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위반

사건번호:

2016도556

선고일자:

201606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의료법 제56조 제3항에서 정한 ‘의료광고’의 의미 및 위 규정에 의하여 금지되는 의료광고에 의료인의 경력 등 의료와 관련된 모든 내용의 광고가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의료법 제56조 제3항, 제8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북부지법 2015. 12. 17. 선고 2015노127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의료법 제56조 제3항은 ‘의료법인·의료기관 또는 의료인은 거짓이나 과장된 내용의 의료광고를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의료광고’라 함은 의료법인·의료기관 또는 의료인이 그 업무 및 기능, 경력, 시설, 진료방법 등 의료기술과 의료행위 등에 관한 정보를 신문·인터넷신문, 정기간행물, 방송, 전기통신 등의 매체나 수단을 이용하여 널리 알리는 행위를 의미하고, 위 규정에 의하여 금지되는 의료광고에는 의료행위는 물론 의료인의 경력 등 의료와 관련된 모든 내용의 광고가 포함된다. 또한 사실의 인정과 그 전제가 되는 증거의 취사선택은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사실심법원의 전권에 속한다. 원심은, 제1심 증인 공소외인의 증언 등을 토대로 피고인이 자신의 인터넷 블로그에 거짓 내용이 기재된 명패를 사진 촬영하여 게시함으로써 그 이력에 관하여 거짓 광고를 하였다는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의료광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위법이 없다.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는 사유는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 한하여 상고이유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벌금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이에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박병대(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병원 내 약력 게시, 의료광고일까요?

병원 내부에 게시된 의사 약력은 의료광고로 볼 수 없다. 의료광고는 신문, 방송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널리 알리는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의료광고#약력게시#병원내부#불특정다수

형사판례

진료기록부 허위 작성, 벌금형? 아니에요!

실제보다 더 많은 치료를 한 것처럼 진료기록부에 허위로 기재했더라도 옛 의료법(2000년 1월 12일 개정 전)에서는 벌금형에 처할 수 없다. 면허 정지는 가능할 수 있지만, 형사처벌 대상은 아니다.

#진료기록부 허위기재#옛 의료법#무죄#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병원 운영자도 처벌받을 수 있다? 의료법 위반과 양벌규정에 대한 이야기

병원에서 간호사가 진료기록부를 거짓으로 작성했을 경우, 병원 운영자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병원 운영자가 거짓 작성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주의와 감독을 기울였다면 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병원 운영자의 주의 및 감독 의무 준수 여부를 판단합니다.

#진료기록부 거짓 작성#병원 운영자 처벌#양벌규정#주의 의무

형사판례

의사가 직원 시켜 불법 의료행위, 누가 책임질까?

의사가 직원에게 의료법 위반 행위를 시켰을 경우, 의사는 교사범으로 처벌받는다. 또한, 이 사건에서 공소장 변경을 허가하지 않은 것은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의사#교사범#의료법 위반#양벌규정

형사판례

의료기록 수정, 범죄일까? - 의료법 위반 논란 정리

의료인이 자신이 작성한 전자의무기록의 의료 내용 부분을 수정하는 행위는 의료법 위반(개인정보 변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전자의무기록의 '개인정보'에는 환자의 인적 사항뿐 아니라 의료 내용도 포함되지만, 의료인은 정확한 기록을 위해 자신이 작성한 기록을 수정할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의료법#전자의무기록#수정#개인정보

일반행정판례

레이저 임플란트 시술 광고, 의료법 위반일까?

치과의사가 홈페이지에 "레이저 임플란트 시술은 통증과 출혈이 거의 없습니다"라고 광고한 것에 대해, 법원은 소비자를 현혹할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면허자격정지 처분을 취소했습니다.

#치과의사#홈페이지#임플란트#레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