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2023다211840

선고일자:

202306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불법행위로 인한 일실수입을 산정하기 위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왕의 장해율’과 ‘기왕증의 기여도’의 구분 및 사고를 당하기 전에 기왕의 장해가 있었던 경우,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는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393조, 제750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7. 14. 선고 95다16738(공1995하, 2804),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7다52294 판결(공2008하, 123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망 ○○○의 소송수계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시티 담당변호사 김명곤 외 1인) 【피고, 상고인】 악사손해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바로법률 담당변호사 권오석 외 3인) 【환송판결】 대법원 2021. 5. 13. 선고 2020다276730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서부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불법행위로 인한 일실수입을 산정하기 위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왕의 장해율’, 즉 사고 이전 기왕증으로 인한 노동능력상실의 정도는, ‘기왕증의 기여도’, 즉 기왕증이 후유증 발생에 기여한 정도와 구분되는 개념이므로 사고를 당하기 전에 기왕의 장해가 있었다면 그로 인해 노동능력을 상실한 정도를 현재의 노동능력상실률에서 감해야 하고 기왕증이 후유증 발생에 기여하였다면 기왕의 장해율 외에 기왕증의 기여도도 참작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여야 한다(대법원 1995. 7. 14. 선고 95다16738 판결,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7다52294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망인의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왕증의 기여도를 참작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하여 왔고 망인에 대한 진료기록감정을 촉탁받은 대한의사협회는 망인의 과거 뇌출혈이 망인의 현재 상태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 기여도는 약 40%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회신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으로서는 기왕의 장해율 외에 기왕증의 기여도에 관하여 심리한 후 기왕증의 기여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기왕증의 기여도를 참작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여야 한다. 그런데도 원심은 망인의 노동능력상실률 100%에서 기왕의 장해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 56%를 감하기만 하여 망인이 이 사건 사고로 44%의 노동력을 잃었다고 평가하였을 뿐 기왕증의 기여도를 정하거나 이를 노동능력상실률 평가에 참작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노동능력상실률 평가방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철상(재판장) 노정희 이흥구(주심) 오석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이미 장애가 있는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했다면, 손해배상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교통사고 이전에 이미 장애가 있던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했을 경우, 교통사고로 인해 새롭게 발생한 손해만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있던 장애로 인한 손해는 교통사고와 상관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통사고 이후의 장애 정도에서 사고 이전의 장애 정도를 빼서 교통사고로 인한 장애 정도를 계산해야 합니다.

#기왕증#교통사고#손해배상#장애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기존 질병이 있었다면? 배상은 어떻게 될까요?

이미 질병이나 부상(기왕증)을 가지고 있던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해 후유증이 발생했을 때, 교통사고가 후유증에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기여도)를 따져 그 비율만큼만 배상 책임을 진다는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기존 흉추압박골절이 있던 피해자가 교통사고로 해당 부위를 다시 다쳐 상태가 악화된 경우, 교통사고의 기여도를 50%로 판단했습니다.

#교통사고#기왕증#후유증#기여도

민사판례

기존 질병이 있는 사람이 사고를 당했을 때, 배상은 어떻게 될까요?

이미 질병을 앓고 있던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해 기존 질병이 악화되고 피해가 커진 경우, 사고 가해자는 기존 질병이 악화된 부분까지 배상해야 할까요? 아니면 기존 질병 부분은 피해자가 감수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기존 질병이 사고로 인해 악화되어 피해가 커진 경우, 기존 질병의 악화 정도를 고려하여 배상 책임을 정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교통사고#기왕증#배상책임#기여도

민사판례

교통사고와 기왕증, 손해배상은 어떻게 계산될까?

교통사고로 다쳤는데, 기존에 아픈 곳(기왕증)이 더 악화되었다면, 교통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범위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기왕증이 사고로 인한 손해 확대에 기여한 정도를 고려하여 배상액을 정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단순히 교통사고로 입원한 기간 전체에 대한 손해를 배상하는 것이 아니라, 기왕증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교통사고#기왕증#손해배상#기여도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기존 질병도 영향을 미칠까? 기왕증과 손해배상 계산

교통사고로 다쳤을 때, 이미 갖고 있던 질병(기왕증)이 사고 후유증에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 따져서 손해배상액을 정해야 한다. 이때 '기존 질병으로 인한 장애 정도'와 '기존 질병이 사고 후유증에 영향을 준 정도'를 구분해야 하고, 수입 손실 계산 시 기존 질병의 영향을 고려했다면 간병비 계산 시에도 똑같이 고려해야 한다.

#교통사고#손해배상#기왕증#기여도

민사판례

교통사고와 기왕증, 손해배상은 어떻게 될까?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증이 기존 질병(기왕증)과 겹쳐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기왕증이 후유증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고려해야 하며, 이는 소득 손실뿐 아니라 치료비, 간병비 등 모든 손해배상 항목에 적용된다. 또한, 사고와 후유증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책임은 피해자에게 있다.

#교통사고#후유증#기왕증#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