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대금

사건번호:

2016다52265

선고일자:

201707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금전채무에 관하여 이행지체에 대비한 지연손해금 비율을 따로 약정한 경우,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민법 제398조 제2항, 이자제한법 제6조에 의한 감액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적극) [2] 손해배상 예정액을 감액하기 위한 요건인 ‘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 및 금전채무의 불이행에 대하여 손해배상액을 예정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연체금리도 고려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 손해배상의 예정액이 부당한지 여부나 그에 대한 적당한 감액의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 시점(=사실심 변론종결 당시) 및 이때 감액사유에 대한 사실인정이나 비율을 정하는 것이 사실심의 전권사항인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1] 민법 제398조 제2항은 손해배상의 예정액이 부당히 과다한 경우에는 법원이 이를 적당히 감액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금전채무의 불이행에 관하여 적용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자제한법 제6조는 법원은 당사자가 금전을 목적으로 한 채무의 불이행에 관하여 예정한 배상액을 부당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상당한 액까지 이를 감액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금전채무에 관하여 이행지체에 대비한 지연손해금 비율을 따로 약정한 경우에 이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감액의 대상이 된다. [2] 손해배상 예정액을 감액하기 위한 요건인 ‘부당성’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지위, 계약의 목적과 내용, 손해배상액을 예정한 동기, 채무액에 대한 예정액의 비율, 예상 손해액의 크기, 당시의 거래관행 등 모든 사정을 참작하여 일반 사회관념에 비추어 예정액의 지급이 경제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채무자에게 부당한 압박을 가하여 공정성을 잃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에 인정된다. 특히 금전채무의 불이행에 대하여 손해배상액을 예정한 경우에는 위에서 든 고려요소 이외에 통상적인 연체금리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손해배상의 예정액이 부당한지 여부나 그에 대한 적당한 감액의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법원이 구체적으로 판단을 하는 때, 즉 사실심의 변론종결 당시이다. 이때 감액사유에 대한 사실인정이나 비율을 정하는 것은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항이다.

참조조문

[1] 민법 제397조 제1항, 제398조 제1항, 제2항, 이자제한법 제6조 / [2] 민법 제398조 제2항, 이자제한법 제6조, 민사소송법 제432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2000. 7. 28. 선고 99다38637 판결(공2000하, 1929), 대법원 2017. 5. 30. 선고 2016다275402 판결(공2017하, 1367) / [2]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6212 판결(공1993상, 702),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15371 판결(공1997하, 2698), 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7다59493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현대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충정 담당변호사 하광호 외 4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6. 10. 27. 선고 2016나1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민법 제398조 제2항은 손해배상의 예정액이 부당히 과다한 경우에는 법원이 이를 적당히 감액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금전채무의 불이행에 관하여 그 적용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자제한법 제6조는 법원은 당사자가 금전을 목적으로 한 채무의 불이행에 관하여 예정한 배상액을 부당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상당한 액까지 이를 감액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금전채무에 관하여 이행지체에 대비한 지연손해금 비율을 따로 약정한 경우에 이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감액의 대상이 된다고 보아야 한다. 손해배상 예정액을 감액하기 위한 요건인 ‘부당성’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지위, 계약의 목적과 내용, 손해배상액을 예정한 동기, 채무액에 대한 예정액의 비율, 예상 손해액의 크기, 그 당시의 거래관행 등 모든 사정을 참작하여 일반 사회관념에 비추어 그 예정액의 지급이 경제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채무자에게 부당한 압박을 가하여 공정성을 잃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에 인정된다. 특히 금전채무의 불이행에 대하여 손해배상액을 예정한 경우에는 위에서 든 고려요소 이외에 통상적인 연체금리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손해배상의 예정액이 부당한지 여부나 그에 대한 적당한 감액의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법원이 구체적으로 그 판단을 하는 때, 즉 사실심의 변론종결 당시이다(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6212 판결,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15371 판결, 대법원 2000. 7. 28. 선고 99다38637 판결 등 참조). 이때 감액사유에 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항이다(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7다59493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분양대금이나 옵션공사대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미지급금에 대하여 약정 연체이율에 따른 지연손해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약정은 부당하게 과다하다고 하면서, 원심 변론 종결일인 2016. 7. 7. 기준으로 그 지연손해금을 4,800만 원으로 감액하였다. 그 이유로 피고 등 수분양자들이 관련 소송의 판결 확정 시까지 분양계약의 취소·해제 등을 주장한 것에 근거가 전혀 없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위 기간에 대하여 약정 연체이율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수분양자들에게 부당한 압박을 가하여 공정을 잃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여 이를 감액할 필요가 있는 점, 그러나 관련 소송의 판결 확정 후에는 피고 등 수분양자들이 그 분양계약에 따른 잔금 등을 납부하지 않은 데에 정당한 이유가 없고 약정 연체이율이 유사한 분양계약에서 통상적으로 정해지는 범위 내에 있어 그 기간에 대해서는 감액사유가 있다고 보이지 않는 점 등의 사정들을 들었다. 원심의 판단은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손해배상 예정액 감액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잘못이 없다. 3. 원고의 상고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권순일 김재형(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연체이자, 너무 많이 내야 하나요? - 지연손해금 감액

계약서에 적힌 연체이자(지연손해금)가 너무 높으면 법원이 깎아줄 수 있습니다. 특히 약속된 날짜까지 돈을 못 갚은 사람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면, '부당하게 과다한' 연체이자를 줄여주는 것이 공정하다는 판결입니다.

#연체이자#지연손해금#감액#민법 제398조

상담사례

아파트 분양대금 연체이자, 폭탄 맞았다고요? 잠깐! 감액받을 수 있을지도 몰라요!

아파트 분양대금 연체이자는 계약서상 이자율이 높더라도 법원 판단에 따라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감액될 수 있다.

#분양대금#연체이자#감액#민법 제398조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대금 연체이자, 무조건 내야 할까?

아파트 분양 계약에서 정한 지연손해금이 '부당하게 과다'하다면 법원이 감액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분양사의 허위·과장 광고 등으로 분양계약의 효력에 대한 다툼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면, 수분양자에게 지연손해금 부담을 지우는 것이 부당한 압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파트 분양#지연손해금 감액#부당한 압박#허위·과장 광고

상담사례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 연체이자 폭탄?! 💣 지연손해금 감액 받을 수 있을까요?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 시 과도한 지연손해금은 민법 제398조에 따라 법원에서 감액될 수 있지만, 당사자 상황, 계약 내용, 연체이율 산정 이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므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다.

#아파트 분양계약 해지#지연손해금 감액#손해배상액 예정#연체이율

민사판례

돈 늦게 갚을 때 내는 연체이자, 이자 제한과 관련 있을까?

돈을 빌리고 늦게 갚을 때 내는 연체이자는 1년 이내의 단기이자 계산 방식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연체이자#단기이자#계산방식#민법 제163조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대금 연체이율,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아파트 분양대금 연체 시, 연체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약정서에 명시된 가장 높은 연체이율을 전체 기간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체 기간을 구간별로 나누어 각 구간에 해당하는 이율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약정된 연체이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법원이 이를 감액할 수 있다.

#분양대금 연체이율#구간별 적용#연체이율 감액#약정 이율 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