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원천징수처분등취소

사건번호:

2018두35131

선고일자:

201904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 및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10항 규정의 취지 / 외국법인이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위약금 또는 배상금 명목으로 지급받은 돈이 계약과 관련하여 순자산의 감소를 일으키는 현실적인 손해에 대한 전보 범위 내인 경우, 위 규정에서 말하는 ‘본래의 계약내용이 되는 지급 자체에 대한 손해를 넘어 배상받는 금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3조 제11호 (나)목[현행 제93조 제10호 (나)목 참조], 법인세법 제93조 제10호 (나)목,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12. 30. 대통령령 제225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2조 제10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하나은행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율촌 담당변호사 강석훈 외 4인) 【피고, 상고인】 남대문세무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남산 담당변호사 이창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8. 1. 17. 선고 2017누4636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사안의 개요 가. 주식회사 신아에스비(변경 전 상호 ‘에스엘에스조선 주식회사’) 외 1개 조선사들(이하 ‘국내조선사들’이라고 한다)은 2006. 6. 9.부터 2006. 10. 27.까지 사이에 Pomos Shippping Co., Ltd. 외 2개 외국법인들(이하 ‘외국선주사들’이라고 한다)로부터 총 4척의 선박건조를 도급받는 계약(이하 ‘이 사건 각 선박건조계약’이라고 한다)을 체결하였다. 나. 이 사건 각 선박건조계약 중에는, 외국선주사들은 선박건조가 완료되기 전에 국내조선사들에게 선박대금의 일부를 먼저 지급하여야 하고, 이 사건 각 선박건조계약이 위약 또는 해약 등의 사유로 인하여 종료되는 경우 국내조선사들은 외국선주사들에게 이미 수령한 선박대금(이하 ‘선수금’이라고 한다) 및 그에 대하여 수령일부터 환급일까지 연 7%의 비율로 계산한 이자를 환급하여야 하나, 선수금과 선수금이자의 환급은 쌍방 당사자의 상대방에 대한 모든 의무, 직무 및 법적 책임을 면제하며, 계약의 준거법으로 영국법을 따른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 한편 원고는 2006. 8. 24.부터 2008. 3. 31.까지 사이에 외국선주사들과 이 사건 각 선박건조계약에 따른 국내조선사들의 외국선주사들에 대한 선수금 및 그 이자 환급채무를 보증하는 각 계약(이하 ‘이 사건 각 보증계약’이라고 한다)을 체결하였다. 라. 그런데 외국선주사들은 선박 인도 지연 등의 사유로 국내조선사들과의 이 사건 각 선박건조계약을 해제하였고, 이 사건 각 보증계약에 근거하여 원고에게 국내조선사들이 지급받은 선수금과 그 이자의 지급을 청구하였다. 마. 이에 따라 원고는 2010. 8. 17.부터 2010. 9. 16.까지 사이에 외국선주사들에게 각 선수금(이하 ‘쟁점 선수금’이라고 한다) 및 그 이자(이하 ‘쟁점 선수금이자’라고 한다)를 지급하였다. 바. 피고는, 쟁점 선수금이자가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법인세법’이라고 한다) 제93조 제11호 (나)목에 따른 기타소득으로서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는데도 원고가 이에 대한 원천징수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원고에게 2010 사업연도 원천징수 법인세 및 이에 대한 원천징수납부불성실가산세를 징수·부과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 2.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은 “국내에서 지급하는 위약금 또는 배상금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소득”을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른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12. 30. 대통령령 제225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2조 제10항(이하 ‘이 사건 조항’이라고 한다)은 위 법조항에서 말하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소득’이란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지급받는 손해배상으로서 그 명목 여하에 불구하고 본래의 계약내용이 되는 지급 자체에 대한 손해를 넘어 배상받는 금전 또는 기타 물품의 가액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사건 조항의 취지는, 재산권에 관한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지급받는 외국법인의 위약금과 배상금이 계약상대방의 채무불이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의 실제 감소액에 대한 배상으로서 순자산의 증가가 없는 경우에는 ‘본래의 계약내용이 되는 지급 자체에 대한 손해’에 해당하여 이를 기타소득으로 볼 수 없지만, 이를 초과하여 위약금과 배상금을 지급받았다면 이는 손해의 전보를 넘어 새로운 수입이나 소득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인 기타소득에 해당하므로 과세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규정 내용 및 취지에 비추어 보면, 외국법인이 계약의 위약 또는 해약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위약금 또는 배상금 명목의 돈을 지급받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계약과 관련하여 순자산의 감소를 일으키는 현실적인 손해에 대한 전보 범위 내라면, 이는 이 사건 조항에서 말하는 ‘본래의 계약내용이 되는 지급 자체에 대한 손해를 넘어 배상받는 금전’에 해당하지 않는다. 나.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쟁점 선수금이자는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에서 규정한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구 법인세법 제93조 제11호 (나)목에서 정한 위약금 또는 배상금, 특별손해의 증명책임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조희대 민유숙 이동원(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선수금이자, 과세 대상일까? - 외국법인의 손해배상금과 국내 원천소득

외국 선주사가 국내 조선사와의 선박 건조 계약 해지로 선수금과 그 이자를 돌려받은 경우, 이자가 외국 법인의 국내 원천 소득에 해당하여 세금을 내야 하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이자가 실제 손해를 보전하는 범위 내라면 과세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선박 건조 계약 해지#선수금 이자#국내 원천 소득#외국 법인

세무판례

국외지배주주에게 지급하는 이자, 배당소득인가 이자소득인가?

국내 기업이 해외 모기업에서 돈을 빌릴 때, 빌린 금액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이자의 일부를 배당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매기는데, 이때 조세 조약이 있다면 조약에 따라 이자를 배당이 아닌 이자로 볼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이러한 배당간주 이자에 대한 원천징수 의무는 세무서의 통지를 받은 날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다는 판결입니다.

#과소자본세제#조세조약#배당간주이자#원천징수

세무판례

외화표시채권 이자소득에 대한 법인세 면제와 과세제척기간

세금 부과 기간이 지났더라도 소송 중이면 세무서가 세금을 줄여주는 결정을 할 수 있고, 외화표시채권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 면제는 이자 전체가 아니라 순수익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는 판결.

#과세제척기간#과세처분변경#외화표시채권#이자소득

세무판례

해외 선주에게 지급한 수수료, 국내원천소득일까?

해외 선주가 국내 조선사에 발주한 선박에 국내 페인트를 사용하도록 지정하고, 국내 페인트 회사가 그 대가로 해외 선주에게 수수료를 지급한 경우, 이 수수료는 해외 선주의 국내원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다.

#페인트 수수료#국내원천소득#해외선주#조선사

세무판례

선박 인도 지연에 따른 대금 감액은 외국 선주의 국내원천소득인가?

국내 조선소가 선박 인도 지연으로 외국 선주에게 지급한 대금 감액분은 선박 가격 자체의 조정으로 보아야 하며, 선주에게 별도로 지급된 소득으로 볼 수 없으므로 원천징수 대상이 아니다.

#선박인도지연#대금감액#국내원천소득#원천징수

세무판례

하나은행, 세무서와의 법정 공방 승리! 쟁점은 무엇이었을까?

하나은행이 여러 가지 항목에 대한 세금 부과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대부분의 경우 대법원은 세무서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다만, 해외 현지법인 관련 비용에 대한 세금 부과는 일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하나은행#세금분쟁#대법원#퇴직임원 성과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