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징금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14두37863

선고일자:

2014100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허위·과장에 해당하지 않고 사실에 부합하는 광고라고 하더라도 표현 방식이나 편집 방식에서 소비자를 오인·혼동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구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8조 제1항 제3호의 규제대상이 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2012. 10. 22. 법률 제1150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조 제1항 제2호,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6. 10. 선고 2013누505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허위·과대 광고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 가. 구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2012. 10. 22. 법률 제1150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건강식품법’이라 한다) 제18조 제1항은 ‘허위·과대의 표시·광고’에 관하여 제2호에서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된 표시·광고’를, 제3호에서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오인·혼동시킬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를 열거함으로써 ‘허위·과장’ 광고와 ‘소비자를 오인·혼동시킬 우려’가 있는 광고를 구별하고 있는바, 허위·과장에 해당하지 않고 사실에 부합하는 광고라고 하더라도 그 표현 방식이나 편집 방식에 있어 소비자를 오인·혼동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위 제3호의 규제대상이 된다. 나.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① 원고는 ○○○웰빙 홈페이지 메인화면 중앙에 큰 글씨로 ‘우리 식품을 전통발효시킨 프리미엄 효소와 기능성 식이섬유 다이어트 체질개선, 당신의 날씬한 건강이 시작되는 곳’이라는 문구를, 공지사항 첫 번째에 이 사건 체험기의 제목 “★☆ ○○㎏ 감량으로 인생이 달라..”라는 문구를 노출시키고 있는 점, ② 이 사건 체험기에는 ‘○○○에 절식 보식을 주문하여 3달을 꼬박 원장님께서 시키는 대로 하였다’, ‘몸 좋게 살을 빼는 좋은 효소 덕분에 건강까지 좋아져서 너무 행복 속에 지낸답니다’라는 등 그 표현 방식에 있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체중감량 성공의 최대 요인이 이 사건 제품인 듯한 인상을 주는 점, ③ 이 사건 체험기는 ‘이때 100키로 넘었어요’, ‘첫 달 8 ~ 10키로, 둘째 달 10 ~ 19키로, 셋째 달 20 ~ 28키로 까지 살이 빠졌습니다’, ‘그리고 지금 2011년까지 한 달에 약 1키로 정도씩 빠져 지금은 60키로 까지 되었답니다 ((40키로 이상 뺀거지요^^))’라고 하는 등 그 표현 방식에 있어 ‘첫 달, 둘째 달, 셋째 달’을 강조하고 최종적으로 ‘40키로 이상 뺀 것’을 강조하고 있어 자세히 읽어 보지 않으면 마치 3개월여 만에 40㎏ 이상 체중감량을 한 것처럼 보이는 점, ④ 원고는 ○○○웰빙 홈페이지의 특정 메뉴에서 ‘40㎏ 감량’이라는 큰 글자 아래 허정혜의 40㎏ 감량 전후 사진을 비교하고 ‘제품후기 자세히 보기’라는 링크를 걸어 두는 등 체중감량 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점 등을 근거로, 이 사건 체험기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마치 이 사건 제품이 체중감량의 주된 원인이고 섭취하기만 하면 3개월여 만에 40㎏의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것처럼 오인하게 할 우려가 있는 광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건강식품법 제18조 제1항의 ‘허위·과대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재량권 일탈·남용 여부에 관하여 가. 제재적 행정처분이 사회통념상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남용하였는지 여부는 처분사유로 된 위반행위의 내용과 당해 처분행위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공익목적 및 이에 따르는 제반 사정 등을 객관적으로 심리하여 공익 침해의 정도와 그 처분으로 개인이 입게 될 불이익을 비교·형량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7. 7. 19. 선고 2006두19297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제재적 행정처분의 기준이 행정청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처분기준이 그 자체로 헌법 또는 법률에 합치하지 아니하거나 위 처분기준에 따른 제재적 행정처분이 그 처분사유가 된 위반행위의 내용 및 관계 법령의 규정 내용과 취지에 비추어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섣불리 그 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대법원 2007. 9. 20. 선고 2007두6946 판결 등 참조). 나.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① 원고가 2012. 2.부터 2013. 4.까지 1년 넘게 이 사건 체험기를 ○○○웰빙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하였고, 그 동안의 조회수도 1,400회가 넘는 점, ② 건강식품법 제32조 제1항은 제18조 제1항의 위반행위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영업허가의 취소,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 정지, 영업소의 폐쇄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 피고는 건강식품법 시행규칙(2014. 3. 18. 총리령 제10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조 [별표 9] 개별기준에 정해진 대로 원고에게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오인·혼동시킬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를 한 경우’의 1차 위반에 해당하는 영업정지 1개월의 처분을 하겠다는 취지를 사전에 통지한 점, ③ 이에 원고가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과징금으로 부과해 달라고 요청하는 의견서를 제출하자, 피고는 원고의 위반행위의 내용과 정도 등을 참작하여 건강식품법 제37조 제1항, 동 시행령 제18조 [별표 1]에 규정된 ‘과징금 산정기준’에 따라 영업정지 1개월에 갈음하는 이 사건 과징금 부과처분을 한 점, ④ 건강식품법 제18조 제1항 제3호가 소비자를 오인시킬 우려가 있는 광고를 허위·과대 광고로 보아 금지하는 것은 그러한 허위·과대 광고가 소비자를 현혹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건전한 유통·판매를 도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보호에 이바지하는 데 그 규정 취지가 있고, 이 사건 부과처분으로 원고가 입게 될 불이익이 그로 인해 달성되는 공익보다 현저하게 크다고 보기 어려운 점 등을 근거로, 피고가 원고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이 아니라 건강식품법 및 그 시행령, 시행규칙에 따라 이 사건 부과처분을 한 것이 피고에게 주어진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거나 피고가 그 재량권을 남용한 것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제재적 행정처분의 재량권 일탈·남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광고, 관련 법 적용 똑바로 알아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허위·과대 광고를 한 경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에는 해당 법률로 처벌해야 하며, '식품위생법'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건강기능식품#허위과대광고#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식품위생법

