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비

사건번호:

2016다26860

선고일자:

201609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4항에서 정한 임시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는 구분소유자의 수를 계산할 때 한 사람이 집합건물 내에 수 개의 구분건물을 소유한 경우, 1인의 구분소유자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4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서면쌍용플래티넘상가관리단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16. 6. 3. 선고 2015나1529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서(추가)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33조 제4항은 “관리인이 없는 경우에는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은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다. 이 정수는 규약으로 감경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구분소유자’라고 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위 규정에서 정한 임시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는 구분소유자의 수를 계산할 때에 한 사람이 그 집합건물 내에 수 개의 구분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이를 1인의 구분소유자로 보아야 한다. 2.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집합건물 내 전체 구분건물인 46개 호실 중 5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1, 11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2, 2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3 등 3명이 이 사건 집합건물에 관한 관리단 임시총회의 소집을 요구한 사실, 이에 따라 2014. 12. 5. 임시 관리단집회인 임시총회가 개최되어 소외 1을 원고의 대표자로 선임하는 결의가 이루어진 사실이 인정된다. 피고는 원심에서 첫째, 집합건물법 제33조 제4항에 따르면 관리인이 없는 경우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이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는데, 구분소유자의 5분의 1에 미달하는 구분소유자 3명만이 관리단집회를 소집하였고, 둘째, 집합건물법 제34조 제1항에 따라 관리단집회를 소집하려면 관리단집회 1주일 전에 회의의 목적사항을 구체적으로 밝혀 각 구분소유자에게 통지하여야 하는데, 원고는 관리단집회인 임시총회 2일 전인 2014. 12. 3.에 이르러서야 구분소유자 중 1인인 소외 4에게 소집통지를 하였으므로, 소외 1을 원고의 대표자로 선임한 2014. 12. 5.자 임시총회결의는 무효이고, 결국 이 사건 소는 대표권이 없는 자에 의하여 제기된 것으로서 부적법하다고 본안전항변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심으로서는 앞에서 본 법리에 따라 이 사건 집합건물 내에 수 개의 구분건물을 소유한 사람을 1인의 구분소유자로 계산하여 위 구분소유자 3명이 2014. 12. 5.자 관리단 임시총회를 소집할 당시 이 사건 집합건물의 전체 구분소유자가 몇 명이었는지를 심리한 다음, 집합건물법 제33조 제4항이 임시 관리단집회의 소집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이 소집할 것’이라는 요건을 충족하였는지 또는 이 사건 집합건물의 관리단 규약에서 위 규정이 정한 정족수 요건보다 감경된 정족수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면 그 규약에서 정한 정족수 요건을 충족하였는지를 살펴 위 2014. 12. 5.자 임시총회가 적법하게 소집되었는지를 판단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에 관한 심리 및 판단을 누락하여 피고의 첫 번째 본안전항변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피고의 두 번째 본안전항변만을 배척하였다.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임시 관리단집회의 소집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피고의 첫 번째 본안전항변에 대한 판단을 누락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일부 공간만 쓰는 사람들끼리 관리단 만들 수 있을까? - 일부공용부분관리단 구성의 조건

아파트 일부 공용 공간(예: 특정 동 주민만 쓰는 시설) 관리단을 만들 때는 관련 법률에 따라 정확한 절차를 거쳐야 하며, 소유자가 여러 호실을 가지고 있으면 1명으로 계산하고, 공동소유 호실은 대표자를 정해 의결권을 행사해야 한다.

#아파트#일부공용부분#관리단#구성절차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단 규약, 제대로 만들어졌을까?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상가나 사무실을 소유한 집합건물에서 관리단 규약을 만들 때, 그 사람은 소유한 상가/사무실 수만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한 명으로 계산해야 한다.

#집합건물#관리단규약#구분소유자#

민사판례

아파트 공동소유, 의결권 행사는 어떻게?

아파트처럼 여러 사람이 소유권을 나눠 갖는 집합건물에서, 한 세대를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경우 관리단 회의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사람은 한 명으로 정해야 하며, 이를 어기고 각자 지분대로 의결권을 행사하면 무효입니다.

#공유자#관리단집회#의결권#대표자

민사판례

상가 공유자의 관리비 연대납부 책임

상가 건물의 일부를 공유하며 숙박업을 운영하는 공유자들은 관리비에 대해 지분 비율이 아닌 연대하여 전액을 납부할 책임이 있다.

#상가#공유자#관리비#연대납부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재건축, 상가 소유자 동의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

아파트 단지 내 상가처럼 구분등기가 안 된 건물이라도, 구분소유 의도가 있고 구조/이용상 독립적이면 구분소유권이 인정된다. 따라서 재건축 시 각 구분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한 명의 대표 동의만으로는 부족하다.

#구분소유권#재건축#동의 요건#구분등기

민사판례

찜질방으로 변신한 낡은 상가, 관리비는 누구에게 내야 할까?

건물 일부가 구조적으로 변경되어도 전체 건물은 집합건물법 적용 대상이 되며, 관리단은 당연히 성립되고, 공유 부분 소유자는 협의 또는 과반수 지분으로 의결권 행사자를 정해야 한다.

#집합건물법#구조변경#공유#관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