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단체등위탁선거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16도21295

선고일자:

201703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상 ‘기부행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여 위법성이 조각되는 경우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20조,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제32조, 제33조 제1항 제1호, 제2호, 제35조 제5항, 제59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1. 2. 24. 선고 2010도14720 판결(공2011상, 68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연 담당변호사 우석환 외 5인 【원심판결】 전주지법 2016. 12. 1. 선고 2015노127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상 기부행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지극히 정상적인 생활형태의 하나로서 역사적으로 생성된 사회질서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일종의 의례적 행위나 직무상의 행위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여 위법성이 조각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그와 같은 사유로 위법성의 조각을 인정함에는 신중을 요한다(대법원 2011. 2. 24. 선고 2010도14720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이 피고인이 산림조합장으로 재임하던 중 조합원 3명에게 합계 1,044,000원의 떡갈비 36세트를 제공한 방법과 이에 소요된 자금, 피고인이 떡갈비를 제공한 시기와 양, ○○군 산림조합이 버섯떡갈비 판매사업을 위해 그 사업계획에 따라 우량금융고객이나 기관장에게 떡갈비를 제공한 경우와의 차이 등 제반 사정을 들어 피고인의 위와 같은 행위가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제1호 또는 제2호에서 정한 직무상의 행위 또는 의례적 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여 위법성이 조각되는 경우로 볼 수도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의 행위가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위법성이 없는 행위라는 주장을 배척하고,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기부행위와 그 위법성 조각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이 조합원에게 제공한 떡갈비 1세트의 시가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때의 통상적인 가격인 29,000원이라고 판단한 것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김용덕 김신(주심)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설날 선물세트, 선거법 위반일까? - 가스충전소 사장님의 택시기사 선물 증정 이야기

선거 출마 예정자가 명절 선물을 돌린 행위가 선거법 위반인지 여부를 판단한 사례. 가스충전소를 운영하던 군수 출마 희망자가 단골 택시기사들에게 저렴한 선물세트를 제공한 것은 사회상규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무죄.

#구정 선물세트#선거법 위반#사회상규#위법성 조각

형사판례

농협 조합장의 재임 중 기부행위, 과연 처벌될까?

재임 중인 농협 조합장이 조합원들에게 선물(배, 귤, 음료수 등)을 제공한 행위는 조합의 공식적인 사업과 관련 없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뤄진 기부행위로 판단되어 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습니다.

#농협#조합장#기부행위#선거법 위반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기부행위의 허용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이 판례는 선거구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기부행위를 한 경우, 그 대상이 선거구민과 직접적인 연고가 없더라도 기부행위 금지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점과, 기부행위가 의례적 행위나 직무상 행위가 아니더라도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선거구#기부행위#위법성 조각#사회상규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누가 기부했는지 따져봐야 할까? 회사 직원 식사 제공, 선거법 위반일까?

회사 직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선거운동을 한 피고인의 행위가 공직선거법 위반인지 여부, 기부행위의 주체와 대상, 선거운동의 범위 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선거법 위반#기부행위#선거운동#기부행위 주체

형사판례

조합장 선거, 돈 뿌리면 안 돼요! 💰

돈으로 조합원 매수를 시도한 조합장 후보자에게 유죄 판결. 선거운동 목적으로 금품을 직접 제공하거나 제공을 지시하는 행위 모두 위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

#조합장 선거#현금 제공#제공 지시#유죄 판결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쟁점은 무엇이었을까?

이 판례는 지방교육감 선거에서 선거운동기간 전에 이루어진 행위들이 사전선거운동 및 기부행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질렀는지(공모공동정범) 여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행위가 일상적인 행위가 아닌 사전선거운동 및 기부행위에 해당하고, 서로 공모하여 범죄를 저질렀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교육감 선거#사전선거운동#기부행위#공모공동정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