형사판례

건강기능식품 광고, 어디까지 허용될까?

건강기능식품 광고에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안 됩니다. 건강기능식품 본연의 기능을 넘어서 마치 의약품처럼 광고하는 것은 법 위반입니다.

#건강기능식품#광고#질병 치료 효과#허위광고

생활법률

건강기능식품 광고, 이것만은 조심하세요!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주의보)

건강기능식품 광고는 질병 예방·치료 효과 표현, 의약품 오인 광고, 거짓·과장 광고 등이 법으로 금지되며, 사전 심의를 받아야 하고, 위반 시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광고규제#허위과장광고금지#질병치료예방표현금지

형사판례

식품 광고, 질병 치료 효과 있다고 하면 안 돼요!

식품 광고에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거나, 마치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처럼 보이게 광고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식품 본연의 영양 효과를 벗어나 질병 치료 효과를 강조하면 소비자들이 의약품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품광고#질병치료·예방효과#허위·과대광고#의약품오인

형사판례

건강보조식품 광고, 함부로 하면 안 돼요!

건강보조식품이라도 광고에서 질병 치료 효과를 표방하면 약사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건강보조식품#질병치료효과 광고#약사법 위반#의약품 오인광고

형사판례

식품 광고, 함부로 하면 안 돼요! 질병 치료 효과 있다는 말 절대 금지!

일반 식품을 광고할 때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표현을 쓰거나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표현을 쓰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이는 식품의 원재료에 대한 광고일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식품임을 명시했더라도 의약품으로 오인될 우려가 있는 표현을 사용하면 안 된다.

#식품광고#질병치료효능#과대광고#식품위생법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