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등

사건번호:

2014다44673

선고일자:

2018061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이 최저임금법상 최저임금에 미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주급제 혹은 월급제에서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인 주휴수당이 ‘최저임금의 적용을 위한 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 최저임금법 시행령 제5조 제1항 제2호 및 제3호에 따라 주 단위 또는 월 단위로 지급된 임금을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환산하는 경우, 주휴수당 관련 근로시간이 ‘1주 또는 1개월의 소정근로시간’에 합산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최저임금법 제6조 제1항, 제4항, 최저임금법 시행령 제5조 제1항 제2호, 제3호, 최저임금법 시행규칙 제2조 [별표 1],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7호, 제55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6다64245 판결(공2007상, 289),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5다7879 판결, 대법원 2017. 12. 28. 선고 2016도8729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현채)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4. 5. 29. 선고 2013나2587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최저임금법 제6조 제1항은, “사용자는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같은 조 제4항에서는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것(제1호)’,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7호에 따른 소정근로시간 또는 소정의 근로일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 외의 임금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것(제2호)’, ‘그 밖에 최저임금액에 산입하는 것이 적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것(제3호)’은 제1항에 따른 임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최저임금법 시행규칙은 제2조 [별표 1]에서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임금(이하 ‘최저임금 산입 제외 임금’이라 한다)의 범위를 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급된 임금이 최저임금에 미달하는지의 여부는 지급된 임금 중 ‘최저임금 산입 제외 임금’을 제외한 임금액(최저임금의 적용을 위한 임금으로서 이하 ‘비교대상 임금’이라 한다)과 최저임금액을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이에 의하면 주급제 혹은 월급제에서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인 주휴수당은, 소정의 근로에 대해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이어서 ‘최저임금 산입 제외 임금’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비교대상 임금에 포함된다. 그리고 최저임금법 시행령 제5조 제1항 제2호 및 제3호는 비교대상 임금 중 주 단위 또는 월 단위로 지급된 임금에 대하여 ‘1주 또는 1개월의 소정근로시간 수’로 나눈 금액을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소정근로시간이란 근로기준법 제50조, 제69조 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6조에 따른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하고(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7호),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와는 구별되므로, 주급제 혹은 월급제에서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관한 임금인 주휴수당 관련 근로시간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6다64245 판결,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5다7879 판결, 대법원 2017. 12. 28. 선고 2016도8729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연장 및 야간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을 고려한 근로시간에, 주휴수당 관련 근로시간까지 합산하여 원고의 월 평균 소정근로시간 수를 산정한 다음, 원고가 포괄임금제 약정에 따라 지급받은 월 급여액을 그 시간으로 나눈 금액을 최저임금법 시행령 제5조 제1항에 따른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보았다.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최저임금법 시행령 제5조 제1항에 따라 월 단위로 정해진 임금을 시간에 대한 임금으로 환산하면서 연장 및 야간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을 고려한 근로시간을 월 소정근로시간에 합산한 것은 타당하다. 그러나 주휴수당 관련 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7호에서 정한 소정근로시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원심이 주휴수당 관련 근로시간까지 월 소정근로시간에 합산한 것은,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2호에서 정한 ‘대법원의 판례에 상반되는 판단을 한 때’에 해당한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박상옥(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최저임금 계산,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헷갈리는 항목 정리!

최저임금 계산 시 어떤 임금을 포함하고 제외해야 하는지,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임금을 다른 수당으로 보전하는 약정의 효력에 대한 판결입니다.

#최저임금#포함수당#제외수당#근속수당

민사판례

쉬지 않고 일한 당신, 그런데 최저임금도 못 받았다고요? 😱 유급휴일과 최저임금 계산, 제대로 알아보자!

회사에서 주는 유급휴일이나 휴가 수당이 최저임금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주 40시간을 넘는 근로시간이 최저임금 계산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법으로 보장된 유급휴가(연차 등)는 최저임금 계산에 포함되지만, 회사가 자체적으로 주는 유급휴일/휴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은 최저임금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최저임금#유급휴일#휴가#연차휴가

민사판례

근로시간, 통상임금, 주휴수당, 그리고 휴일·연장근로수당에 대한 궁금증 해결!

이 판례는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구분, 통상임금 판단 기준, 주휴수당의 통상임금 기초 산정, 휴일근로와 연장근로 가산임금 중복 지급 여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휴게시간#통상임금#주휴수당#휴일근로

민사판례

주휴수당, 최저임금에 포함해야 할까? 택시기사 주휴수당 미지급 사건 정리

택시기사에게 지급되는 주휴수당은 최저임금에 포함되어 계산해야 한다.

#주휴수당#최저임금#택시기사#포함

민사판례

통상임금, 넌 누구니? 월급에 유급휴일 수당이 포함될까?

이 판례는 통상임금에 어떤 수당들이 포함되는지, 그리고 주 44시간제 하에서 시간급 통상임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유급휴일 수당과 주 44시간제 도입에 따른 토요일 오후 유급 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통상임금#계산방법#유급휴일수당#주44시간제

민사판례

최저임금과 통상임금, 그리고 연장·야간근로수당 계산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받은 경우,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연장·야간 근로수당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부분만큼 임금을 올려서 다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단체협약 상여금의 계산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저임금#통상임금#상여금#연장·야간 근로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