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1다2809

선고일자:

199103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징발재산정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0조 소정의 군사상 필요가 없게 된 때의 의미와 그 판단기준

판결요지

징발재산정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0조 소정의 군사상 필요가 없게 된 때의 여부는 문제가 된 당해 징발재산을 특정군부대가 주둔하거나 기타 현실적인 점유상태를 유지·지속시켜 왔느냐의 여부만에 의할 것이 아니라 고도로 현대화된 작전개념에 맞추어 군이 계속 사용하여야 할 긴요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위에서 본 계속 사용은 직접점유 외에 간접점유도 포함하는 것이 옳으므로 결국 군사상 필요가 없게 된 때는 군이 계속 사용해야 할 군사상의 긴요성이 소멸된 때를 뜻한다.

참조조문

징발재산정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2.12. 선고 89다카9675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김두엽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남수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 판 결】 부산지방법원 1990.11.30. 선고 90나61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이 이 사건 토지는 모두 군의 영 내 토지로서 현실적으로 탄약고 등이 설치되어 그 용도대로 원심변론종결일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고 인정한 것은 이 사실인정을 위한 증거취사에 아무런 잘못이 없어 수긍이 되고 여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징발재산정리에관한특별조치법 제20조에서 말하는 군사상 필요가 없게 된 때의 여부는 문제가 된 당해 징발재산을 특정군부대가 주둔하거나 기타 현실적인 점유상태를 유지지속시켜 왔느냐의 여부만에 의하여 결정할 것이 아니라 고도로 현대화된 작전개념에 맞추어 군이 계속 사용해야 할 긴요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위에서 본 계속사용은 직접점유 외에 간접점유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는 것이 옳으므로 결국 위에서 본 군사상 필요가 없게 된 때의 글귀는 군이 계속 사용해야 할 군사상의 긴요성이 소멸된 때를 뜻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원심이 이 사건 토지들이 아직 위에서 본 법규정상의 군사상의 필요가 없게 된때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위에서 풀이한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옳고 여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를 미진한 잘못이나 판단을 유탈한 위법이 없다. 이에 논지는 이유없어 이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징발재산, 다른 부대가 사용해도 "군사상 필요없게 된" 건 아닙니다

징발된 땅을 국가가 매입한 후, 원래 사용하던 부대는 옮겼지만 다른 부대가 계속 사용한다면, 그 땅은 "군사상 필요 없게 된" 것으로 볼 수 없다.

#징발재산#군사상 필요#부대 이전#반환

민사판례

군용지, 언제까지 군용지일까? 군사적 필요성에 대한 판단 기준

군 시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주변 토지가 군사적 목적으로 필요하다면, 설령 그 사용이 간헐적이거나 민간인의 사용이 일부 허용되더라도 국가에 반환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군사용 토지#반환#군사적 필요#간헐적 사용

민사판례

군사용 토지, 언제까지 군사용일까? - 징발된 땅의 환매권 이야기

군사 목적으로 징발된 땅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환매권)는 징발된 땅이 '군사상 필요 없게 된 때'에 행사할 수 있는데, 이를 판단할 때는 단순히 현재 사용 빈도가 낮다는 사실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군의 작전 계획과 긴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징발재산#환매권#군사적 필요성#작전계획

민사판례

징발된 땅, 돌려받을 수 있을까? - 군사적 필요성이 사라진 경우

군대가 징발한 땅이라도 더 이상 군사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면 원래 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 단순히 관사가 근처에 있다거나 관사를 새로 지을 예정이라는 것만으로는 군사적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징발된 땅#환매권#군사적 필요성#관사

민사판례

군대가 땅을 돌려줘야 할까? 징발된 땅의 환매권 이야기

한국전쟁 당시 징발된 땅을 군대가 계속 사용하고 있는데, 병력이 줄어들었다는 이유로 땅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걸었지만, 대법원은 "병력이 줄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땅을 돌려줄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군사상 필요성은 객관적인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징발토지#군사상 필요성#환매#대법원

민사판례

군사상 필요한 땅, 어디까지일까? 징발된 땅의 환매권 이야기

군사 시설 부지뿐 아니라 그 시설 이용에 필요한 인접 토지도 '군사상 필요'에 해당하며, 군의 실제 사용 기간이나 방식보다 군사 작전상의 긴요성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는 판례.

#군사상 필요#환매권#징발매수#군사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