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1424

선고일자:

1991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1974.12.31. 이전에 취득한 부동산의 취득가액을 1975.1.1. 현재의 기준시가에 의하면서 재무부령이 정한 방법에 의해 산정하고, 양도가액은 배율방법에 의하여 산정한 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함의 적부(적극) 나. 기준시가의 결정방법을 대통령령에 위임한 소득세법 제60조의 조세법률주의원칙 위배 여부(소극) 다.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항이 법률의 위임사항을 포괄적으로 다시 하위법규에 재위임한 것인지 여부(소극) 라. 시행 전의 취득 당시 예측하지 못했던 취득가액 계산방법을 규정하되 시행 이후의 자산양도에만 적용되는 양도소득세에 관한 입법의 소급입법 여부(소극) 마. 양도의 원인이 교환인 경우에 있어서 양도가액의 산정

판결요지

가. 특정지역으로 고시되기 전인 1972년에 토지를 취득하였다가 위 고시 후 이를 양도한 경우에 있어, 1975.1.1. 현재 위 토지의 시가를 알 수 없어 그 취득가액을 1975.1.1. 현재의 기준시가에 의하도록 하되, 양도가액은 배율방법에 의하여, 취득가액은 구 소득세법시행규칙(1990.3.15. 재무부령 제18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6조의5 제5항이 정한 방법에 의하여 각 산정하고, 이에 기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하여 부과한 과세처분은 적법하다. 나. 소득세법 제23조, 제31조, 제45조 등에서 양도소득세의 과세요건과 세율 등의 중요사항을 모두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60조는 그 과세표준계산의 기초가 되는 기준시가의 결정방법만을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있으므로 이들 규정이 법률에 규정할 내용을 대통령령에 포괄위임함으로써 헌법이 정한 조세법률주의 원칙 등에 어긋나는 위헌규정이라고 할 수 없다. 다. 소득세법 제60조의 위임에 따라 규정하고 있는 구 소득세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5조는 그 제1항과 제2항에서 기준시가의 결정에 관하여 일반적인 사항을 국세청장이 정하는 지역과 그렇지 아니한 지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규정하면서 그 제3항에서 양도 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되는데 취득 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되지 아니하여 배율이 없는 경우에 취득 당시의 기준시가의 결정방법만을 재무부령에 위임하고 있음이 명백하므로 이를 가리켜 법률에 의하여 위임된 사항을 포괄적으로 다시 하위법규에 재위임한 것으로서 헌법상의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위반된 무효의 규정이라고 할 수 없다. 라. 자산의 양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조세인 양도소득세에 관한 입법이 그 시행 이후의 자산양도거래에만 적용되는 것인 이상 그 취득가액에 대하여 그 시행 전의 취득 당시에 예측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계산할 것을 규정하였다 하여 이를 소급입법이라 할 수 없다. 마. 부동산 양도의 원인이 교환이라고 하더라도 양도한 것은 엄연히 교환에 의하여 양도되는 부동산이므로 그 양도가액은 위 양도되는 부동산의 기준시가에 의하여야 하며 교환에 의하여 양도받는 자산의 기준시가에 의할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나.다.라.마. 구 소득세법 (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 가.나.다.라. 구 소득세법시행령 (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5조, 부칙(1974.12.31.) 제9조 / 가.다.라. 구 소득세법시행규칙 (1990.3.15. 재무부령 제18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6조의5 제5항, 제7항 / 나.다. 헌법 제38조, 제59조, 소득세법 제60조 / 가. 소득세법 부칙 (1974.12.24) 제16조,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1974.12.31.) 제9조 / 라. 헌법 제13조

