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1311

선고일자:

199005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유건물을 공유자와 공동으로 양도한 부동산매매업자에게 그 건물 전부의 양도에 따른 부가가치세를 부과한 처분의 적부

판결요지

부동산매매업자인 원고가 소외 갑과 공유하던 건물을 양도한 경우 갑이 단 1회 위 건물의 1/2지분을 처분한 것에 불과하다면, 갑을 부가가치세법시행규칙 제1조 제1항 소정의 부동산매매업자라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고, 또 그가 사업자로 인정되는 원고와 공동으로 그 지분을 처분하였더라도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 갑이 부동산매매업자로 되는 것은 아니므로 원고를 위 부동산에 관한 공유물 또는 공동사업 등에 관한 연대납세의무자로 볼 수 없다 할 것이니 갑의 지분부분에 대한 부가가치세까지 포함하여 원고에게 부과한 부가가치세부과처분은 갑의 지분부분에 한하여 위법하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부가가치세법 제2조, 동법시행규칙 제1조 제1항, 국세기본법 제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김정규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승영 【피고, 피상고인】 북광주세무서장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0.1.16. 선고 89구397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1988년 제2기분 부가가치세 중 금 16,033,895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관한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위 상고기각부분에 대한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1 내지 5점을 함께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설시의 부동산 중 7번 부동산을 제외한 전 부동산을 단독으로, 7번 부동산은 소외 정병훈(원심 공동원고)과 공동으로 각 신축하여 설시와 같이 각 준공검사를 마친 후, 1번 내지 7번 부동산은 설시의 각 양도 일자에 각 소외 양수인들에게 각 양도한 사실을 다툼없는 사실로 인정하고, 설시의 2번과 4번 부동산을 원고가 그 주거의 목적으로 건축하여 거주하다가 양도하였다는 원고의 주장은 이를 입증할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배척한 다음, 원고가 설시와 같이 1983.8.25.부터 1988.11.18.까지 약 5년간에 10회에 걸쳐 10개의 부동산을 연이어 신축 취득하여 그 중7회에 걸쳐 7개의 부동산을 양도한 사실을 인정하고서 그 부동산의 보유기간이 짧게는 20일 내지 길게는 9개월 사이의 단기간인 점과 그밖에 그 부동산들의 규모 등 제반사정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들을 신축하여 매도한 행위는 수익을 목적으로 한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계속성과 반복성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고, 따라서 피고가 원고의 위 부동산매매를 부가가치세법시행규칙 제1조 제1호의 부동산매매업과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같은법시행령 제36조 제3호가 정하는 부동산매매업에 각 해당한다고 보아 위 각 세법 소정의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부과처분을 적법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바( 부가가치세법시행규칙 제1조 제1항의 부동산매매업의 해당여부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판단은 없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위 판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볼 것이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 사실인정과 판단은 수긍이 가고 소론이 지적하는 2회의 매매로 원고의 이 사건 부동산매매업을 가리는 판단자료가 될 수 있으니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채증법칙의 위배, 판단유탈, 이유모순, 소득세법 및 부가가치세법의 법리오해의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상고이유 제6점을 본다. 원심판결은 원고와 소외 정병훈의 공유건물인 설시의 7번 건물의 양도에 따른 부가가치세 전부를 원고에게 부과한 피고의 이 사건 부가가치세부과처분을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원심의 인정사실에 의하더라도, 위 정병훈은 단 1회 위 7번 건물의 1/2지분을 처분한 것에 불과하였던 것으로 위 정병훈을 부가가치세법시행규칙 제1조 제1항 소정의 부동산매매업자라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고 또 그가 사업자로 인정되는 원고와 공동으로 그 지분을 처분하였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 위 정병훈이 부동산매매업자로 되는 것은 아니므로 원고를 위 부동산에 관한 공유물 또는 공동사업 등에 관한 연대납세의무자로 볼수 없다 할 것이니 위 정병훈의 지분부분에 대한 부가가치세까지 포함하여 원고에게 부과한 위 부가가치세부과처분은 위 정병훈의 지분부분에 한하여 위법하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원고에 대한 1988년 제2기분 부가가치세 중 1/2 부분에 관한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을 다시 심리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원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기각부분에 대한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가가치세 납세 의무, 누구에게 있을까요?

단순히 부동산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신축하여 파는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계속적,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되는 사업으로 볼 수 있다.

#부동산#부가가치세#사업#계속적·반복적

세무판례

건물 공동취득,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아닌 이유

건축주가 제3자와 공동으로 건물을 취득하기로 하고 건축주 명의를 공동명의로 변경한 경우, 이를 건물 지분의 양도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

#건축 중 건물 지분#양도#부가가치세#소유권 이전

세무판례

신탁재산 매각 시 부가가치세, 누가 내야 할까요?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맡긴 재산(신탁재산)을 수탁자가 팔았을 때, 부가가치세는 수탁자가 내야 한다. 이익을 보는 사람이 위탁자나 수익자라도 마찬가지다.

#신탁재산#부가가치세#수탁자#납세의무

세무판례

사업자의 경매 재화 양도, 부가세 납부해야 할까?

사업자가 자신의 재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 실제로 돈을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경매#재화 양도#부가가치세#납부 의무

세무판례

건물 팔았다고 사업 양도는 아니에요! 부가가치세 납부는 해야죠!

임대 건물을 매각하는 것은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지만, 기존 임차인과의 임대 계약 관계가 함께 넘어갔다고 해서 사업 전체를 양도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건물 매각#재화 공급#사업 양도#부가가치세

세무판례

건물 공동취득과 부설주차장, 세금은 어떻게 될까?

건축 중인 건물을 제3자와 공동취득하기로 하고 건축주 명의를 공동명의로 바꾼 경우, 이를 재화의 공급으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임차인이 자신의 편의를 위해 임차 건물 인근에 설치한 주차장이 비업무용 부동산에서 제외되는 건축물부설주차장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건물 공동취득#부가가치세#부설주차장#비업무용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