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위반ㆍ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사건번호:

2015도15618

선고일자:

2020090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 甲 유한회사의 노무이사인 피고인 乙이 2012. 9. 18. 회사 정문에서, 노동조합으로부터 단체교섭을 위임받은 교섭위원 丙이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하려고 하였으나 교섭 당일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출입을 거부하였다고 하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단체협약에 단체교섭 요청은 최소한 10일 전에 하도록 규정되었더라도 2012. 9. 18.을 단체교섭일로 지정한 2012. 9. 17.자 단체교섭 요청이 무효라고 할 수 없고, 2012. 9. 18.에 단체교섭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와 관계없이 丙은 단체교섭의 개최 여부 및 그 후속조치 등과 관련한 준비 내지 방어를 위하여 2012. 9. 18.에도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어 정당한 노조활동의 범위 내로서 회사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므로, 丙에게 정상적인 노조활동 이외의 목적으로 출입할 의사가 있었다거나 丙의 출입으로 회사의 업무운영ㆍ시설관리에 실질적인 지장이 초래된다는 등의 사정이 없는 이상 피고인 乙과 피고인 甲 회사의 丙에 대한 출입거부 행위는 노동조합의 조직ㆍ운영에 지배 또는 개입하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2020. 6. 9. 법률 제174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1조 제4호(현행 제81조 제1항 제4호 참조), 제90조, 제9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1 외 3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법무법인 베스트로 담당변호사 임성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15. 9. 17. 선고 2015노30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 3, 피고인 4 유한회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그 채택한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 각 사실을 인정한 다음, 다음과 같은 이유로 피고인 3, 피고인 4 유한회사(이하 ‘피고인 4 회사’라고 한다)에 대한 공소사실 중 각 2012. 9. 1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의 점을 유죄로 인정하였다. 이 사건 단체협약에 단체교섭의 요청은 최소한 10일 전에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2012. 9. 18.을 단체교섭일로 지정한 2012. 9. 17.자 단체교섭 요청이 효력이 없다고 할 수 없고, 2012. 9. 18.에 단체교섭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그 교섭위원인 공소외인은 단체교섭의 개최 여부 및 그 후속조치 등과 관련한 준비 내지 방어를 위하여 2012. 9. 18.에도 피고인 4 회사 노동조합 사무실을 방문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으므로 정당한 노조활동의 범위 내로서 피고인 4 회사의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는데, 공소외인에게 정상적인 노조활동 이외의 목적으로 출입할 의사가 있었다거나 공소외인의 출입으로 인하여 피고인 4 회사의 업무운영ㆍ시설관리에 실질적인 지장이 초래된다는 등의 사정이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이상 피고인 3과 피고인 4 회사의 공소외인에 대한 출입거부 행위는 이 사건 노동조합의 조직ㆍ운영에 지배 또는 개입하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따라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단체협약의 효력 및 노동조합 활동의 지배ㆍ개입으로 인한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피고인 1, 피고인 2의 상고에 대하여 피고인 1, 피고인 2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상고장에도 상고이유를 기재하지 아니하였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김재형 이동원 노태악(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노조전임자 임명, 회사가 교섭을 거부하면 부당노동행위일까요? 🤔

회사가 노조전임자 임명에 관한 교섭을 거부해도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므로, 법적으로 강제할 수는 없다.

#노조전임자#임의적 교섭사항#단체교섭#부당노동행위

일반행정판례

전쟁기념사업회 노조, 회장 발언에 부당노동행위 인정받아

전쟁기념사업회가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를 거부하고 회장의 발언으로 노조 활동을 방해한 것이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된 사례.

#전쟁기념사업회#부당노동행위#단체교섭 거부#노조활동 방해

상담사례

회사가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거부한다면? 😡

회사가 교섭창구 단일화를 위한 교섭요구 사실 공고를 거부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증거를 확보하여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해야 한다.

#교섭창구 단일화#교섭요구 사실 공고#부당노동행위#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형사판례

단체교섭 거부, 언제까지 정당할까?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를 거부할 때는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어떤 경우에 단체교섭 거부가 정당하지 않은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쟁의행위 중이거나, 교섭이 교착상태에 빠졌더라도 새로운 타협안이 제시되는 등의 사정변경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단체교섭에 응해야 합니다. 또한 노조가 제시한 교섭 일시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면 정당한 거부로 볼 수 없습니다.

#단체교섭 거부#정당한 이유#쟁의행위#교섭 교착상태

형사판례

직장폐쇄 중 노조 사무실 출입 제한, 정당할까요?

회사가 직장폐쇄를 하더라도 노조의 정상적인 활동을 위해 노조사무실 출입은 보장되어야 합니다. 단, 노조가 사무실을 쟁의활동에 이용하거나, 생산시설 점거 우려가 있고 회사가 대체 사무실을 제공하는 등의 예외적인 경우에는 출입 제한이 가능합니다.

#직장폐쇄#노조사무실#출입제한#정당성

민사판례

법원의 결정을 무시한 회사, 결국 불법행위로 인정되다!

회사가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도 불구하고 노동조합과의 단체교섭을 거부하면 불법행위가 된다.

#가처분 결정#단체교섭 거부#불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