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거부 처분 취소

사건번호:

2011두16735

선고일자:

201206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검찰보존사무규칙 제22조에서 정한 불기소사건기록의 열람·등사의 제한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의 ‘정보의 공개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또는 제9조 제1항 제1호의 ‘다른 법률 또는 법률이 위임한 명령에 의하여 비밀 또는 비공개 사항으로 규정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2] 불기소처분 기록 중 피의자신문조서 등에 기재된 피의자 등의 인적사항 외의 진술내용이 개인의 사생활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인정되는 경우,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6호에서 정한 비공개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3]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6호 단서 (다)목의 ‘공개하는 것이 개인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정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9조 제1항 제1호 / [2]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6호 / [3]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6호 (다)목

참조판례

[1]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1두3358 판결, 대법원 2004. 9. 23. 선고 2003두1370 판결, 대법원 2006. 5. 25. 선고 2006두3049 판결(공2006하, 1171) / [2]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1두2361 전원합의체 판결(공2012하, 1329) / [3]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2두1342 판결, 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5두13117 판결(공2008상, 50), 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9두14224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1. 6. 22. 선고 2010누3825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검찰보존사무규칙의 법규성에 관한 법리오해의 점에 대하여 검찰보존사무규칙이 검찰청법 제11조에 기하여 제정된 법무부령이기는 하지만, 그 중 불기소사건기록의 열람·등사의 제한을 정하고 있는 위 규칙 제22조는 법률상의 위임근거가 없는 행정기관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으로서 행정규칙에 불과하므로, 위 규칙 제22조에 의한 열람·등사의 제한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한다) 제4조 제1항의 ‘정보의 공개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또는 같은 법 제9조 제1항 제1호의 ‘다른 법률 또는 법률이 위임한 명령(국회규칙·대법원규칙·헌법재판소규칙·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대통령령 및 조례에 한한다)에 의하여 비밀 또는 비공개 사항으로 규정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1두3358 판결, 대법원 2006. 5. 25. 선고 2006두3049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검찰보존사무규칙에서 정한 열람·등사 제한사유가 이 사건 정보공개거부처분의 법적 근거가 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고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이 부분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검찰보존사무규칙의 법규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의 점에 대하여 가.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 본문의 규정에 따라 비공개대상이 되는 정보에는 구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2004. 1. 29. 법률 제7127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1항 제6호 본문 소정의 이름·주민등록번호 등 정보의 형식이나 유형을 기준으로 비공개대상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인식별정보’뿐만 아니라 그 외에 정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개인에 관한 사항의 공개로 인하여 개인의 내밀한 내용의 비밀 등이 알려지게 되고, 그 결과 인격적·정신적 내면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자유로운 사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될 위험성이 있는 정보’도 포함된다고 새겨야 한다. 따라서 불기소처분 기록 중 피의자신문조서 등에 기재된 피의자 등의 인적사항 이외의 진술내용 역시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인정되는 경우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 본문 소정의 비공개대상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1두2361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나. 한편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 단서 (다)목은 ‘공공기관이 작성하거나 취득한 정보로서 공개하는 것이 공익 또는 개인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정보’를 비공개대상정보에서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공개하는 것이 개인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비공개에 의하여 보호되는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 등의 이익과 공개에 의하여 보호되는 개인의 권리구제 등의 이익을 비교·교량하여 구체적 사안에 따라 신중히 판단하여야 한다 (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2두1342 판결, 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9두14224 판결 등 참조). 다. 원심이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피고가 공개를 거부한 정보 중 소외 1, 2, 3의 주민등록번호, 주소 내지 주거, 등록기준지, 연락처 내지 전화번호, 직업, 나이, 전과, 상훈, 병역, 교육, 경력, 가족관계, 재산, 수입, 종교, 건강상태 등의 정보는 개인에 관한 사항으로서 그 공개로 인하여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비공개대상정보에 해당하고, 위 각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비공개대상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그 표현에 다소 적절하지 않은 점이 있으나,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다고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이 부분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박일환 신영철(주심)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불기소 기록 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개인정보 보호와 알 권리 사이의 줄다리기

자신이 고소했지만 불기소처분된 사건기록 중 피의자 등의 인적사항을 제외한 부분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검찰이 거부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해당 정보의 공개를 제한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하지만 정보공개법에서 보호하는 '개인정보'의 범위에 대해서는 대법관들의 의견이 갈렸습니다.

#불기소사건기록#정보공개청구#개인정보보호#사생활침해

일반행정판례

제3자의 확정된 수사기록 정보공개청구, 어디까지 가능할까?

수사기록의 정보공개청구에 대해, 법원은 수사기록 중 일부는 수사의 비밀 유지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정보공개 여부는 공익과 개인의 권리구제 필요성, 그리고 사생활 보호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수사기록#정보공개청구#비공개#개인정보보호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알 권리와 공공기관의 직무수행 사이의 줄다리기

이 판례는 정보공개청구 소송에서 ① 이미 다른 경로로 알려진 정보도 공개해야 하는지, ② 어떤 정보가 직무수행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정보인지, ③ 검찰 내부 연구자료를 공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정보공개청구#공개된 정보#직무수행 곤란 정보#내부 검토자료

일반행정판례

교도소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정보공개를 거부당했을 때, 비공개 정보와 공개 가능 정보가 섞여 있다면 공개 가능한 부분만이라도 공개해야 하며, 정보가 폐지되었다고 해서 바로 폐기된 것은 아니므로 공공기관이 폐기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교정 관련 정보라도 교정 업무 수행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공개해야 한다.

#정보공개청구#부분공개#정보보유·관리책임#교정정보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청구, 어디까지 알려줘야 할까?

국민의 정보공개 청구는 내용이 명확해야 하고, 공공기관은 정보 비공개 시 구체적인 이유를 밝혀야 하며, 기업 비밀이라도 공익이 더 중요하면 공개해야 한다는 판결.

#정보공개청구#원가정보#이동통신사#기업비밀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청구, 부분 공개는 어떻게? 개인정보는 공개될 수 있을까?

정보공개를 청구했는데, 그 정보에 비공개 정보와 공개 가능한 정보가 섞여 있는 경우, 공공기관은 비공개 정보만 가리고 공개 가능한 정보는 공개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정보라도 공익을 위해 필요하다면 공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부분공개#비공개정보#공개가능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