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6마5908
선고일자:
20190325
선고:
자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1] 학교가 민사소송에서 당사자능력이 인정되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및 이러한 법리는 비송사건에서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2] 甲 외국인학교의 이사인 乙이 甲 학교의 임시이사를 선임해달라는 신청을 한 사안에서, 위 신청은 甲 학교의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않아 부적법하므로 각하하여야 하는데도, 이를 간과하고 본안에 대하여 판단한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1] 학교는 교육시설의 명칭으로서 일반적으로 법인도 아니고 대표자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도 아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민사소송에서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법리는 비송사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 甲 외국인학교의 이사인 乙이 甲 학교의 임시이사를 선임해달라는 신청을 한 사안에서, 甲 학교가 구 초·중등교육법(2012. 3. 21. 법률 제113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구 각종학교에 관한 규칙(2015. 3. 5. 교육부령 제57호 초·중등교육법 시행규칙 부칙 제2조로 폐지) 제12조에 따라 외국인인 丙 개인이 설립한 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甲 학교가 설립·운영자와 독립하여 독자적인 존재와 활동을 할 수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위 신청은 甲 학교의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않아 부적법하므로 각하하여야 하는데도, 이를 간과하고 본안에 대하여 판단한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1] 민사소송법 제51조, 제52조 / [2] 민사소송법 제51조, 제52조, 비송사건절차법 제33조, 구 초·중등교육법(2012. 3. 21. 법률 제113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구 각종학교에 관한 규칙(2015. 3. 5. 교육부령 제57호 초·중등교육법 시행규칙 부칙 제2조로 폐지) 제12조(현행 삭제)
[1] 대법원 1977. 8. 23. 선고 76다1478 판결, 대법원 2001. 6. 29. 선고 2001다21991 판결(공2001하, 1737), 대법원 2017. 3. 15. 선고 2014다208255 판결(공2017상, 739)
【신청인, 재항고인】 신청인(영문 이름 1 생략)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장상균 외 2인) 【사건본인】 ○○○○외국인학교 【이해관계인】 이해관계인 1(영문 이름 2 생략) 외 2인 【원심결정】 서울고법 2016. 10. 10.자 2016라20260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한다. 제1심결정을 취소하고, 이 사건 신청을 각하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학교는 교육시설의 명칭으로서 일반적으로 법인도 아니고 대표자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도 아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민사소송에서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대법원 1977. 8. 23. 선고 76다1478 판결, 대법원 2001. 6. 29. 선고 2001다21991 판결, 대법원 2017. 3. 15. 선고 2014다208255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는 비송사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 신청인은 사건본인의 임시이사를 선임해달라는 이 사건 신청을 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사건본인은 2006. 6. 12. 경기도 교육감으로부터 구 초·중등교육법(2012. 3. 21. 법률 제113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구 각종학교에 관한 규칙(2015. 3. 5. 교육부령 제57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제12조에 따라 신청외인(영문 이름 3 생략) 개인이 설립한 학교로 인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고, 사건본인이 설립·운영자와 독립하여 독자적인 존재와 활동을 할 수 있는 법인격 없는 사단 또는 재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사건 신청은 사건본인의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않아 부적법하므로 각하하였어야 한다. 그런데도 제1심은 이를 간과하여 이 사건 신청을 기각하였고, 원심은 제1심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므로, 제1심의 판단과 원심의 판단은 모두 당사자능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자판하기로 하여 위와 같은 이유로 제1심결정을 취소하고, 이 사건 신청을 각하하기로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조희대 김재형(주심) 민유숙
상담사례
학교는 법적 주체가 아니므로 학교 이름으로 소송할 수 없고, 학교 설립자나 학교법인 등 권리와 의무를 가진 주체가 소송해야 한다.
민사판례
서울대학교는 국가가 설립·경영하는 교육시설의 명칭일 뿐, 법인격이 없기 때문에 소송 당사자가 될 수 없다.
민사판례
외국인학교 총감 개인이 지자체와 학교 설립 협약을 맺은 후, 지자체가 협약 해지를 통보하자 학교가 협약 유효확인 소송을 제기한 사건. 대법원은 학교가 아닌 총감 개인이 협약 당사자이므로 학교는 협약 해지로 인한 직접적인 법적 불안이 없어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 또한 학교 자체는 원칙적으로 소송 당사자능력이 없다고 지적하여 원심 파기 환송.
민사판례
사립학교법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파견한 임시이사는 정식이사를 선임할 권한이 없다. 또한, 이사 개인을 상대로 이사 지위 확인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부적법하다.
상담사례
학교법인 이사회 결의 무효 확인 소송에서 제3자는 소송 결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공동소송참가가 불가능하며, 이의를 제기하려면 별도의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민사판례
유치원 이름으로 소송을 걸었더라도, 그 유치원이 법적으로 소송을 할 수 있는 자격(당사자 능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소장에 적힌 이름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고, 실제로 누가 운영하고 있는지, 법적으로 독립된 단체인지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