참조판례

가.나.다.라. 대법원 1990.7.24. 선고 90누3515 판결(공1990,1819) /나.다.라. 대법원 1991.7.26. 선고 90누9629 판결(공1991,2269) /가.나. 대법원 1990.9.25. 선고 90누3386 판결(공1990,2198) /나.다. 대법원 1990.11.13. 선고 90누5955 판결(공1991,125),1991.4.23. 선고 90누6293 판결(공1991,1531) /나.라. 대법원 1991.4.26. 선고 90누8077 판결(공1991,1544) /가. 대법원 1991.6.28. 선고 90누8145 판결(공1991,2066) /나. 대법원 1991.1.29. 선고 90누7159 판결(공1991,894) /다. 대법원 1990.7.24. 선고 90누3515 판결(공1990,1820) /라. 대법원 1990.8.28. 선고 90누3300 판결(공1990,204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동작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2.27. 선고 90구1358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득세법 제60조, 같은 법 부칙 제16조, 같은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15조 제1항, 제3항, 같은법 시행규칙(1990.3.15. 재무부령 제18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6조의5 제7항, 제5항의 규정에 의하면 양도소득산정의 기초가 되는 기준시가는 과세물건이 국세청장이 정하는 특정지역 내에 소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배율방법에 의하여 평가한 가액으로 하되, 과세물건이 양도 당시에는 국세청장이 정하는 특정지역에 소재하고 있으나 취득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배율이 없는 경우에는 양도가액은 위 배율방법에 의한 가액으로 하고 취득가액은 같은법시행규칙 제56조의5 제5항의 규정을 준용하여 국세청장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환산한 가액으로 하고, 양도되는 자산 중 토지 건물로서 1974.12.31. 이전에 취득한 것은 1975.1.1.에 취득한 것으로 보며, 1974.12.31. 이전에 취득한 자산의 취득가액은 1975.1.1. 현재의 시가(시가를 알 수 없는 때에는 1975.1.1. 현재의 기준시가)에 의하도록 되어 있는데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 중 토지에 관하여 특정지역으로의 고시가 된 1988.9.21.이전인 1972.11.경 이 사건 부동산을 취득하였다가 위 고시가 된 후인 1988.12.27. 이를 양도하였고, 1975.1.1. 현재 위 토지의 시가를 알 수 없으므로 그 취득가액을 1975.1.1. 현재의 기준시가에 의하도록 하되, 양도가액은 배율방법에 의하여, 취득가액은 위 재무부령이 정한 방법에 의하여 각 산정하고, 이에 기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하여 부과한 이 사건 과세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위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면 이 사건 부동산 중 토지에 관한 취득가액 및 양도가액의 기준시가 산정에 관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소득세법 그 제23조, 제31조, 제45조 등에서 양도소득세의 과세요건과 세율 등의 중요사항을 모두 규정하고 있고 같은법 제60조는 그 과세표준계산의 기초가 되는 기준시가의 결정방법만을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있으므로 이들 규정이 법률에 규정할 내용을 대통령령에 포괄위임함으로써 헌법이 정한 조세법률주의원칙 등에 어긋나는 위헌규정이라고 할 수 없다(당원 1990.9.25. 선고 90누3386 판결 참조). 그리고 같은법 제60조의 위임에 따라 규정하고 있는 같은법시행령 제115조는 그 제1항과 제2항에서 기준시가의 결정에 관하여 일반적인 사항을 국세청장이 정하는 지역과 그렇지 아니한 지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규정하면서 그 제3항에서 양도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되는데 취득 당시에는 특정지역에 해당되지 아니하여 배율이 없는 경우에 취득 당시의 기준시가의 결정방법만을 재무부령에 위임하고 있음이 명백하므로 이를 가리켜 법률에 의하여 위임된 사항을 포괄적으로 다시 하위법규에 재위임한 것으로서 헌법상의 조세법률주의원칙에 위반된 무효의 규정이라고 할 수 없고(당원 1990.7.24. 선고 90누3515 판결 참조), 또한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와 같은법시행규칙 제56조의5 제7항의 각 규정에 의한 기준시가를 정하기 위한 국세청장의 고시에 그 근거를 같은법시행령 제115조라고만 표시하고 위임규정인 같은법시행규칙의 조항을 명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사유 만으로 위 고시가 형식에 흠결이 있어 무효라고는 할 수 없으며, 나아가 자산의 양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조세인 양도소득세에 관한 입법이 그 시행 이후의 자산양도거래에만 적용되는 것인 이상 그 취득가액에 대하여 그 시행 전의 취득 당시에 예측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계산할 것을 규정하였다 하여 이를 소급입법이라 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당원 1990.8.28. 선고 90누3300 판결 참조) 결국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위 각 법령조항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이 사건에 있어서 양도의 원인이 교환이라고 하더라도 양도한 것은 엄연히 이 사건 교환에 의하여 양도되는 부동산이므로 그 양도가액은 위 양도되는 부동산의 기준시가에 의하여야 하며 교환에 의하여 양도받는 자산의 기준시가에 의할 것은 아니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4. 논지는 모두 이유 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옛날 부동산 팔 때 세금 계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1999년 이전에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양도가액을 실제 거래가격으로 신고하면 취득가액도 실제 거래가격(또는 그에 준하는 가액)으로 계산해야 하며, 세법을 잘못 이해하거나 세무공무원의 설명을 잘못 들었다는 이유로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취득가액#실거래가#기준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계산, 취득가액이 불분명할 땐 어떻게? (feat. 대법원 판결)

땅이나 건물을 팔았을 때 내는 세금(특별부가세)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이 불분명하면 시행령에서 정한 계산방식이 아니라 기준시가를 사용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취득가액#불분명#법인세#시행령

세무판례

양도소득세 계산,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법 시행 이후 양도하는 자산에 대해서만, 시행 전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계산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이는 소급입법이 아니며, 공평과세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양도소득세#계산방법 변경#소급입법#공평과세

세무판례

옛날 땅 판 돈에 대한 세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1974년 12월 31일 이전에 취득한 자산을 양도할 때, 실제 취득가액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금액이 1975년 1월 1일 시가보다 높다면, 그 높은 금액을 취득가액으로 인정하여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

#양도소득세#취득가액#물가상승률#1974년 12월 31일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액과 기준시가, 어떤 걸 써야 할까?

옛날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르면, 부동산을 사고팔 때 국가, 지자체, 회사 등 법인과 거래한 가격이 확인되면, 다른 한쪽 거래도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확인이 안 되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제 거래가격, 다른 쪽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다.

#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양도가액

세무판례

옛날 세법 따라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법인 거래가 얽혀있을 때)

옛날 소득세법에서는 국가, 지자체, 법인과 부동산 거래를 할 때, 매도 또는 매수 중 하나라도 실거래가가 확인되면 나머지 거래도 실거래가를 확인해서 양도차익을 계산해야 했습니다. 만약 나머지 거래의 실거래가 확인이 어려우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거래가, 개인과 거래한 쪽은 기준시가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부동산#양도차익#실거래가#기준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