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6842

선고일자:

199012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군립공원 내에 공원시설물을 건축하여 그 시설물 중 일부를 군에 기부채납하고 군으로부터 그 시설물 등에 대한 일정기간의 무상사용권을 부여받은 경우 부가가치세의 면제 여부(소극) 나. 전항의 경우 용역의 공급시기(=시설물의 건축이 완료된 때)

판결요지

가. 예술조각품을 공원 내에 전시 운영하는 서비스업체인 원고가 남제주군과 사이에 남제주군에 있는 군립공원 내에 “제주조각공원”이란 이름의 시설을 조성하여 그 시설물 중 조각품을 제외한 건물 기타 영구시설물 일체를 남제주군에 기부채납하고 남제주군으로부터 위 공원시설물 등에 대한 일정기간 동안의 무상사용권을 부여받기로 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다음 건설자재 등을 부담하여 공원시설물의 건축공사를 완료하고 그 시설물 중 일부를 남제주군에 기부채납하여 이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준 것이라면 이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고, 그 용역의 공급과 위 공원시설물에 대한 무상사용권의 취득사이에는 경제적 대가관계가 있다 할 것이므로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8호 소정의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이라 할 수 없다. 나. 전항의 시설물의 건축과 기부채납에 의한 용역의 공급시기는 그 시설물의 건축이 완료된 때이거나 늦어도 이에 관한 기부채납 절차가 완료된 때로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며, 이와는 달리 위 용역이 그 대가로서의 무상사용권이 존속하는 전 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볼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부가가치세법 제7조, 제12조 제1항 제18호, 제9조,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2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제주조각공원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인 【피고, 피상고인】 제주세무서장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0.7.24. 선고 89구25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그 판결이유에서, 원고는 예술조각품을 공원 내에 전시 운영하는 서비스업체로서, 1986.5.15. 소외 남제주군과 사이에 남제주군에 있는군립공원 내에 “제주조각공원”이란 이름의 시설을 조성하여 그 시설물 중 조각품을 제외한 건물 기타 영구시설물 일체를 남제주군에 기부채납하고 남제주군으로부터 위 공원시설물 등에 대한 일정기간 동안의 무상사용권을 부여받기로 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다음, 위 계약에 따라 건설자재 등을 부담하여공원시설물의 건축공사를 완료하고 1987.10.19. 그 시설물 중 일부를 남제주군에 기부채납한 사실, 같은 날 남제주군은 원고에게 위 공원시설물 등에 대한 1987.10.19.부터 2000.4.18.까지 12년 6개월 동안의 무상사용권을 부여하고 이어 1988.3.25. 위 기부채납에 대한 승인절차를 밟은 다음 1988.6.10. 위 시설물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의 위 시설물건축 및 기부채납이 부가가치세법 소정의 과세거래인 재화의 공급에 해당한다고 보고 이 사건 부가가치세의 부과처분을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이를 수긍할 수 있다.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원고가 이 사건 시설물을 건축하여 그 중 일부를 남제주군에 기부채납하고 이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준 것은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고, 한편 원고는 그 용역의 공급에 대한 대가로 위 공원시설물에 대한 무상사용권을 취득한 것이어서 위 용역의 공급과 무상사용권의 취득 사이에는 경제적 대가관계가 있다 할 것이므로 이는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8호 소정의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위 용역공급의 형태 및 그에 대한 대가의 지급형태를 용역의 공급시기에 관한 부가가치세법 제9조 제2항, 제4항, 동 시행령 제22조의 규정에 비추어 보면, 위 시설물의 건축과 기부채납에 의한 용역의 공급시기는 위 시설물의 건축이 완료된 때이거나 늦어도 이에 관한 기부채납 절차가 완료된 때로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며, 이와는 달리 위 용역이 그 대가로서의 무상사용권이 존속하는 전 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볼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이 피고의 이 사건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보아 이를 유지한 조처에는 원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공원 놀이기구 설치하고 무상사용?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공원에 놀이기구 같은 특수삭도시설을 설치해 기부채납하고 무상사용권을 받는 경우에도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며, 과세표준은 공사비 총액에서 면세 용역 비용을 제외한 금액이다.

#공원#특수삭도시설#기부채납#부가가치세

세무판례

서울시에 놀이동산 기부채납하고 무상사용권 받으면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서울시에 놀이동산을 지어 기부채납하고 15년간 무상사용권을 받은 경우, 이는 재화가 아닌 용역의 공급으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다.

#놀이동산#기부채납#부가가치세#용역

세무판례

공항 시설 기부채납과 부가가치세 면제

항공사가 공항 시설을 국가에 기부하고 그 대가로 해당 시설을 무상으로 사용할 권리를 받았다면, 이는 단순 기부가 아닌 거래로 보아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라는 판례입니다.

#기부채납#부가가치세#무상사용#대가

세무판례

지자체 기부채납 후 무상사용? 부가가치세 내야 합니다!

건설업자가 주차장을 지어 지방자치단체에 기부채납하고 그 대가로 무상 사용권을 받았다면, 이는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이 되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한다.

#주차장#기부채납#부가가치세#용역의 공급

세무판례

공원 기부채납하고 운영권 받으면 부가세 내야 할까?

허가 없이 공원을 지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고 관리위탁을 받으면서 운영권을 얻은 경우, 기부채납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재화의 공급에 해당한다.

#공원시설#기부채납#관리위탁#부가가치세

세무판례

국립공원 주차장 운영,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운영하는 국립공원 내 주차장은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주차장#부가가치세#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