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급여지급정지처분등무효확인

사건번호:

2018두36691

선고일자:

201807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군인연금법 제31조에서 정한 사망보상금이 불법행위로 인한 소극적 손해배상과 같은 종류의 급여인지 여부(적극) 및 군 복무 중 사망한 군인 등의 유족이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금을 지급받은 경우, 군인연금법 제31조에서 정한 사망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군인연금법 제31조, 제41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8. 11. 19. 선고 97다36873 전원합의체 판결(공1998하, 2865)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열린사람들 담당변호사 김정민)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김승아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8. 2. 8. 선고 2017누4606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은, 직무집행과 관련하여 공상을 입은 군인 등이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금을 지급받았더라도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훈급여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대법원 2017. 2. 3. 선고 2015두60075 판결의 법리가 이 사건에 적용됨을 전제로 하여, 군 복무 중 사망한 망인의 유족인 원고가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금을 받았다 하더라도 이러한 사유는 원고가 군인연금법 제31조가 정한 사망보상금을 지급받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다른 법령에 따라 지급받은 급여와의 조정에 관한 조항을 두고 있지 아니한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과 달리, 군인연금법 제41조 제1항은 “다른 법령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으로 이 법에 따른 급여와 같은 종류의 급여를 받은 사람에게는 그 급여금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하여는 이 법에 따른 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다.”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군인연금법이 정하고 있는 급여 중 사망보상금(군인연금법 제31조)은 일실손해의 보전을 위한 것으로 불법행위로 인한 소극적 손해배상과 같은 종류의 급여라고 봄이 타당하다(대법원 1998. 11. 19. 선고 97다36873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따라서 피고에게 군인연금법 제41조 제1항에 따라 원고가 받은 손해배상금 상당 금액에 대하여는 사망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존재하지 아니한다. 그런데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군인연금법 제31조의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의 관계 및 군인연금법 제41조 제1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고영한 권순일 조재연(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

군인 유족이 국가배상을 받은 후, 군인연금법에 따른 사망보상금 지급을 청구했으나 일부만 지급받자 국가를 상대로 당사자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는 소송 형태를 잘못 선택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사망보상금 지급은 행정청의 결정이 필요하며, 그 결정에 불복하는 경우 행정소송(항고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군인#사망보상금#국가배상#당사자소송

일반행정판례

군인 사망보상금과 국가배상, 그리고 소송의 종류에 대한 이야기

군 복무 중 사망한 사람의 유족이 국가배상을 받은 경우, 국가는 사망보상금에서 정신적 손해배상금까지 공제할 수 없으며, 군인연금 관련 소송은 정해진 절차(행정소송)를 따라야 한다.

#군인#사망보상금#국가배상#정신적 손해배상

일반행정판례

군인 공상, 국가배상 받았어도 보훈급여금 받을 수 있을까?

군인 등이 공무 중 다쳐서 국가배상을 받았더라도, 보훈보상 대상자라면 보훈보상금도 받을 수 있다.

#국가배상#보훈보상금#중복수령#보훈보상대상자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연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업무 중 사고로 사망한 공무원의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은 손해배상금에서 공제되지 않습니다. 즉, 가해자 측은 유족연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손해배상의 전체 금액을 지급해야 합니다.

#공무원#유족연금#손해배상금#공제불가

민사판례

군인의 사망에 대한 국가배상 책임, 다른 보상 제도가 있다면?

군인이 공무 중 사망했을 때, 유족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국가유공자법 등 다른 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다른 법에 따른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면, 실제로 보상을 신청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국가배상은 청구할 수 없습니다.

#군인#유족#국가배상#국가유공자

민사판례

국가유공자 유족연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국가유공자가 교통사고 등 타인의 불법행위로 사망한 경우,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은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해야 하지만, 공제 범위는 사망한 국가유공자의 기대여명까지만 받을 수 있는 유족연금액에 한정된다는 판결입니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손해배상#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