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1재다14
선고일자:
201105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1]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1호의 사유를 들어 재심의 소를 제기하는 경우, 그 제기기간의 기산점(=판결정본을 송달받은 때) 및 소송대리인이 있는 사건의 경우의 기산점(=소송대리인이 판결정본을 송달받은 때) [2] 甲이 재심대상판결이 종전 대법원 판결에서의 의견을 변경하는 것이거나 명령 또는 규칙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함을 인정하는 것임에도 대법관 전원의 3분의 2에 미달하는 대법관만으로 구성된 부에서 심판하였다고 하여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1호의 사유를 들어 재심청구를 한 사안에서, 재심대상판결이 甲의 소송대리인에게 송달되었을 무렵 甲은 위 재심사유의 존재를 알았다고 할 것인데, 甲이 제출한 재심소장에는 위 제1호에서 정한 재심사유 주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 후 위 30일간의 불변기간을 도과하고서야 위 제1호에서 정한 재심사유가 기재된 청구원인(재심사유) 보충서가 법원에 접수되었음이 기록상 명백하므로, 위 재심의 소는 부적법하다고 한 사례
[1]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2항, 제456조 / [2]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2항, 제456조
[1] 대법원 1961. 8. 24. 선고 4290행재3 판결, 대법원 1988. 12. 27. 선고 87누732 판결(공1989, 239), 대법원 1993. 9. 28. 선고 92다33930 판결(공1993하, 2944)
【원고(재심원고)】 【피고(재심피고)】 봉천제3구역주택개량재개발조합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9다68606 판결 【주 문】 재심의 소를 각하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재심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 2항에 의하여 재심의 소는 당사자가 판결확정 후 재심의 사유를 안 날로부터 30일의 불변기간 내에 제기하여야 하는 것인데, 같은 법 제451조 제1항 제1호의 재심사유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가 판결정본을 송달받았을 때 판결법원 구성의 위법 여부를 알게 됨으로써 재심사유의 존재를 알았다고 할 것이고 ( 대법원 1961. 8. 24. 선고 4290행재3 판결 참조), 또한 소송대리인이 있는 사건에서는 그 판결이 소송대리인에게 송달되었을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도 그 재심사유의 유무를 알았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재심의 소의 제기기간은 소송대리인이 판결정본을 송달받았을 때부터 진행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88. 12. 27. 선고 87누732 판결, 대법원 1993. 9. 28. 선고 92다33930 판결 등 참조). 원고(재심원고,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는 재심대상판결이 종전 대법원 판결에서의 의견을 변경하는 것이거나 명령 또는 규칙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함을 인정하는 것임에도 대법관 전원의 3분의 2에 미달하는 대법관만으로 구성된 부에서 심판하였다고 하여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1호의 사유를 들어 재심청구를 하고 있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재심대상판결은 2009. 12. 15. 원고의 소송대리인에게 송달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원고는 그 무렵 위 재심사유의 존재를 알았다고 할 것인데, 원고가 2010. 1. 13. 제출한 이 사건 재심소장에는 위 제1호 소정의 재심사유 주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 후 위 30일간의 불변기간을 도과한 2010. 9. 20.에 이르러서야 위 제1호 소정의 재심사유가 기재된 청구원인(재심사유) 보충서가 법원에 접수되었음이 기록상 명백하므로, 이 사건 재심의 소는 결국 부적법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사건 재심의 소를 각하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지형 전수안(주심) 양창수
민사판례
재심 사유가 확정판결 이후에 발생하고, 그 사유가 위증이나 위조된 문서 등 증거와 관련 없는 경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그 사유가 *실제로 발생한 날*부터 시작됩니다. 당사자가 그 사유를 *알게 된 날*부터가 아닙니다.
민사판례
재심 사유가 된 위증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된 후,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본 판례는 재심 대상이 된 원래 판결이 확정된 날로부터 30일 이내라고 판시했습니다.
상담사례
확정판결 후 판단누락 발견 시 재심청구는 판결문(소송대리인 수령 시 대리인 수령일 기준) 수령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하며, 예외적인 '특별한 사정'을 입증해야만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민사판례
재심 사유가 있다고 생각해서 고소했지만 공소시효가 지나 불기소 처분을 받았고, 이에 불복하여 항고나 재정신청까지 했다면, 그 최종 결정을 받은 날부터 재심 청구 기간(30일)이 시작됩니다.
민사판례
재판 결과에 불복하여 재심을 청구할 때, 법원 구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하려면 변호사가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재심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형사판례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이 재심을 청구하여 다시 재판을 받았는데, 재심 판결까지 나온 후에는 재심 청구를 취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재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위해 판결이 확정되면 이를 함부로 뒤집을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