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징수처분취소

사건번호:

2019두61243

선고일자:

202010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약사법 제20조 제1항을 위반하여 약국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약사 면허를 대여받아 개설ㆍ운영하는 약국이 ‘약제ㆍ치료재료의 지급’을 실시하고 급여비용을 청구한 경우,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서 정한 부당이득징수처분의 상대방인 요양기관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및 면허대여 약국이 공단이나 가입자 등에게 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것이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따른 부당이득징수가 재량행위인지 여부(적극) / 요양기관 개설명의인을 상대로 요양급여비용을 징수할 때 고려할 사항 및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요양기관 개설명의인을 상대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경우, 재량권을 일탈ㆍ남용한 때에 해당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국민건강보험법(2011. 12. 31. 법률 제1114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현행 제41조 참조), 제40조 제1항 제2호(현행 제42조 제1항 제1호 참조), 제43조(현행 제47조 참조), 제52조 제1항(현행 제57조 제1항 참조), 약사법 제6조 제3항, 제20조 제1항, 제93조 제1항 제2호 / [2] 구 국민건강보험법(2011. 12. 31. 법률 제1114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52조 제1항(현행 제57조 제1항 참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2020. 6. 4. 선고 2015두39996 판결(공2020하, 136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승식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9. 11. 18. 선고 (춘천)2019누89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사안의 개요 및 쟁점 가.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사정을 알 수 있다. (1) 원고는 2008. 11. 12. 강릉시 (주소 1 생략)에 있는 ‘(병원명 생략)’의 병원장인 소외 1과 이사인 소외 2(이하 ‘소외 1 등’이라 한다)에게 자신의 약사 면허를 대여하였다. 소외 1 등은 2008. 11. 12.부터 2010. 10. 7.까지 원고 명의로 강릉시 (주소 2 생략)에 ‘(약국명 생략)’(이하 ‘이 사건 약국’이라 한다)을 개설ㆍ운영하였다. (2) 이 사건 약국은 위 기간 중 국민건강보험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에게 지급한 약제와 관련하여 피고로부터 보험급여비용 3,708,237,300원을 받고,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부터 요양급여비용 1,484,106,930원을 받았다(이하 통틀어 ‘이 사건 급여비용’이라 한다). (3) 피고는 2017. 9. 6.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약국은 약사법 제20조 제1항을 위반하여 개설되었으므로 이 사건 급여비용은 원고가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지급받은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구 국민건강보험법(2011. 12. 31. 법률 제1114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2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이 사건 급여비용 합계 5,192,344,230원을 전액 징수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 나. 이 사건의 쟁점은, (1) 약국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약사 면허를 대여받아 개설ㆍ운영하는 약국이 피고,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부터 지급받은 급여비용이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따른 부당이득징수처분의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2) 해당 약국이 피고 등으로부터 지급받은 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처분이 재량권 일탈ㆍ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2. 처분사유 인정 여부 가. 관련 법리 구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르면, 요양기관은 가입자 및 피부양자(이하 ‘가입자 등’이라 한다)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피고를 말한다. 이하 줄여 쓸 때에는 ‘공단’이라 한다)에 요양급여비용의 지급을 청구하며, 공단은 요양급여비용을 요양기관에 지급한다(제39조, 제43조). 다만 요양급여를 받는 가입자 등은 그 비용의 일부를 본인이 부담한다(제41조). 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 또는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 그 급여 또는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하고(제52조 제1항), 이를 납부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의하여 징수할 수 있다(제70조 제1항, 제3항). 한편 요양급여 중 ‘약제ㆍ치료재료의 지급’은 ‘약사법에 의하여 등록된 약국’에서 행하여야 하고(제40조 제1항 제2호), 약사법 제6조 제3항, 제20조 제1항, 제93조 제1항 제2호에 따르면, 약사 또는 한약사가 아니면 약국을 개설할 수 없고, 약국의 개설자격이 없는 자가 약국을 개설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된다. 위 각 규정의 내용과 체재 등에 비추어 보면, 약사법 제20조 제1항을 위반하여 약국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약사 면허를 대여받아 개설ㆍ운영하는 약국은 구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기관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약국이라 하더라도 약국으로서 ‘약제ㆍ치료재료의 지급’을 실시하고 그 급여비용을 청구한 이상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서 정한 부당이득징수처분의 상대방인 요양기관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고, 면허대여 약국이 공단이나 가입자 등에게 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한다(대법원 2020. 6. 4. 선고 2015두39996 판결 등 참조). 나. 이 사건에 관한 판단 (1) 앞서 본 사실관계를 관련 법령의 규정과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약국은 약사법 제20조 제1항을 위반하여 개설된 약국이므로, 이 사건 급여비용은 모두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의하여 받은 보험급여비용으로서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따라 부당이득징수처분의 대상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2) 같은 취지에서 원심은, 이 사건 급여비용이 부당이득징수처분의 대상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판단에 구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재량권 일탈ㆍ남용 여부 가. 관련 법리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은 “공단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를 받은 자 또는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요양기관에 대하여 그 급여 또는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징수한다.”라고 규정하여 그 문언상 일부 징수가 가능함을 명시하고 있다. 요양기관으로서는 부당이득징수로 인하여 이미 실시한 요양급여에 대하여 그 비용을 상환 받지 못하는 결과가 되어 침익적 성격도 크다. 이러한 관련 규정의 내용과 부당이득징수의 법적 성질 등을 고려하면, 구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제1항에 따른 부당이득징수는 재량행위라고 보는 것이 옳다. 그리고 요양기관이 실시한 요양급여 내용과 요양급여 비용의 액수, 요양기관 개설ㆍ운영 과정에서의 개설명의인의 역할과 불법성의 정도, 요양기관 운영성과의 귀속 여부와 개설명의인이 얻은 이익의 정도, 그 밖에 조사에 대한 협조 여부 등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요양기관 개설명의인을 상대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은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비례의 원칙에 위배된 것으로 재량권을 일탈ㆍ남용한 때에 해당한다(대법원 2020. 6. 4. 선고 2015두39996 판결 등 참조). 나. 이 사건에 관한 판단 (1) 기록을 살펴보면, 원고는 원심에서 재량권 일탈ㆍ남용으로 볼 만한 주장을 하였고, 상고이유 중 요양급여비용의 징수 범위를 다투는 주장도 같은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2) 그런데도 원심은 위와 같은 사정들을 심리하지 않은 채, 이 사건 약국의 개설명의인인 원고에 대하여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한 이 사건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비례의 원칙, 재량권 일탈ㆍ남용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원고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김재형 이동원 노태악(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의사 면허 빌려준 병원, 건강보험공단에 돈 토해내야 할까?

