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사건번호:

90다14560

선고일자:

199106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퇴직금채권의 발생시기 및 정상적인 근무시간과 병가 또는 휴직기간이 있는 경우 근로자의 퇴직금을 각 기간별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으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으로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근로계약이 존속하는 한 사업주의 퇴직금 지급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고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때에 비로소 그 지급의무가 생기므로, 정상적인 근무기간과 병가 또는 휴직기간이 있는 경우 근로자의 퇴직금을 각 기간별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으로 산정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28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73.10.10. 선고 73다278 판결(집21(3)민57), 1975.7.22. 선고 74다1840 판결(공1975,8623), 1977.9.28. 선고 77다1137 전원합의체판결(공1977,1031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삼희통운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두현 외 1인 【원 판 결】 인천지방법원 1990.10.19. 선고 90나1939 판결 【주 문】 원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인천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퇴직금채권은 근로관계의 존속중에 이미 발생하고 있지만 단지 그 이행기가 퇴직이라는 불확정기한에 있다고 전제를 삼은 다음, 따라서 이 사건과 같이 정상적인 근무기간과 병가 또는 휴직한 기간이 있는 경우 그 퇴직금은 각 기간별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이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전자는 그 기간만료 당시의 평균임금을, 후자는 근로기준법 제19조 제2항에 따라 퇴직당시의 통상임금을 각 기준으로 하여 이 사건 퇴직금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당원은 퇴직금채권의 발생시기에 관하여 원심의 견해와 같은 상고논지를 배척하면서 "근로계약이 존속하는 한 사업주의 퇴직금 지급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고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때에 비로소 그 지급의무가 생긴다"고 판시한 바 있고(당원 1973.10.10. 선고 73다278 판결 참조), 이는 당원의 일관된 견해이기도 하다(당원 1975.7.22. 선고 74다1840 판결, 1977.9.28. 선고 77다1137 판결 참조). 따라서 원판결의 판단은 위 당원판례에 상반되는 판단을 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고, 원판결은 나머지 상고이유를 판단할 필요없이 파기를 면할 수 없다. 이에 원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영철(재판장) 박우동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군대 휴직 기간, 퇴직금에 포함될까?

1970년 12월 31일 이후 군복무로 인한 휴직기간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군복무#휴직기간#퇴직금#1970년 12월 31일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퇴직금 제도가 생기기 전에 입사했더라도, 근로기준법이 시행된 이후부터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퇴직금#계산 시작일#근로기준법 시행일(1953년 8월 8일)#퇴직금 제도 시행일(1961년 12월 4일)

생활법률

퇴직금, 제대로 알고 받자! 퇴직금 계산부터 지급까지 총정리!

퇴직금은 계속근로 1년에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퇴직 후 14일 이내 IRP 계정으로 지급되지만 일부 예외적인 경우 직접 지급되며, 월급에 퇴직금 포함 약정은 무효이고, 출산/육아휴직, 고용주 귀책사유 휴업 등은 평균임금 계산에서 제외된다.

#퇴직금#계산#지급#평균임금

상담사례

군대 다녀온 기간, 퇴직금 받을 때 포함될까요? 🤨

일반 회사원의 군복무 기간은 퇴직금 산정에 포함되지 않지만,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사는 예외로 포함된다.

#군복무#퇴직금#미포함#공무원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뭐가 포함되고 뭐가 안될까? 🧮

이 판례는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출장식대, 작업출장비, 특별성과상여금이 퇴직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핵심은 '근로의 대가'인지 실비변상인지, 그리고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는지 여부입니다.

#출장비#상여금#퇴직금#평균임금

민사판례

퇴직금, 평균임금, 통상임금 계산, 이것만 알면 된다!

퇴직금 계산 시 기준 시점은 퇴직 당시이며,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금품은 근로의 대가여야 한다. 회사가 휴가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지급하는 하기휴가비는 평균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 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생산수당은 통상임금이 아니지만,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본인수당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퇴직금#평균임금#하기휴가비#생산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