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91다24083

선고일자:

1991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990.1.13. 개정된 민법 및 그 부칙 제9조와 구민법하 계모의 자에 대한 친권의 소멸시기

판결요지

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된 민법과 그 부칙 제9조에 의하면, 계모자 관계로 인한 친계와 계모의 친권 행사에 관한 구 민법 제773조, 제912조의 규정은 삭제되어 계모의 자에 대한 친권은 위 개정 민법 시행일인 1991.1.1. 이후부터는 소멸되었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부칙 제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6.13. 선고 90나3949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1987.10.12. 사망한 소외 망인의 전처 출생 미성년 자녀들인 원고들이 계모인 피고를 상대로 상속재산인 금전 및 가옥을 타인에게 임대하고 받은 임대보증금 중 원고들의 상속지분비율에 따른 금원의 지급을 구하는 이 사건 청구에 대하여 판단하기를, 친권자에게는 미성년인 자의 특유재산을 관리할 권리와 책임이 있고, 그 친권이 소멸한 때에 비로소 그 자의 재산에 대한 관리의 계산을 할 의무가 있는 것이어서 원고들의 계모로서 친권자인 피고는 비록 법원의 가처분결정에 의하여 원고들에 대한 친권 행사가 정지된 상태에 있기는 하나 아직 친권이 소멸된 것이 아니므로, 피고에게는 원고들의 재산에 대한 관리의 계산을 하여 잉여재산을 반환할 의무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그러나 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된 민법과 그 부칙 제9조에 의하면 계모자 관계로 인한 친계와 계모의 친권행사에 관한 구 민법 제773조, 제912조의 규정은 삭제되어 계모인 피고의 원고들에 대한 친권은 위 개정민법 시행일인 1991.1.1. 이후부터는 소멸되었다 고 할 것이다. 따라서 피고의 원고들에 대한 친권이 아직 존재하고 있음을 전제로 원고들의 청구를 배척한 원심판결에는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률적용상의 잘못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할 것이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계모의 재산, 나도 상속받을 수 있을까? - 계모자 관계의 상속 문제

1991년 민법 개정 이후 계모자 관계는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아, 계모 사망 시 자녀는 상속권이 없다.

#계모#상속#계모자 관계#1991년 법 개정

상담사례

계모의 재산, 나도 상속받을 수 있을까요? - 계모자 관계의 상속 문제

계모와 자녀 사이에는 법적인 혈연관계가 없으므로, 계모의 유언이 없다면 자녀는 계모의 재산을 상속받을 수 없다.

#계모자#상속#무관계#법정혈족

민사판례

친모의 상속재산, 뒤늦게 알게 된 자녀의 권리는?

어머니가 사망 후 다른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처분했는데, 나중에 친생자관계존재확인 소송을 통해 친자임이 확인된 경우, 이미 처분된 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가? -> **있다.** 친모와 자녀 사이에는 출생과 동시에 친자관계가 성립하므로, 뒤늦게 확인되었더라도 상속권이 인정된다.

#친생자#상속재산#처분#친생자관계존재확인

민사판례

미성년자 재산 관리, 누가 할 수 있을까요? 이혼 후 친권과 후견인에 대한 이야기

이혼 후 친권을 잃었던 엄마가 법 개정으로 친권을 되찾게 되고, 할아버지가 후견인으로서 손자의 재산을 처분한 행위는 유효하다는 판결.

#친권 회복#미성년자 재산 처분#후견인#추인

생활법률

아이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결정, 친권!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미성년 자녀의 신분과 재산에 대한 부모의 권리와 의무인 친권은 부모가 공동으로 행사하며, 이혼 시에는 반드시 한쪽을 친권자로 지정해야 하고, 자녀의 복리를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친권#미성년자녀#권리#의무

민사판례

미성년 자녀 돈, 부모 마음대로 써도 될까? - 친권자의 자녀 재산 관리

친권자는 자녀의 특유재산을 함부로 사용할 수 없으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양육비로도 사용할 수 없다. 친권이 소멸하면 자녀에게 재산을 돌려줘야 하고, 채권자는 이 반환청구권을 압류할 수 있다.

#친권#자녀 재산#특유재산#관리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