하, 189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울산지법 2011. 6. 17. 선고 2011노4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 제2호 (가)목은 ‘ 제7조부터 제12조까지의 죄( 제8조 제4항의 죄는 제외한다)’를, 같은 호 (다)목은 ‘아동·청소년에 대한 「형법」제297조부터 제301조까지, 제301조의2, 제302조, 제303조, 제305조 및 제339조의 죄’를 각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고, 법 제7조 제1항은 “여자 아동·청소년에 대하여 「형법」제297조의 죄를 범한 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법 제7조 제3항은 “아동·청소년에 대하여 「형법」제298조의 죄를 범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법 제13조 제1항 본문은 “법원은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를 범한 자에 대하여 유죄판결을 선고하면서 300시간의 범위에서 재범예방에 필요한 수강명령 또는 성폭력 치료프로그램의 이수명령(이하 ‘이수명령’이라 한다)을 병과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법 제33조 제1항 본문은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로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 또는 제38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공개명령이 확정된 자는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이하 ‘등록대상자’라 한다)가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와 같이 법 제7조에서 아동·청소년에 대한 강간·강제추행 등을 가중하여 처벌하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는 점을 비롯하여 법의 입법 취지 및 경위에 비추어 볼 때, 법 제2조 제2호 (다)목의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를 범한 자라 함은 성범죄의 대상이 아동·청소년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아동·청소년에 대한 형법 제297조부터 제301조까지, 제301조의2, 제302조, 제303조, 제305조 및 제339조의 죄를 범한 자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피해자 공소외 1(여, 16세), 공소외 2(여, 17세)에 대한 각 강제추행의 공소사실이 인정된다고 하면서, 피고인이 법 제2조 제2호 (다)목의 ‘아동·청소년에 대한 형법 제298조의 죄’를 범한 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피고인에게 법 제13조에 따라 성폭력 치료프로그램의 이수명령을 병과하고, 법 제33조 제2항에 따라 신상정보 등록대상자라는 사실과 신상정보 제출의무가 있음을 알려 주었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법 제13조를 위반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전수안(재판장) 양창수 이상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13세 미만 미성년자 강간죄, 나이를 몰랐다면?

13세 미만 미성년자 강간죄는 피해자의 나이가 13세 미만이라는 사실 뿐 아니라, **피고인이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까지 검사가 입증해야 한다. 피해자의 나이가 어리다는 사실만으로 피고인이 그 사실을 알았다고 **추정해서는 안 된다.**

#13세 미만 미성년자 강간죄#피고인 나이 인식#입증책임#검사

형사판례

아이에게 성적 학대를 하면 어린아이라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

아동에게 성적인 학대를 하면 나이와 관계없이 처벌받는다.

#아동 성적 학대#처벌#미성년자 가해자

형사판례

19세 성인에게 청소년 대상 성범죄 처벌 조항을 적용할 수 있을까?

피해자가 19세가 된 해의 1월 1일 이후에 범죄가 발생했는데도, 법원이 청소년 대상 성범죄 처벌 조항을 적용하여 수강명령과 사회봉사명령을 내린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성인#청소년성보호법#잘못된 적용#법률 오류

형사판례

미성년자 성매매 알선, 성매수자가 미성년자인줄 몰라도 알선책은 처벌받는다!

아동·청소년 성매매 알선은 성 매수자가 상대방이 미성년자임을 몰랐더라도 알선자가 미성년자임을 알고 알선했다면 처벌된다.

#아동·청소년 성매매 알선#처벌#미성년자#성 매수자 인식 무관

형사판례

13세 미만 미성년자 대상 성범죄 미수도 처벌될까? 그리고 무고죄는?

13세 미만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미수도 처벌되며, 유죄 판결을 받은 피고소인이 고소인을 무고죄로 고소할 경우, 그 고소 내용이 허위임을 알면서도 고소했다면 무고죄가 성립한다는 판결.

#미성년자 성범죄 미수 처벌#무고죄 성립

형사판례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신상정보 공개 대상 확대!

과거 청소년 대상 성범죄를 저지르고 이전 법률에 따라 신상정보 열람 대상이었던 사람도, 현행법에 따라 신상정보 공개 대상이 된다. 설령 과거 법률 위반으로 기소되지 않고 다른 법률(예: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 또는 형법상 강간죄) 위반으로 기소되었더라도 마찬가지다.

#청소년대상 성범죄#신상정보 공개#소급적용#과거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