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158

선고일자:

199006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임한 대표이사에 대한 가지급금이 회수가능한 경우 과세관청이 법인에 대하여 한 근로소득세 부과처분이 위법하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원고 회사의 대표이사인 소외 갑이 원고로부터 가지급금을 교부받고 그후 대표이사직을 사임하였다고 하더라도, 갑이 원고의 소외 을은행에 대한 채무의 연대채무자 및 물상보증인이 되어 그 소유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였다가 원고의 채무불이행으로 위 부동산에 대하여 경매절차가 진행되어 그 경락대금으로 원고의 위 은행에 대한 채무변제에 충당됨으로써 원고 회사가 갑에게 위 가지급금을 상회하는 금액의 상환채무를 부담하게 되었다면, 원고가 위 가지급금을 갑으로부터 회수하지 아니한 데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으로 이를 회수할 것임이 입증되는 경우라 할 것이므로 위 가지급금이 회수불능임을 전제로 하여 원고에 대하여 한 근로소득세 부과처분은 위법하다.

참조조문

법인세법시행령 제94조의2 제1항 제1호 나목, 구 법인세법기본통칙 (1988.3.1.자로 개정되기 전의 것) 1-2-7…(3) 제1항 제2호, 제2항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유니버스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두진 【피고, 상고인】 강동세무서장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89.12.6. 선고 88구1332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가 원고의 1986년 사업년도의 법인세 실지조사과정에서 원고의 제무제표에 위 사업년도말 현재 원고의 대표이사인 소외 오창균에 대한 가지급금 1,092,592,255원이 계상되어 있으나 위 소외인이 1987.1.27. 대표이사직에서 사임한 사실을 알고 그가 위 가지급금을 변제할 자력이 없다는 이유로 구 법인세법기본통칙(1988.3.1.자로 개정되기 전의 것) 1-2-7......(3) 제1항 제2호 및 제2항 제1호에 의하여 위 금액을 위 사업년도의 익금에 가산함과 동시에 법인세법시행령제94조의2 제1항 제1호 나목에 의하여 귀속자인 위 소외인에게 대한 상여로 처분하고 관계법령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원고 회사에 이 사건 과세처분을 한 사실을 인정하고 그러나 거시증거에 의하면 위 소외인이 원고 회사의 소외 제일은행에 대한 채무의 연대채무자 및 물상보증인이 되어 그 소유인 서울 강동구 성내동 57의3 대 4,173평방미터를 담보로 제공하였던바, 원고 회사의 위 제일은행에 대한 채무불이행으로 위 부동산에 대하여 경매절차가 진행 경락되어 그 부동산에 대한 경락대금으로 원고 회사의 위 소외은행에 대한 금 3,683,657,911원의 채무변제에 충당되어 원고 회사는 소외인에게 위 가지급금을 상회하는 금액의 상환채무를 부담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러한 사실관계라면 원고가 위 가지급금을 위 소외인으로부터 회수하지 아니한 데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으로 이를 회수할 것임이 입증되는 경우라 할 것으로 위 가지급금이 회수불능임을 전제로 하여 한 위 가지급금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이 건 원고에 대한 근로소득세부과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이울러 증인 안무희의 증언에 의하면 위 가지급금이 실은 채권자가 불분명한 사채의 이자임이 인정되므로 위 가지급금은 법인세법 제16조, 제11조에 의하여 손금산입부인, 대표자에게 상여처분하여야 할 것이니 이 건 부과처분은 결국 적법하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증인 안무희의 증언만으로는 위 가지급금이 채권자가 불명확한 사채의 이자지급이라고 인정할 수는 없다 하여 피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니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으로 인한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돈 함부로 쓰면 배임죄! 가지급금 인정이자도 꼭 받아야 합니다.

회사 대표이사가 회사에 손해를 끼치거나 손해 발생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를 하면 배임죄가 성립합니다. 가지급금 인정이자를 회수하지 않고 회계조작을 한 경우, 그리고 정상적인 판매관리비를 이연자산으로 처리한 경우 모두 배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배임죄#가지급금#인정이자#회계조작

세무판례

대표이사가 회사 돈을 맘대로 썼다면? 세금폭탄 맞을 수도!

대표이사가 법인 자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경우, 법인세법상 소득 처분 규정의 위헌 결정에도 불구하고, 해당 자금 사용으로 얻은 이익을 대표이사의 근로소득으로 보아 과세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세무 당국은 소송 중에도 과세 근거를 바꿀 수 있고, 대표이사의 법인 자금 유출은 근로소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법인자금유출#과세#대표이사#근로소득

세무판례

회사 돈, 대표가 썼다면?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

회사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대표이사에게 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관련 법률 조항의 위헌 결정이 소득세 부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세금 부과 근거가 위헌으로 판결되었더라도, 다른 법률 조항을 근거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법인#대표이사#자금유용#소득세

세무판례

가지급금 이자 미회수 시 익금산입, 정당한가?

특수관계인에게 가지급금을 준 회사가 이자를 제때 받지 않으면, 그 이자를 회사 수익으로 봐서 세금을 매기는 법인세법 시행령 조항이 법에 어긋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원심은 해당 시행령 조항이 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 무효라고 판단했으나, 대법원은 시행령 조항이 유효하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가지급금#이자 미회수#익금산입#시행령

세무판례

폐업 회사 대표이사의 대여금, 상여가 아닐 수도 있다?

폐업한 회사가 대표이사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대표이사의 상여(보너스)로 보고 세금을 매기는 것은 잘못됐다는 판결입니다. 회사 폐업 시 남은 재산을 나누는 과정에서 대여금을 돌려받는 대신 그대로 갖게 했다면 상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폐업#대표이사#대여금#상여

세무판례

회사 돈 가져다 썼다가 돌려놓으면 세금 안 내도 될까요?

회사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후 나중에 회사에 돌려주더라도, 처음 돈을 가져다 썼을 때 이미 소득으로 간주되어 소득세를 내야 한다.

#회사자금#개인사용#소득세#납부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