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0다카25604

선고일자:

1990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영조물의 설치. 관리상의 하자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자의 위자료청구권이 배제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국가배상법 제5조 제1항의 영조물의 설치. 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가 발생한 경우 같은 법 제3조 제1항 내지 제5항의 해석상 피해자의 위자료 청구권이 반드시 배제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국가배상법 제5조 제1항 , 제3조, 민법 제76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정우철 외 343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영래 외 4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6.20. 선고 89나3294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이 사건 사고는 피고의 공공영조물인 판시 수문상자의 설치 및 배수압기의 관리상의 하자로 인하여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원심은 피고에게 국가배상법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 사건 사고로 인한 위자료 지급의무를 지우고 있는데 같은 법 제3조 제1항 내지 제5항에 의하더라도 이 사건과 같은 경우에 원고들의 위자료청구권이 반드시 배제되는 것으로는 해석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원심이 판시와 같은 모든 사정을 참작하여 원고들에게 그에 알맞는 위자료를 각 산정한 것도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이 사건 사고에 원고들에게도 주장과 같은 과실이 있었다고 보여지지 아니하므로 이를 위자료산정에 참작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잘못이 있다 할 수 없다. 주장은 어느 것이나 원심이 인정하지 아니한 사실을 전제로 원심판결을 탓하고 있음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덕주 윤관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산 피해에도 위자료 받을 수 있을까? 국가배상법 해설

국가배상법에는 생명, 신체 피해에 대한 위자료 지급 규정은 있지만, 재산 피해에 대한 위자료 지급 규정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재산 피해에 대한 위자료 지급 의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공공시설물의 하자로 재산상 피해를 입었다면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공공시설물 하자#재산 피해#위자료#국가배상법

민사판례

공공시설물 사고, 누구 책임일까요?

국가가 관리하는 시설물(영조물)에 사고 위험을 막기 위한 안전 조치가 부족하여 사고가 발생했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다만, 모든 사고에 대해 국가가 책임지는 것은 아니고, 시설물의 용도, 위치, 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사회 통념상 요구되는 수준의 안전 조치를 했는지 판단해야 한다.

#공공시설물#영조물#안전성#국가배상

민사판례

빗물펌프장 설치·관리 하자와 국가배상 책임 -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는 누구 책임일까?

2001년 7월 서울 동대문구에서 발생한 폭우 침수피해와 관련하여 빗물펌프장 설치·관리에 하자가 있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200년 빈도의 폭우라는 불가항력적 상황과 빗물펌프장이 관련 규정과 기준에 따라 설치·관리되었다는 점을 들어 하자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폭우#침수피해#빗물펌프장#설치·관리 하자

상담사례

공공시설물 사고, 나라에 책임 물을 수 있을까? (영조물 하자)

공공시설물(영조물) 사고는 시설물이 사회 통념상 기대되는 안전성을 갖추지 못했고(설치·관리 하자), 사고 발생이 예견 가능하며 회피 가능했을 경우 국가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공공시설물 사고#국가배상#영조물 하자#안전성

생활법률

공무원 때문에 손해봤어요! 국가배상청구, 나도 할 수 있을까?

공무원의 불법행위 또는 영조물 설치/관리 잘못으로 손해를 입은 경우, 배상심의회 신청 또는 법원 소송을 통해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국가배상청구#공무원#영조물#불법행위

상담사례

공원 운동기구 사고, 구청에 배상 책임 물을 수 있을까?

공원 운동기구 사고 발생 시, 구청은 안전성 확보 의무를 다하지 않았을 경우 배상 책임이 있으나, 이용자의 부주의 정도에 따라 배상 책임이 감경될 수 있다.

#공원 운동기구 사고#배상 책임#구청#안전성 확보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