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무효

사건번호:

90후1567

선고일자:

199404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특허청구범위의 항의 일부가 공지기술의 범위에 속하는 등 특허무효의 사유가 있는 경우 그 항 전부에 관하여 무효로 하여야 하는지 여부 나. 두 개 이상의 화합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염료조성물의 진보성 인정기준

판결요지

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하여 다항제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 있어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이 2 이상인 경우 그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마다 무효로 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1개의 특허청구범위의 항의 일부가 공지기술의 범위에 속하는 등 특허무효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공지기술 등이 다른 진보성이 인정되는 부분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그 항 전부에 관하여 무효로 하여야 하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항 중 일부에 관하여만 무효라 할 수는 없다. 나. 두 개 이상의 화합물을 소정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염료조성물의 진보성은 그 조성물 자체의 작용효과 유무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는 것이며, 비록 조성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성분이 공지의 범주에 속하는 화합물이라 할지라도 이를 소정비율로 배합한 결과 종전에 예측할 수 없는 작용효과가 창출되었다면 이는 진보성이 있는 것이다.

참조조문

구 특허법 제69조 제2항, 제6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세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이영화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주식회사 경인양행 소송대리인 변리사 김석중 【원심판결】 특허청 1990.7.28. 자 89항당 23심결 【주 문】 원심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본건발명은 그 설시와 같이 대치기호를 사용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비스아조 화합물 95-60wt %와 일반식(II)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화합물 5-40wt%를 배합한 반응성 흑색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인데, 본건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의 화합물과 본건발명 실시예 2 내지 9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이고, 실시예 10 내지 15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와 상이하며 또한 그 자체로는 실시가능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설혹 본건발명의 실시예 10,11에서 사용된 일반식(II)의 화합물중 대치기호 Y를 NHY의 오기라고 보는 경우에도 이는 인용발명(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 58-160362)의 범주에 속하여 공지된 것이므로 본건발명의 실시예 15개 중 실시예 2 내지 15에 있어서는 신규성 및 진보성의 결여 등 무효사유가 있으나, 한편 실시예 I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신규성이 인정되고 그 화합물과 일반식(I)의 화합물과의 배합에 의한 반응성흑색염료조성물의 작용효과가 우수하여 진보성이 있으므로 실시예 1에 관한 부분은 권리보호의 대상이 된다고 인정한 다음, 본건발명은 권리보호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부분(실시예 2 내지 15)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권리로서 보호되어야 할 부분(실시예1)이 존재하고 있고, 본건특허에 있어서 그 부분은 특허의 요건을 갖추지 아니한 부분과 일체가 되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도 아니므로 본건특허의 일부에 그와 같은 무효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전부를 무효로 볼 수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2.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하여 다항제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이 2이상인 경우 그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마다 무효로 할 수 있으나(1990.1.13. 개정 이전의 구 특허법 제69조 제2항, 현행법 제133조 제1항 참조), 이와는 달리 1개의 특허청구범위의 항의 일부가 공지기술의 범위에 속하는 등 특허무효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공지기술 등이 다른 진보성이 인정되는 부분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그 항 전부에 관하여 무효로 하여야 하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항 중 일부에 관하여만 무효라 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3. 본건특허는 두개 이상의 화합물을 소정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염료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이와 같은 염료조성물의 진보성은 그 조성물 자체의 작용효과 유무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는 것이며, 비록 조성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성분이 공지의 범주에 속하는 화합물이라 할지라도 이를 소정비율로 배합한 결과 종전에 예측할 수 없는 작용효과가 창출되었다면 이는 진보성이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원심으로서는 본건특허의 청구범위 및 명세서 기재 전반을 통하여 파악되는 조성성분 각각의 공지 여부와 더불어 조성물 자체의 작용효과 유무를 심리한 다음 이를 기초로 단일항으로 된 본건특허의 조성물 중 무효사유에 해당하는 것이있는지 여부를 가려 일부무효의 경우에는 특허 전체가 무효가 된다는 법리를 적용하여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본건특허의 실시예 2 내지 15의 경우에는 조성물로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판단하지 아니한 채 아무런 이유 설시없이 막연히 각 염료의 배합이나 그 배합비율은 발명의 특징이 될 수 없다고 판시한 다음 단일항으로 청구된 본건특허에 일부무효 사유가 있더라도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발명의 진보성이 인정되므로 특허 전체가 무효라고는 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결에는 특허무효사유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하고 원심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김상원 박만호 박준서(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의 일부가 무효라면? 전체도 무효?

특허의 일부분이 무효 사유에 해당할 때, 특허 전체를 무효로 해야 하는가? 특허받은 염료 조성물의 진보성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특허#일부무효#전체무효#진보성

특허판례

특허 분쟁: 약학 조성물의 진보성 부정 사례

기존 약물에 흔히 쓰이는 약학적 허용담체를 추가한 약학 조성물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약학 조성물#진보성 부정#약학적 허용담체#통상의 기술자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판단: 전체를 봐야 할까, 부분을 봐야 할까?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발명인지 판단할 때는,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기술 사상과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여러 기존 기술들을 조합해서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특허#진보성#구성요소#유기적 결합

특허판례

첨가물 다르면 특허 될 수도 있다?! - 재료 비슷해도 품질과 경제성 향상되면 진보성 인정

기존 발명과 제조 원료나 공정이 비슷하더라도, 새로운 첨가물을 사용하여 경제성이나 제품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면 특허로 인정될 수 있다.

#첨가물#경제성 향상#품질 향상#특허

특허판례

새로운 약물 조성물, 특허 인정받을 수 있을까? -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이 판례는 특정 성분과 중합체를 결합한 서방형 제제(약물이 천천히 방출되도록 만든 약)에 대한 특허의 진보성을 다룹니다. 대법원은 이 특허가 기존 기술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기술적 진보가 있다고 판단하여 특허의 유효성을 인정했습니다.

#서방형 제제#특허#진보성#옥트레오티드

특허판례

특허의 진보성 판단, 어디까지? - 여러 선행기술 결합과 수치한정 발명

이 판례는 특허의 진보성을 판단할 때, 여러 선행기술을 조합하면 쉽게 도출될 수 있는 발명과, 단순히 수치만 한정한 발명은 진보성이 없다고 판단한 사례입니다.

#진보성#선행기술#결합#수치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