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위반

사건번호:

2018도525

선고일자:

202107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2인 이상이 저작물의 작성에 관여한 경우, 저작자가 누구인지 판단하는 기준 및 이는 저작자로 인정되는 자와 공동저작자로 표시할 것을 합의하였더라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저작권법 제2조 제1호, 제2호, 제21호, 제137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3. 6. 8. 선고 93다3073, 3080 판결(공1993하, 2002), 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7도7181 판결(공2010상, 171), 대법원 2020. 6. 25. 선고 2018도13696 판결(공2020하, 1552)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1 외 1인 【상 고 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17. 12. 14. 선고 2017노53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저작권법 제2조 제1호는 저작물을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제2호는 저작자를 ‘저작물을 창작한 자’로, 제21호는 공동저작물을 ‘2명 이상이 공동으로 창작한 저작물로서 각자의 이바지한 부분을 분리하여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각 규정하고 있다. 저작권은 구체적으로 외부에 표현한 창작적인 표현형식만을 보호대상으로 하므로, 2인 이상이 저작물의 작성에 관여한 경우 그중에서 창작적인 표현형식 자체에 기여한 자만이 그 저작물의 저작자가 되고, 창작적인 표현형식에 기여하지 아니한 자는 비록 저작물의 작성 과정에서 아이디어나 소재 또는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관여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저작물의 저작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저작자로 인정되는 자와 공동저작자로 표시할 것을 합의하였다고 하더라도 달리 볼 것이 아니다(대법원 1993. 6. 8. 선고 93다3073, 3080 판결, 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7도718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 2는 이 사건 개정판 교재의 저작자라고 볼 수 없고, 이 사건 교재의 원저작자인 피고인 1은 그 사실을 알면서도 이 사건 개정판 교재에 피고인 2를 공동저작자로 표시하는 것을 승낙하였다고 보아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저작물의 창작성 및 공동저작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이기택 박정화(주심) 김선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여러 명이 작업했을 때 누가 저작권자일까요?

여러 사람이 함께 책을 쓰더라도, 실제로 창작적인 글쓰기에 참여한 사람만 저작자로 인정된다. 단순히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자료를 모아준 사람은 저작자가 아니다. 함께 쓴 것처럼 이름을 올리기로 약속했더라도 마찬가지다.

#저작자#공동저작자#창작적 표현#글쓰기

생활법률

내 창작물, 함부로 건드리지 마세요! 저작인격권 완전 정복

저작인격권은 창작자의 인격과 명예를 보호하는 권리로,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을 포함하며 양도나 포기가 불가능하고 침해 시 처벌받을 수 있다.

#저작인격권#공표권#성명표시권#동일성유지권

상담사례

여러 사람이 함께 만든 작품, 내 권리는 어떻게 지킬까? (공동저작물과 정신적 손해배상)

공동저작물의 저작권 침해로 정신적 손해를 입은 경우, 공동저작자 각자는 다른 저작자의 동의 없이도 단독으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공동저작물#저작권침해#정신적 손해배상#개별청구

형사판례

공동저작물, 나도 마음대로 쓸 수 있을까?

공동저작물의 경우, 한 명의 저작자가 다른 저작자의 동의 없이 저작물을 이용하더라도 저작권 침해가 아니다.

#공동저작물#저작권 침해#동의 불필요#저작권료 배분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을 올리면 안 되는 이유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작물에 자신의 이름이나 가명을 저작자로 표시해서 공개하면, 그 저작물이 이미 공개되었더라도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저작권법 위반#저작자 허위표시#공표#저작인격권

형사판례

내 창작물,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 2차적 저작물도 저작권이 있을까?

다른 사람의 책을 참고해서 새 책을 썼더라도, 단순히 베낀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이나 해석이 담겨있다면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책은 '2차적 저작물'이라고 부르며, 원본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저작권#2차적저작물#독창적표현#정신적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