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4마1099
선고일자:
20141127
선고:
자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선박우선특권에 관한 준거법(=선적국법) 및 선박이 선적국이 아닌 국가에 나용선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선박우선특권의 성립 여부와 일정한 채권이 선박우선특권에 의하여 담보되는지 여부 및 선박우선특권이 미치는 대상의 범위는 국제사법 제60조 제1호에 따라 선적국(船籍國)의 법, 즉 선박소유자가 선박의 등기·등록을 한 곳이 속한 국가의 법이 준거법이 되는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선박이 나용선등록제도에 따라 선적국이 아닌 국가에 나용선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국제사법 제60조 제1호
대법원 2007. 7. 12. 선고 2005다39617 판결(공2007하, 1241)
【상 대 방】 【재항고인】 매리빌 마리타임 인코포레이션 (Maryville Maritime INC)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평 담당변호사 이춘원 외 2인) 【원심결정】 전주지법 2014. 6. 2.자 2013라205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재항고비용은 재항고인이 부담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재항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재항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재항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선박우선특권의 성립 여부와 일정한 채권이 선박우선특권에 의하여 담보되는지 여부 및 선박우선특권이 미치는 대상의 범위는 국제사법 제60조 제1호에 따라 선적국(船籍國)의 법, 즉 선박소유자가 선박의 등기·등록을 한 곳이 속한 국가의 법이 준거법이 되는 것이고(대법원 2007. 7. 12. 선고 2005다39617 판결 참조), 이러한 법리는 선박이 나용선등록제도에 따라 선적국이 아닌 국가에 나용선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위 법리와 기록에 따라 살펴보면, 이 사건 선박에 관한 선박우선특권의 준거법은 이 사건 선박의 ‘나용선등록국법’인 ‘마샬아일랜드법’이 아니라 ‘소유권등록국법’인 ‘독일법’이고, 독일 상법에 따르면 이 사건과 같은 유류대금채권은 선박우선특권에 의하여 담보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선박우선특권에 기초한 재항고인의 이 사건 임의경매신청을 기각한 원심결정은 정당하다. 거기에 선박우선특권의 준거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고 재항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신영철 김창석 조희대(주심)
민사판례
외국 선박에 대한 우선특권이라도 한국에서 실행하려면 한국 법률에 따라야 한다.
민사판례
외국 선박에 대한 가압류 결정만 받았을 뿐 실제 집행하지 않은 경우, 선박이 이미 다른 이유로 압류되어 있더라도 배당을 요구할 수 없다.
민사판례
배를 빌려 쓰는 방식 중 하나인 정기용선에서, 예선료(배를 항구 안팎으로 끌어주는 서비스 비용)를 받지 못한 업체는 배 소주인에게 직접 경매를 청구할 수 있다.
민사판례
한국 회사가 외국 회사로부터 배를 빌려 다시 다른 한국 회사에 빌려주고, 용선료를 외국 은행에 양도했는데, 한국 회사의 채권자들이 용선료를 가압류한 상황에서 용선료 채권의 준거법을 영국법으로 판단한 사례.
민사판례
세인트 빈센트 그래나딘 선적의 선박에 대한 선박우선특권으로 담보되는 선원 임금채권을 제3자가 변제하고 대위할 수 있는지 여부는 세인트 빈센트 그래나딘 법에 따라 판단해야 하며, 세인트 빈센트 그래나딘 법은 제3자가 자발적으로 변제한 경우 법원의 허가 없이는 대위할 수 없다는 영국 판례의 원칙을 따르고 있다.
형사판례
국내 회사가 중국에서 선박을 구매 후 캄보디아에 편의치적(실제 소유주와 선박 등록 국가가 다른 것)하고, 수리 목적으로 입항하는 것처럼 속여 국내에 들여온 행위는 무신고 수입죄에 해당한다. 또한, 선박 매매 대금에서 용선료를 제외하고 지급한 행위는 외국환거래법 위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