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개설등록불가통보처분취소

사건번호:

2014두44311

선고일자:

201607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약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장소가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2두10995 판결(공2004상, 169),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두12004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구광역시 달서구보건소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2014. 10. 10. 선고 2014누461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약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장소가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문언적 의미와 더불어 의약분업의 원칙에 따라 의료기관의 외래환자에 대한 원외조제를 의무화하기 위하여 약국을 의료기관과는 공간적·기능적으로 독립된 장소에 두고자 하는 위 법률조항의 입법 취지를 고려하여야 한다(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두12004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된 이 사건 건물에서 위드병원은 2층부터 7층까지를 사용하고 있고, 1층에는 하나종합내과의원, 오픈마트, 이 사건 약국, 커피전문점 등이 있는 점, 이 사건 약국에 출입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남쪽 대로변 및 인도 쪽에 있는 출입문을 통하는 것이므로, 북동쪽 전면에 설치된 위드병원의 외부출입문, 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이 사건 약국을 통해서는 위드병원으로 출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위드병원에서 이 사건 약국으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북동쪽 출입문을 통해 이 사건 건물 밖으로 나가 인도를 지난 후 이 사건 약국의 출입문을 통하여야만 하는 점, 이 사건 건물의 외벽, 입구, 주차타워 상단에 위드병원 간판 외에 하나종합내과의원 간판도 부착되어 있어 어느 방향에서 보든지 이 사건 건물에 2개의 병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점, 위드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가 주된 진료과목인데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원내처방이 이루어지고, 전문의가 1명 있는 가정의학과에서 원외처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루 평균 3.3명에 불과하여 이 사건 약국이 개설되더라도 위드병원의 구내 약국의 역할을 할 수 없는 점, 이 사건 약국은 위드병원과 독립적인 별개의 공간에 해당할 뿐 아니라 의료기관 이용자와 일반인들도 이 사건 약국을 위드병원의 시설 안 혹은 구내로 인식할 가능성이 없는 점, 이 사건 약국과 위드병원의 운영자가 서로 다르고 여기에 위드병원의 운영실태를 더하면 위드병원과 이 사건 약국 사이의 담합행위나 위드병원의 이 사건 약국에 대한 영향력 행사 가능성 또한 적어 보이는 점 등의 사정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약국은 위드병원과 공간적·기능적인 관계에서 독립되어 있으므로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의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이인복(주심) 이기택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병원 건물 내 약국 개설, 과연 허용될까?

병원 건물 안에 있는 약국 개설 신청이 거부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약국 자리가 병원과 공간적·기능적으로 독립된 곳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환송했습니다. 즉, 병원 건물 내 약국 개설은 불가능하다는 판결입니다.

#병원#약국#개설금지#공간적·기능적 독립성

일반행정판례

병원 건물 안에 약국, 열 수 있을까요? 약사법과 의약분업의 원칙

병원 건물과 같은 부지 안에 있는 별도 건물에 약국을 개설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단순히 건물이 가깝다는 사실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해당 약국이 특정 병원과 공간적·기능적으로 얼마나 독립적인지, 그리고 그 병원과의 부당한 담합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약국 개설#병원 부지#공간적·기능적 독립성#부당 담합

일반행정판례

병원 옆 약국, 언제 열 수 있을까?

약국 개설하려는 장소가 과거에 의료기관의 일부였더라도, 현재 의료기관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공간이라면 약국 개설이 가능하다.

#약국 개설#의료기관 분리#독립 공간#담합 방지

형사판례

약사 면허 없이 약국 운영? 절대 안 됩니다!

약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약국 운영에 깊숙이 관여하며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기존 약국을 인수해서 운영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약사 면허#약국 운영#불법#약사법 위반

일반행정판례

약국 밖에서의 의약품 판매, 안될까요?

약국 개설자는 약국 이외의 장소(예: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 동물병원에 판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약국개설자#인터넷 의약품 판매#약사법 위반#약국 외 판매 금지

형사판례

약사 면허 없는 사람이 약국 운영하면 불법! 건강보험료 부정수급도 안돼요!

약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약사를 고용해서 약국을 운영하고,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당하게 요양급여를 받으면 약사법 위반 및 사기죄로 처벌받는다. 약사 명의로 개설했거나 약사가 직접 조제·판매했더라도 마찬가지다.

#무면허 약국 운영#요양급여 부정수급#약사법 위반#사기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