의료인 자격이 없는 사람이 의사 면허를 빌려 병원을 운영하고 건강보험금을 타간 경우, 건강보험공단은 그 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면허를 빌려준 의사에게 모든 책임을 묻는 것은 부당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무면허 의료행위#건강보험 부당이득#면허대여#책임범위

형사판례

약사 면허 대여와 약국 중복 개설, 무자격자 약품 판매 - 약사법 위반 사례

이미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가 다른 약사의 명의를 빌려 약국을 추가로 개설하고, 무자격자에게 약 조제 및 판매를 시킨 경우, 약사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약사법 위반#면허 대여#약국 중복 개설#무자격자 조제 판매

형사판례

약사 면허증 빌려주면 안되는 이유,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약사 면허증을 다른 약사에게 빌려주고 약국 운영을 맡기는 행위는 면허 대여에 해당하며 불법입니다. 면허를 빌린 사람이 자격 있는 약사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약사 면허증 대여#불법#자격 있는 약사#약국 운영

일반행정판례

의사 면허 없이 병원을 운영하면 건강보험 혜택 못 받아요! (feat. 부당이득 환수)

자격 없는 사람이 병원을 열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은 경우, 건강보험공단은 부당이득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무조건 전액을 징수하는 것은 부당하며 여러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비의료인 병원#요양급여#부당이득#징수

일반행정판례

사무장 약국 운영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 판결, 그 의미는 무엇일까요?

약사 면허 없이 약국을 운영하는 이른바 "사무장 약국"에 대해 국가가 지급한 의료급여 비용은 전액 환수 대상이지만, 환수 금액 결정은 담당 기관의 재량이며, 전액 환수가 항상 정당한 것은 아니다. 또한, 관련 법 개정 이전에 지급된 비용에 대해서는 개정 이후의 법을 적용하여 사무장에게 연대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사무장 약국#의료급여#부당이득#환수

일반행정판례

의사 면허 빌려준 병원, 건보공단이 돈 돌려달라고 할 수 있을까?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이 병원을 열고 건강보험 환자를 진료했는데, 다른 병원을 운영하는 의사가 뒤에서 조종하거나, 다른 의사의 명의를 빌려 병원을 연 경우라도, 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한 진료비를 돌려받을 수는 없다.

#의료법 위반#요양급여 환수#명의대여#중복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