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청구

사건번호:

2022므11621

선고일자:

2022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친생자가 아닌 자에 대하여 한 인지신고의 효력(=당연무효) 및 그 무효를 주장하는 방법 [2] 친생자가 아닌 자에 대한 인지에 입양의 효력이 있는 경우, 그 자녀가 생부모를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이 경우 인지청구 전에 허위의 인지신고로 기록된 가족관계등록부상 친생자관계를 양친자관계로 정정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855조 / [2] 민법 제855조, 제863조, 제882조의2 제2항, 제908조의3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99 판결(공1992, 323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2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철구)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임채웅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가법 2022. 2. 17. 선고 2021르3345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 상고이유에 관하여 친생자가 아닌 자에 대하여 한 인지신고는 당연 무효이고, 이러한 인지는 무효를 확정하기 위한 판결 기타의 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또 누구라도 그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99 판결 참조). 한편 친양자가 아닌 한 양자의 입양 전 친족관계는 존속하므로(민법 제882조의2 제2항, 제908조의3 제2항), 친생자가 아닌 자에 대한 인지에 입양의 효력이 있는 경우에도 그 자녀는 곧바로 생부모를 상대로 인지청구를 할 수 있고, 인지청구를 하기 전에 먼저 허위의 인지신고로 기록된 가족관계등록부상 친생자관계를 양친자관계로 정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인지청구의 소가 부적법하다는 피고의 본안전 항변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인지청구의 소의 적법 여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고, 피고가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은 사안을 달리하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2. 제2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들은 피고의 친생자임이 분명하다고 보아 원고들의 인지청구를 인용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따라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친자 아닌 아이를 내 자녀로? 인지 신고, 효력 있을까?

친자가 아닌 아이의 인지 신고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나, 입양 의사와 요건을 갖춘 경우 예외적으로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인지#친자#효력#입양

민사판례

친자 아닌데 출생신고 했다면? 나중에라도 진짜 자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친자식이 아닌 아이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이후 양부모가 아이를 진짜 자식처럼 키웠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신고#입양의사#실질적 요건

상담사례

아이 낳은 것처럼 출생신고 했는데, 생모가 나타났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불법적인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입양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법 개정으로 확실한 답변을 위해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이다.

#출생신고#생모#친생자#입양

가사판례

계부가 친자로 출생신고한 아이, 진짜 가족이 될 수 있을까? - 출생신고와 입양의 효력

이미 사망한 전남편의 자녀를 계부가 친자식으로 출생신고한 경우, 실제로는 입양으로 볼 수 있으며, 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은 부적법합니다.

#계부#친생자 출생신고#입양#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

민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사실은 입양? 그 효력은?

부부의 한쪽이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를 친자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입양의 의사가 있었고 실질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확정되면 더 이상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출생신고#입양#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양친자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 진짜 내 자식이 아닌데 입양은 된 걸까?

친자식이 아닌 아이를 친자식으로 출생신고를 하더라도, 실제로 입양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입양의 의사가 없었거나, 사기나 강박에 의해 출생신고를 한 경우에는 입양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단, 입양 취소는 입양 당사자만 청구할 수 있으며, 제3자는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소송을 통해 다툴 수 없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입양 취소#입양 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