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미수

사건번호:

2021도749

선고일자:

202103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서 규정한 ‘촬영’의 의미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서 실행의 착수 시기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2018. 12. 18. 법률 제159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현행 제14조 제1항, 제2항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1. 6. 9. 선고 2010도10677 판결(공2011하, 1420), 대법원 2011. 11. 10. 선고 2011도12415 판결, 대법원 2012. 6. 14. 선고 2012도4449 판결, 대법원 2014. 11. 13. 선고 2014도8385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윤인한 【원심판결】 부산지법 2020. 12. 23. 선고 2019노39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이라고 한다)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타인의 신체를 그 의사에 반하여 촬영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고, 여기서 ‘촬영’이란 카메라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 속에 들어 있는 필름이나 저장장치에 피사체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행위를 의미한다(대법원 2011. 6. 9. 선고 2010도10677 판결 참조). 따라서 범인이 피해자를 촬영하기 위하여 육안 또는 캠코더의 줌 기능을 이용하여 피해자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다가 피해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촬영을 포기한 경우에는 촬영을 위한 준비행위에 불과하여 성폭력처벌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으로 볼 수 없다(대법원 2011. 11. 10. 선고 2011도12415 판결 참조). 이에 반하여 범인이 카메라 기능이 설치된 휴대전화를 피해자의 치마 밑으로 들이밀거나, 피해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화장실 칸 밑 공간 사이로 집어넣는 등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범행에 밀접한 행위를 개시한 경우에는 성폭력처벌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실행에 착수하였다고 볼 수 있다(대법원 2012. 6. 14. 선고 2012도4449 판결, 대법원 2014. 11. 13. 선고 2014도8385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휴대전화를 든 피고인의 손이 피해자가 용변을 보고 있던 화장실 칸 너머로 넘어온 점, 카메라 기능이 켜진 위 휴대전화의 화면에 피해자의 모습이 보인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은 촬영대상을 피해자로 특정하고 휴대전화의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등 휴대전화에 영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행위를 개시함으로써 성폭력처벌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실행에 착수하였음이 인정된다는 이유로 위 죄의 미수로 기소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3. 앞서 본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성폭력처벌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서 실행의 착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몰카 범죄, 찍기만 해도 처벌될까? 저장 버튼 안 눌렀는데도 유죄?

휴대폰으로 몰래카메라 촬영을 할 때, 촬영 버튼을 누르고 일정 시간 촬영했다면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촬영을 종료했더라도 범죄가 성립한다.

#휴대폰 몰카#촬영 시작#범죄 성립#저장 불필요

형사판례

화장실에서 찍은 여성의 다리, 몰카일까? 아닐까?

다른 사람의 신체를 몰래 촬영하는 것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인지 판단할 때는 촬영 부위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인지가 중요합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기준과 함께 피해자의 상황, 촬영자의 의도, 촬영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몰카#촬영#수치심#성폭력범죄

형사판례

몰카, 어디까지 처벌될까? -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 유발 기준

몰래카메라 촬영으로 처벌받기 위해서는 촬영된 신체 부위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여야 합니다. 이 판례는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촬영 부위만이 아니라 촬영 상황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몰카#촬영#성적 욕망#수치심

형사판례

몰카 촬영, 피해자 의사에 반해야 처벌 가능!

피해자의 동의 없이 신체를 촬영해야 몰카 범죄가 성립합니다. 동의하에 촬영한 사진을 유포했더라도 몰카 범죄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몰카#촬영#피해자 동의#처벌

형사판례

짧은 치마 속 허벅지 촬영, 범죄일까? - 몰카범죄 판단 기준

야간 버스에서 옆자리 여성의 치마 밑 허벅지를 휴대폰으로 촬영한 경우, 성폭력범죄로 처벌될 수 있다. 촬영 부위가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버스#허벅지 촬영#성폭력범죄#카메라등이용촬영죄

형사판례

몰카 사진, 인터넷 게시는 불법일까? - 동의 없는 게시는 처벌 대상

촬영 대상자의 동의 없이 촬영된 나체 사진을 인터넷에 올리는 행위는 성폭력처벌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특히 사진 내용, 촬영 방식, 유포 경로 등을 고려했을 때 촬영 대상자가 반포에 동의하지 않았을 것이 명백하다면, 직접 동의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더라도 유죄로 판단할 수 있다.

#몰카#불법촬영#반포#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