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0다14997

선고일자:

199104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판결정본 송달 전에 제기한 상소의 취하와 판결의 확정 여부(소극)

판결요지

판결선고후 그 판결정본이 당사자에게 송달되지 않았다면 불변기간인 상소제기기간은 적법하게 진행될 수 없으므로 당사자가 그 판결정본을 송달받기 전에 상소를 제기하였다가 그 후 취하하였다고 하여도 그 판결이 확정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363조, 제47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선정당사자, 상고인】 홍순영 소송대리인 변호사 서차수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대종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임갑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0.16. 선고 90나2659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선정당사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선정당사자)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판결선고후 그 판결정본이 당사자에게 송달되지 않았다면 불변기간인 상고제기기간은 적법하게 진행될 수 없으므로 당사자가 그 판결정본을 송달받기 전에 상고를 제기하였다가 그 후 취하하였다고 하여도 그 판결이 확정되지 않음은 소론과 같으나, 이 사건에서 원심이 채용한 각 증거(특히 을 제14호증의 기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은 원고(선정당사자) 및 선정인 등이 소론 서울민사지방법원 76가단11021 판결을 그 판결선고후 판결기재 주소지에서 송달받지 못하였으나 그후 1989.9.11.경 판결을 교부받아 보고 추완항소를 제기하였다가 1990.7.10.경 이를 취하한 것으로 인정한 취지임이 명백하므로, 원심이 위 추완항소의 취하로서 위 판결이 확정된 것으로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판결문 못 받았는데 항소기간 지났다고요? 억울합니다!

법원 판결문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면, 항소 기간은 시작되지 않고 판결도 확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나중에 판결문을 받고 항소하더라도 유효합니다.

#판결문#송달#항소기간#확정

형사판례

항소법원 결정에 대한 불복,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상고기간과 판결 선고 절차에 대한 이야기

항소법원의 결정에 불복하려면 재항고를 해야 하고, 형사사건의 상고기간은 판결 선고일부터 시작되며, 판결 선고 과정에 문제가 있더라도 상고기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재항고#상고기간#선고일#판결선고절차

상담사례

법원 판결 따르기로 합의했는데 항소해도 될까요? 🤔

'법원 판결에 따른다'는 합의를 했더라도, 합의서에 '항소 포기'가 명시적으로 없다면 항소 가능성이 높다.

#법원 판결#합의#항소#항소 포기

가사판례

항소 취하 후 다시 항소할 수 있을까?

항소를 취하했더라도 항소 기간이 남아있다면 다시 항소할 수 있습니다. 단, 항소 기간이 지난 후에 취하하면 첫 번째 판결이 확정됩니다.

#항소#취하#항소기간#재항소

민사판례

전자소송에서 판결문 확인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송달 효력 발생 시점과 상소기간!

전자소송에서 판결문을 1주일 내 확인하지 않으면, 법원이 통지한 다음 날부터 7일째 되는 날 오전 0시에 송달된 것으로 간주되어 상소기간이 시작됩니다.

#전자소송#판결문 확인#송달#상소기간

생활법률

재판 결과에 불만족? 상소와 재심, 궁금증 완벽 해결!

재판 결과 불복 시, 확정 전에는 상소(1심 불복: 항소, 2심 불복: 상고), 확정 후에는 재심을 통해 판결 재검토를 요청할 수 있다.

#상소#재심#항소#상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