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확인

사건번호:

89재다카26

선고일자:

1990112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판단을 유탈한 때”의 의미와 직권조사 사항에 대한 판단유탈이 이에 해당하는 경우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단유탈이라 함은 소송상 적법하게 제출한 공격, 방어방법으로 당연히 판결에 영향이 있는 것에 대하여 판결이유 중에서 판단을 표시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고, 직권조사사항에 대한 판단유탈은 당사자가 그 조사를 법원에 촉구한 경우에 한하여 재심사유가 될 수 있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5.8.27. 자 85사43 결정(공1985,1305), 1990.11.27. 자 89재다카27 결정同旨

판례내용

【원고(재심원고), 준재심신청인】 박재술 【피고(재심피고), 준재심피신청인】 조남윤 【피고보조참가인】 한국외환은행 【준재심대상결정】 대법원 1989. 11. 28. 자 89다카21316 결정 【주 문】 준재심신청을 기각한다. 【이 유】 원고(준재심신청인, 이하 원고라 한다)의 준재심신청이유(보충이유 포함)을 본다.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단유탈이라 함은 당사자가 소송상 적법하게 제출한 공격, 방어방법으로 당연히 판결에 영향이 있는 것에 대하여 판결이유 중에서 판단을 표시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고, 직권조사사항에 대한 판단유탈은 당사자가 그 조사를 법원에 촉구한 경우에 한하여 재심사유가 될 수 있는 것인바, 준재심대상결정의 이유설시를 원고의 상고허가신청이유와 대비하여 살펴보아도 위에서 설시한 바와 같은 판단유탈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고의 이 사건 준재심신청은 이유 없다. 그러므로 준재심신청을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판에서 판단 안 한 게 있다고 무조건 다시 재판할 수 있을까? - 판단유탈의 의미

판결에서 중요한 내용을 빠뜨렸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하려면, 법원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당사자의 주장 자체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여야 합니다. 단순히 판단 이유가 부족하거나,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가 자세하지 않은 경우는 재심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판단유탈#판결#주장

민사판례

재심, 판단유탈이란 무엇일까요?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판단하지 않았을 경우, 재심 사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판단 자체는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모든 주장에 대한 반박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재심#판단유탈#중요쟁점#판결

민사판례

재판에서 중요한 주장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면 재심할 수 있을까?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에만 '판단유탈'이라고 합니다. 판단은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상대방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를 자세히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판단유탈은 아닙니다.

#판단유탈#재심#쟁점#판결

민사판례

재심, 판단 유탈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재판에서 패소한 쪽이 "판사가 내 중요한 주장을 판결문에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라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법원은 "판결문에 주장에 대한 판단이 있으면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재심 사유가 안 된다"라고 판결했습니다. 즉, 판단 자체가 누락된 경우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판단유탈#묵시적 기각#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민사판례

재심, 언제 가능할까요? 판단 유탈과 기판력 저촉에 대한 이야기

이 판결은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두 가지 사유, 즉 "판단유탈"과 "기판력 저촉"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원고의 재심 청구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재심#판단유탈#기판력 저촉#청구 기각

민사판례

재심, 30일 안에 해야 하는 이유! 판단 누락 알았다면 기회는 단 한 번!

판사가 불공정하게 재판했을 경우(판단유탈), 재판 결과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재심을 청구해야 합니다. 30일이 지나면 재심 청구는 효력이 없습니다.

#재심#판사 불공정(판단유탈)#30일#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