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위반

사건번호:

2015도11806

선고일자:

201510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직선거법 제95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선거에 관한 기사를 게재한 신문을 통상방법 외의 방법으로 배부한 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판결요지

참조조문

공직선거법 제95조, 제252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5. 3. 25. 선고 2005도39 판결, 대법원 2011. 1. 27. 선고 2010도14940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5. 7. 10. 선고 2015노98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공직선거법 제95조 제1항은 “누구든지 이 법의 규정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거에 관한 기사를 게재한 신문·통신·잡지 또는 기관·단체·시설의 기관지 기타 간행물을 통상방법 외의 방법으로 배부·살포·게시·첩부하거나 그 기사를 복사하여 배부·살포·게시·첩부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같은 조 제2항은 제1항의 ‘통상방법에 의한 배부’란 ‘종전의 방법과 범위 안에서 발행·배부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당해 신문에 게재된 기사의 내용, 증간 부수 및 경위, 배부처 기타 제반 사정에 비추어 그 행위가 전체적으로 보아 종전의 방법과 범위 안에서 발행·배부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공직선거법 제95조 제1항이 금지하고 있는 선거에 관한 기사를 게재한 신문을 통상방법 외의 방법으로 배부한 것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5. 3. 25. 선고 2005도39 판결 등 참조). 원심은, ① 피고인이 발행하는 ○○지역신문은 무가지인 지역신문으로서 광고주를 통하여 수입을 얻을 수밖에 없고 평소 경영난에 시달려 발행 횟수나 부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던 상황이어서 과거 지역 주민의 관심이 집중되는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 등 정치적 현안 또는 재개발, 재건축 등 지역적 현안이 있는 경우와 광고주의 특별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평균보다 발행부수를 늘려 15,000부 내지 20,000부, 30,000부가 발행되기도 하였으므로, 이 사건 선거 전의 2014. 3. 20.자 20,000부, 이 사건 각 기사가 게재된 2014. 5. 3.자 및 2014. 6. 2.자 각 20,000부의 ○○지역신문 발행은 평소보다 발행·배포 부수가 증가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점, ② 피고인은 이 사건 각 기사가 게재된 ○○지역신문도 종전과 마찬가지로 피고인의 아들과 아들의 친구 2명 등 총 3인의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여 상가나 아파트 입구 등에만 이를 배부하였던 것으로 보이고 피고인이 이를 종전과 다른 배부방법을 사용하여 배부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③ 이 사건 각 기사의 내용은 공소외 1의 기자회견 내용과 공소외 2의 선거공보 제11면의 내용을 취재하여 그대로 보도한 것으로서 공소외 3 예비후보자와 공소외 4 후보자 측의 각 해명과 반박내용을 함께 게재하여 비교적 객관적 사실을 보도한 것으로 보이는 점 등 그 판시와 같은 사정들을 들어, 피고인이 종전에 ○○지역신문을 발행하던 방법이나 범위를 일탈하여 공직선거법 제95조 제1항이 정한 ‘통상방법 외의 방법’으로 이를 배부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공직선거법 제95조 제1항의 ‘통상방법 외의 방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이상훈(주심) 김창석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발행인의 선거법 위반 논란

지역 신문 발행인이 평소보다 훨씬 많은 부수의 신문을 찍어 선거에 출마할 예정인 경쟁 후보를 비판하는 기사를 싣고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선거법 위반#신문 과다 배포#경쟁 후보 비판#통상방법 위반

형사판례

선거철 신문 배포, 조심하세요! 뿌린 만큼 책임도 따라옵니다.

선거 후보자에게 불리한 기사를 실은 신문을 평소보다 많이 인쇄하여 특정 정당에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광고 수주 목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선거법 위반#후보 비방 기사#신문 배포#특정 정당

형사판례

선거철 잡지 배포, 불법 선거운동일까?

선거 관련 기사가 실린 잡지 창간호를 무료로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 선거법에서 규제하는 신문, 잡지는 '상당 기간 반복적으로 발행된 정기 간행물'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잡지 창간호#무료 배포#선거법 위반#정기 간행물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발행인, 특정인 지지 기사로 사전선거운동 유죄

자신이 발행하는 지역 신문에 특정인을 지방의회의원 적임자로 소개하는 기사를 실어 배포한 행위는 언론의 자유를 넘어선 사전선거운동으로 판단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사전선거운동#지역신문#지지기사#유죄

형사판례

선거철, 인터넷 기사 공유도 조심해야 할까?

인터넷 카페 운영자가 선거 관련 기사를 회원들에게 이메일로 보낸 행위가 공직선거법 위반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기사를 단순히 복사해서 보낸 행위는 문서 배포죄로 처벌할 수 없지만, 신문 기사를 통상적인 방법이 아닌 방식으로 배포한 것은 선거법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선거법 위반#인터넷 카페#이메일 배포#신문기사

형사판례

선거운동 기간 중 인쇄물, 광고 배포 금지,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요!

선거운동 기간 중 법으로 정해진 방법 외의 인쇄물, 광고 배포를 금지하는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선거법위반#인쇄물배포#유죄#상고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