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경정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16두47123

선고일자:

201611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선박을 건조하는 甲 주식회사가 외국법인들과 체결한 선박 건조·인도 계약에 인도약정일 이후 일정한 유예기간이 경과하도록 선박의 인도가 지연되는 경우 지연일수에 따라 계약가격이 조정되는 것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는데, 甲 회사가 선박을 지연하여 인도한 후 선주로부터 선박대금을 전액 지급받았다가 대금감액분과 이자를 지급하거나 선주로부터 대금감액분을 공제한 잔액만 지급받은 후, 대금감액분과 이자에 대하여 소득 세율 20%를 적용하여 원천징수하고 납부한 다음 원천징수금액에 대하여 환급결정을 받기 위해 경정청구를 하였으나 과세관청이 경정을 거부하는 처분을 한 사안에서, 선주에게 지급하거나 선박대금에서 공제된 대금감액분과 이자는 선박가격에서 차감되는 금액이므로 각 선주의 국내원천소득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위 금액이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 및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에서 정한 기타소득에 해당한다는 전제에서 이루어진 처분이 위법하다고 본 원심 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3조 제11호 (나)목[현행 제93조 제10호 (나)목 참조],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12. 30. 대통령령 제225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2조 제10항, 법인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10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홍 외 4인) 【피고, 상고인】 통영세무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세한 담당변호사 강남규 외 1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16. 7. 13. 선고 (창원)2015누1223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법인세법’이라 한다) 제93조 제11호 (나)목 및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은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의 하나로 ‘국내에서 지급하는 위약금이나 배상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득’을 들고 있고, 그 위임에 따른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12. 30. 대통령령 제225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및 법인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10항은 이를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지급받는 손해배상으로서 그 명목 여하에 불구하고 본래의 계약내용이 되는 지급자체에 대한 손해를 넘어 배상받는 금전 또는 기타 물품의 가액’으로 규정하고 있다.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① 이 사건 각 계약서에서는 인도약정일 이후 일정한 유예기간이 경과하도록 선박의 인도가 지연되는 경우 계약가격이 조정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이 문언상 명백하므로, 위와 같은 인도지연의 경우에는 그 문언대로 당사자들 사이에 계약가격을 조정하기로 하는 의사의 합치가 있었다고 보아야 하는 점, ② 선박의 인도가 지연되더라도 가격조정기간이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매수인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고, 계약해제 시에는 별도의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을 뿐 위 가격조정조항이 적용되지 않는 점, ③ 원고는 선주로부터 원래의 선박대금에서 인도지연에 따른 이 사건 금액을 공제한 나머지 대금만을 지급받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원고가 일부 선주와 인도지연의 귀책사유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여 계약서상 즉시지급조항에 따라 일단 해당 선박대금을 전부 지급받고 국제중재절차 결과에 따라 사후적으로 대금감액분과 그에 대한 이자를 반환하였다고 하여 달리 보기 어려운 점, ④ 선박의 인도가 지연된 경우 선주의 손해를 고려하여 선박가격을 감액하기로 한 것이라도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금액을 선주에 대한 별개의 소득으로 볼 수 없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사건 금액은 이 사건 선박가격에서 차감되는 금액이므로 이 사건 각 선주의 국내원천소득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금액이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 및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에서 정한 기타소득에 해당한다는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규정과 관련 법리에 따라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다. 거기에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 및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에서 정한 기타소득의 범위, 실질과세의 원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선수금이자, 과세대상일까? 외국 선주사에 돌려준 이자에 대한 법인세 분쟁 이야기

외국 선주사가 선박 건조 계약 해지로 인해 돌려받은 선수금에 대한 이자는, 단순히 계약 위반에 대한 배상금을 넘어 실제 손해를 보전하는 범위 내라면 원천징수 대상이 아니다.

#선수금 이자#원천징수#실제 손해 배상#기타소득

세무판례

선수금이자, 과세 대상일까? - 외국법인의 손해배상금과 국내 원천소득

외국 선주사가 국내 조선사와의 선박 건조 계약 해지로 선수금과 그 이자를 돌려받은 경우, 이자가 외국 법인의 국내 원천 소득에 해당하여 세금을 내야 하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이자가 실제 손해를 보전하는 범위 내라면 과세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선박 건조 계약 해지#선수금 이자#국내 원천 소득#외국 법인

세무판례

미지급 대금에 대한 지연손해금, 이자 아니고 기타소득!

부동산 매매대금 지연에 따른 손해금은 기타소득에 해당하며, 이를 받을 수 있음에도 받지 않거나 면제해주면 세금 부담을 부당하게 줄인 것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추징할 수 있다.

#부동산 매매대금#지연손해금#기타소득#부당행위계산 부인

세무판례

해외 선주에게 지급한 수수료, 국내원천소득일까?

해외 선주가 국내 조선사에 발주한 선박에 국내 페인트를 사용하도록 지정하고, 국내 페인트 회사가 그 대가로 해외 선주에게 수수료를 지급한 경우, 이 수수료는 해외 선주의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다.

#페인트 수수료#국내원천소득#해외선주#조선사

세무판례

원양어선 중개수수료와 국내원천소득, 그리고 세금 경정에 대한 이야기

한국에 지점을 둔 일본 무역회사가 한국 수산회사와의 거래에서 얻은 수수료가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세금 감액 결정에 대해 불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해당 수수료가 국내원천소득이며, 최종적으로 세금이 감소한 경정처분에는 불복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국내원천소득#경정처분#불복#수수료

민사판례

운송물 인도 지연 시 손해배상 청구, 언제까지 해야 할까?

이 판례는 운송물이 제때 인도되지 않았을 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한과 운송주선인의 책임 범위에 대해 다룹니다. 운송물 인도 예정일로부터 1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며, 운송주선인이 단순히 타인의 대리인으로서 선하증권을 작성한 경우에는 운송주선인으로서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운송물 인도 지연#소송 제기 기한#운송주선인 책임#선하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