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0도292

선고일자:

1990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불법적인 공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소극적 방어행위로서 정당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피고인이 피해자와 그 일행으로부터 더이상 맞지 않기 위하여 피해자의 손을 잡아 뿌리치고 목부분을 1회 밀어버림으로써 피해자가 땅에 넘어지게 된 것이라면 피고인의 행위는 그 동기나 당시의 정황으로 보아 불법한 공격적인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위 피해자 일행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소극적인 방어행위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라고 볼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2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광주지방법원 1989.11.2. 선고 89노13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채택의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설시와 같은 경위로 피고인이 판시의 나 호현 등 일행으로부터 더이상 맞지 않기 위하여 나 호현의 손을 잡아 뿌리치고 목부분을 1회 밀어버림으로써 위 나 호현이 땅에 넘어지게 된 사실 을 인정한 조치에 수긍이 가 거기에 심리미진 내지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며, 피고인의 위 행위는 그 동기나 당시의 정황으로 보아 불법한 공격적인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위 나호현 등 일행의 불법적인 공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소극적인 방어행위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라고 보여지므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의 행위는 위법성이 조각되어 범죄로 되지 않는다고 판시한 것은 옳고 거기에 정당행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억울하게 폭행죄로 몰렸을 때, 정당방위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술에 취한 사람이 이유 없이 시비를 걸고 폭행해서, 이를 뿌리치고 도망가다가 상대방이 넘어져 다친 경우, 도망간 사람의 행위는 정당방위로서 죄가 되지 않는다.

#정당방위#폭행#도망#무죄

형사판례

싸움 중 반격, 정당방위일까?

서로 싸울 의사로 다투다가 먼저 공격을 받았더라도, 그에 대한 반격이 단순한 방어가 아닌 싸움의 일부로 볼 수 있다면 정당방위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쌍방폭행#정당방위#싸움#공격

형사판례

우리 집에 무단침입해서 폭행? 정당방위 인정될까요?

남편의 불륜을 의심한 아내와 그 일행이 불륜 상대로 의심되는 여성의 집에 쳐들어가 폭행하자, 여성이 저항하는 과정에서 상해를 입힌 사건에서, 법원은 여성의 행위를 정당방위로 인정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싸움처럼 보이더라도 일방적인 공격에 저항한 것이라면 정당방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 판례입니다.

#불륜 의심#폭행#정당방위#무죄

형사판례

싸움 중 정당방위, 어디까지 인정될까?

싸움 중이라도 일방적인 폭행에 대한 소극적 방어는 정당방위로 인정될 수 있다.

#싸움#방어행위#정당방위#위법성 조각

형사판례

술 취한 상대방의 폭행에 대한 방어, 정당방위일까?

술에 취한 사람이 먼저 공격했을 때, 이에 대한 방어 행위가 과도하지 않다면 정당방위로 인정되어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정당방위#술취한 공격#무죄#형법 제20조

형사판례

싸움 중 구타, 정당방위일까?

싸움 중에 주고받은 폭력 행위는 서로 상대방의 폭력을 유발한 것이므로 정당방위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진술의 신빙성을 떨어뜨리기 위한 탄핵 증거는 범죄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싸움 중 구타#정당방위 불인정#탄핵 증거#증거능력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