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경정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12두2474

선고일자:

201406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3조의2 제1항이 동거주택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하도록 규정한 취지 및 위 규정이 정한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이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소유한 주택에 국한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라 한다) 제23조의2 제1항이 동거주택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하도록 규정한 취지는 일세대 일주택 실수요자의 상속세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상속인의 주거안정을 도모하려는 데에 있다고 할 것이고 피상속인의 주택 보유기간은 상속인의 주거안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점, 위 규정의 문언도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이라고 하였을 뿐이므로 위 ‘동거’라는 용어에 주택의 ‘소유’ 또는 ‘보유’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위 규정이 정한 ‘상속개시일 현재 소득세법 제89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일세대 일주택’이라는 요건에 의하여 보유요건이 별도로 요구되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3조의2 제1항이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은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소유한 주택에 국한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의2 제1항, 구 소득세법(2009. 12. 31. 법률 제98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9조 제1항 제3호, 구 소득세법 시행령(2010. 2. 18. 대통령령 제2203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4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부대상고인】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겸 부대피상고인】 삼성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1. 12. 27. 선고 2011누2480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원고 1의 부대상고를 각하한다. 상고비용과 부대상고비용은 상고인과 부대상고인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1. 상고이유에 대하여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3조의2 제1항은 거주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로서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이 상속개시일 현재 소득세법 제89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일세대 일주택(같은 호에 따른 고가주택을 포함한다)이고, 상속개시일 현재 무주택자인 상속인이 상속받은 주택인 때에는 5억 원을 한도로 하여 주택가액(주택에 딸린 토지의 가액을 포함한다)의 100분의 40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 소득세법(2009. 12. 31. 법률 제98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9조 제1항 제3호의 위임에 따른 구 소득세법 시행령(2010. 2. 18. 대통령령 제2203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4조 제1항 본문은 ‘「소득세법」상의 일세대 일주택이라 함은 원칙적으로 거주자 및 그 배우자가 그들과 동일한 주소 또는 거소에서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과 함께 구성하는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로서 당해 주택의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3조의2 제1항이 동거주택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하도록 규정한 취지는 일세대 일주택 실수요자의 상속세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상속인의 주거안정을 도모하려는 데에 있다고 할 것이고 피상속인의 주택 보유기간은 상속인의 주거안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점, 위 규정의 문언도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이라고 하였을 뿐이므로 위 ‘동거’라는 용어에 주택의 ‘소유’ 또는 ‘보유’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위 규정이 정한 ‘상속개시일 현재 소득세법 제89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일세대 일주택’이라는 요건에 의하여 보유요건이 별도로 요구되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3조의2 제1항이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동거한 주택’은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계속 소유한 주택에 국한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원고 2가 피상속인인 어머니 소외인과 함께 이 사건 아파트에서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동거한 이상 피상속인이 이 사건 아파트를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 소유하지 못하였더라도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대상이 되는 동거주택에 해당한다고 본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3조의2 제1항이 규정하는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대상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원고 1의 부대상고에 대하여 통상의 공동소송에 있어 공동당사자 일부에 대하여 상고가 제기된 때에는 피상고인인 공동소송인 이외의 다른 공동소송인은 부대상고를 제기할 수 없다(대법원 1994. 12. 23. 선고 94다40734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통상의 공동소송에 해당하는 이 사건에 있어서 피고는 원심 공동원고들 중 원고 2에 대하여만 상고를 제기하고 있는데도 피상고인이 아닌 원고 1이 상고제기기간이 경과한 후에 부대상고를 제기하고 있음이 분명하므로, 원고 1의 부대상고는 부적법하다 할 것이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원고 1의 부대상고를 각하하며, 상고비용 및 부대상고비용은 상고인과 부대상고인 각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양창수 고영한(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받은 집, 1세대 1주택 혜택 받을 수 있을까? (공동상속주택의 의미)

부모님과 같은 집에 살던 자녀가 부모님 사망 후 집을 상속받았을 때, 그 집은 '공동상속주택'으로 인정되지 않아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동상속주택#1세대 1주택#비과세#상속

세무판례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집을 팔았는데, 상속세는 어떻게 되나요?

돌아가시기 직전에 집을 팔았다면, 그 판 돈도 상속재산에 포함되어 상속세를 내야 할까요? 이 판례는 '돌아가시기 얼마 전에 재산을 처분한 경우, 그 돈의 사용처가 명확하지 않다면 상속재산으로 본다'는 원칙을 보여줍니다. 특히 주택상속공제와 관련하여, 상속 전에 처분된 주택은 공제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상속재산#상속세#부동산 처분#주택상속공제

세무판례

상속받은 집 팔았는데 양도세 내라고? 억울해요!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 공동상속주택에도 적용될까?

부모님으로부터 상속받은 집을 형제들과 공동으로 소유하다가 팔았을 때, 이미 다른 집을 갖고 있더라도 상속받은 집에 거주하는 형제에게만 집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

#공동상속주택#양도소득세#1세대1주택#비과세

세무판례

가족 간 집 증여,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될까요?

가족 구성원끼리 주택을 증여한 뒤 팔더라도, 증여 전후로 계속 한 세대를 구성하고 다른 주택이 없다면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가족간 증여#1세대 1주택#비과세#양도소득세

세무판례

배우자 상속공제,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배우자가 상속받은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공제(덜 내도록) 받으려면, 단순히 상속재산 분할 협의만으로는 부족하고, 배우자 명의로 등기까지 마쳐야 한다.

#배우자 상속공제#상속재산 분할#등기#상속세

세무판례

5년 이상 보유한 주택, 꼭 등기부등본으로만 증명해야 할까요?

집을 팔 때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3년 거주 요건 외에 5년 보유 요건도 충족해야 합니다. 이때 5년 보유 사실은 등기부등본이나 토지·가옥대장등본 외 다른 서류로도 입증할 수 있습니다.

#1세대 1주택 비과세#5년 보유 입증#등기부등본 외 증거#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