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징금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89누3878

선고일자:

199003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동차운수사업자가 승객의 요청으로 사업구역외에서 소유차량을 운행한 경우 이에 대한 과징금부과처분의 적부(소극)

판결요지

자동차운수사업자인 원고의 소유차량이 사업구역 아닌 인접 진주시 상주하여 영업행위를 하다가 적발된 것이 아니고 원고의 사업구역인 진양군의 지리적, 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승객의 편익을 위하여 그 요청에 따라 자기 사업구역외에서 운행한데 불과하다면 그러한 운행에 대한 이 사건 과징금부과처분은 위법하다.

참조조문

자동차운수사업법 제31조의2

참조판례

대법원 1977.1.25. 선고 76누213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합자회사 성진교통 【피고, 상고인】 경상남도지사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89.5.9. 선고 88구12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단은 원고의 사업구역인 진양군의 지리적, 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원고 소유차량이 사업구역 아닌 인접 진주시에 상주하여 영업행위를 하다가 적발된 것이 아니고 승객의 편익을 위하여 그 요청에 따라 자기사업구역외에서 운행을 한데 불과하므로 이 사건 과징금부과처분을 위법하다고 한 취지이다.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은 수긍되고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생각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버스회사, 직원들의 준법투쟁으로 인한 과징금 부과는 부당할까?

버스회사 근로자들의 준법투쟁으로 인해 발생한 법규 위반에 대해 회사 측에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회사가 그 위반행위를 막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막을 수 없었다면 과징금을 면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회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반행위를 막을 수 없었던 특별한 사정이 인정된다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준법투쟁#과징금#버스회사#취소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종용에 따른 시외버스 정차 위반, 과징금 부과는 정당할까?

공무원의 종용으로 버스가 정해진 곳 이외에 정차했을 경우, 버스 회사에 대한 과징금 부과 처분은 재량권 남용으로 위법할 수 있다.

#공무원 종용#버스 정차 위반#과징금 부당#재량권 남용

일반행정판례

전세버스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징금, 구청장이 부과할 수 있을까?

구청장은 전세버스 운송사업자에게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징금을 부과할 권한이 있다.

#구청장#과징금#전세버스#버스전용차로

일반행정판례

버스회사끼리 협정 맺었다고 아무 노선이나 운행할 수 있나요?

다른 버스회사의 노선을 운행하려면 공동운수협정만으로는 부족하고, 별도의 사업계획 변경 인가를 받아야 한다. 파업으로 다른 회사의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고 해서, 공동운수협정을 맺은 회사가 마음대로 그 노선을 운행할 수는 없다.

#공동운수협정#노선 운행#사업계획 변경 인가#파업

일반행정판례

버스회사, 과징금 폭탄 맞았지만 법원에서 구제받다! - 과징금 상한액과 취소 범위에 대한 이야기

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에 대한 과징금은 위반 횟수나 차량 대수와 관계없이 1회 최대 500만원이며, 이를 초과한 처분은 전부 취소되어야 합니다.

#자동차운수사업법#과징금#상한액#500만원

일반행정판례

버스회사 여러 건 위반, 과징금 폭탄 맞나? 한 번에 처분해야!

버스회사가 여러 가지 법규를 위반했을 때, 관할 관청은 모든 위반 사항을 합쳐서 한 번에 과징금을 부과해야 하며, 나눠서 여러 번 부과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미 한 번 최고액의 과징금 처분을 내렸다면, 설령 그 이후에 추가 위반 사실을 알게 되더라도 별도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버스회사#과징금#일괄부과#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