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1다8272

선고일자:

1991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학교 한의과대학 예과 2년을 수료하고 본과 1학년 1학기 등록마감일 전에 수업을 받고 있던 피해자의 일실수익을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상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경력이 1년 미만인 자의 평균소득에 따라 산정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대학교 한의과대학 예과 2년을 수료하고 본과 1학년 1학기 등록마감일 전에 수업을 받고 있던 피해자의 일실수익을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상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경력이 1년 미만인 자의 평균소득에 따라 산정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 제39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헌기 외 1인 【피고, 상고인】 피고 1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희태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1.1.24. 선고 89나639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이 피고들의 피용인인 사실을 확정하고 위 소외 1이 이 사건 부동산을 매수하여 관리하다가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피고들의 주장에 부합하는 증거들을 판시와 같은 이유로 배척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사실인정은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내세우는 형사판결과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들만으로는 위 결과를 달리 할 수 없다. 2. 원심판결은 그 증거에 의하여 망인이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예과 2년을 수료하고 본과 1학년 1학기의 등록마감일 전에 수업을 받고 있다가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확정하고 기록에 있는 이 사건 사고무렵의 노동부발행의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여 망인의 일실수익을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경력이 1년 미만인 25세 내지 29세의 평균적 소득수준에 따라 산정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위와 같은 원심의 조치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훈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대학생 사망사고, 일실수입 계산 어떻게? 미래 가치까지 고려? 🤔

사고 당시 대학생이었던 피해자의 미래 수입(일실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히 경력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최고 임금을 기준으로 삼은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일실수입#대학생#사망사고#파기환송

민사판례

대학생 사망사고, 일실수입은 어떻게 계산될까?

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 사망한 학생의 미래 수입 손실액(일실수입)을 계산할 때, 전문대 졸업자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대법원 판결.

#일실수입#대학생 사망#전문대 졸업자 임금#교통사고

민사판례

대학생 사망사고, 일실수입은 얼마? 농촌 일용직 기준 적용 논란

교통사고로 사망한 대학생의 미래 예상 소득을 계산할 때, 단순히 대학생이라는 이유만으로 대졸자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다는 판결.

#대학생 사망#일실수입#손해배상#대졸자 평균 임금

민사판례

의대생 교통사고 사망, 미래소득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의과대학 본과 3학년에 재학 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학생의 일실수입을 계산할 때, 단순히 '대졸 평균 소득'이 아니라 '의사가 됐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의대생#교통사고#사망#일실수입

민사판례

군 복무 후 사망한 대학생의 일실수입,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군복무를 마치고 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 사망한 학생의 일실수입은, 대졸 초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판결.

#대학생 사망#일실수입#대졸 초임 평균임금#손해배상

민사판례

교통사고로 인한 수입 상실, 어떻게 계산할까요?

사고로 인해 미래에 얻을 수입을 잃은 경우, 손실액은 **사고 당시** 피해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미래에 소득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사고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일실수입#사고 당시 소득#미래 수입 손실#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