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상고

사건번호:

90오1

선고일자:

1991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에 의해 피고인이 불출석한 상태에서 공시송달로 공판이 진행되어 유죄판결이 . 선고 확정되었으나 피고인이 방위소집되어 위 판결. 선고 당시 군복무 중이었던 사실이 인정되는 경우 이를 이유로 한 비상상고의 당부(적극) 나. 위 “가”항의 경우 원판결 자체를 파기하고, 피고인이 위 판결확정후 방위소집 해제되어 현재로서는 군사법원에 신분적 재판권이 없어 군사법원으로 이송하지 아니하고 주거지 관할법원에 이송한 사례

판결요지

가. 피고인의 소재불명으로 법원이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에 의해 공시송달로 공판을 진행하여 피고인이 불출석한 상태에서 유죄판결을 선고하고 그 판결이 항소기간 도과로 확정되었으나, 피고인은 방위소집되어 위 판결. 선고 당시 군복무중이었던 사실이 인정된다면 군사법원법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일반법원에는 신분적 재판권이 없어 위 법원으로서는 형사소송법 제16조의2에 의하여 사건을 군사법원에 이송하였어야 함에도 피고인에 대하여 재판권을 행사하였음은 위법하다 할 것이므로 이를 이유로 한 비상상고는 이유있다 나. 위 “가”항의 경우 원판결 자체를 파기하고, 피고인이 위 판결확정후 방위소집 해제되어 현재로서는 군법피적용자로서의 신분을 떠나 군사법원에 신분적 재판권이 없게 되어 군사법원으로 이송하지 아니하고 주거지 관할법원에 이송한 사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16조의2, 제441조, 군사법원법 제2조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6.4.27. 선고 76오1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비상상고인】 검찰총장 【원 판 결】 인천지방법원 1989.6.9. 선고 88고단1964 판결 【주 문】 원판결을 파기한다. 이 사건을 인천지방법원에 이송한다. 【이 유】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1988.6.27.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죄로 인천지방법원에 기소된 후 위 법원은 피고인의 소재불명으로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에 의해 소재탐지 후 공시송달로 공판을 진행하여 1989.6.9. 피고인이 불출석한 상태에서 징역 10월을 선고하였고 같은 판결이 같은 달 17. 항소기간 도과로 확정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 바, 한편 이 비상상고 사건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1988.12.5. 방위소집되어 위 판결. 선고 당시 군복무 중이었던 사실이 인정된다. 그렇다면 군사법원법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일반법원에는 신분적 재판권이 없어 위 법원으로서는 형사소송법 제16조의2에 의하여 사건을 군사법원에 이송하였어야 함에도 피고인에 대하여 재판권을 행사하였음은 위법하다 할 것이어서, 이 비상상고는 이유있다 ( 당원 1976.4.27. 선고 76오1 판결 참조). 그래서 당원은 원판결자체를 파기하고 다시 판결하기로 하는 바,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위 판결확정 후인 1990.6.4. 방위소집 해제되어 현재로서는 군법피적용자로서의 신분을 떠나 군사법원에 신분적 재판권이 없게 되었음이 명백하므로, 결국 이 사건은 군사법원으로 이송하지 아니하고 주거지 관할법원인 인천지방법원에 이송하여 다시 재판받게 함이 적절하다고 인정된다. 이에 원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피고인의 주거지 관할법원인 인천지방법원에 이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군인 신분인데 민간 법원에서 재판받았다고? 다시 군사법원으로!

군인 신분인 피고인이 일반 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까지 확정되었더라도, 재판 당시 군인이었다면 그 재판은 잘못된 것이므로 무효가 됩니다. 사건은 군사법원으로 옮겨져서 다시 재판을 받아야 합니다.

#군인#재판권#군사법원#일반법원 무효

형사판례

공시송달과 재판의 정당성: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은 필수!

법원이 피고인에게 제대로 연락하지 않고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붙이는 방식)로 재판을 진행한 것은 잘못이며, 이런 경우 항소심에서는 처음부터 재판을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

#공시송달#소환#방어권#파기환송

가사판례

공시송달로 항소 사실을 몰랐다면? 다시 재판받을 기회를!

항소심에서 소송 관련 서류가 공시송달되어 항소 자체를 몰랐다면, 상고 기간이 지났더라도 추완상고(기간이 지난 후 상고하는 것)가 허용된다.

#추완상고#공시송달#항소심#권리보호

형사판례

피고인에게 연락도 안 하고 재판했다고?

병으로 입원 중이던 피고인에게 연락을 시도하지 않고, 소재를 알 수 없다고 판단하여 공시송달 후 재판을 진행하고 선고한 것은 위법하다.

#공시송달#위법#소재파악#연락처

형사판례

공시송달,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피고인에게 연락도 없이 재판? 이건 위법입니다!

검찰이 피고인의 전화번호를 잘못 적어서 법원이 피고인에게 제대로 연락하지 못하고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게시하는 방법)로 재판을 진행한 경우, 이는 위법하며 판결은 무효입니다. 법원은 기록에 있는 다른 연락처를 확인하여 피고인에게 연락했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공시송달#전화번호 오류#판결 무효#소재파악 의무

형사판례

주민등록상 주소지로 송달불능되었다고 바로 공시송달? 안 됩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주민등록상 주소로 서류를 보냈으나 반송되자, 다른 방법으로 연락을 시도하지 않고 바로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게시하여 송달하는 방식)로 재판을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판결은 피고인의 출석권을 침해한 것이므로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시송달#위법#출석권#피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