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1도1870

선고일자:

1991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6조, 제8조 제9조의 위헌 여부(소극)

판결요지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의 자유도 스스로 한계가 있어 무제한의 자유가 아닌 것이므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집회 및 시위의 주최자로 하여금 미리 일정한 사항을 신고하게 하고 신고를 받은 관할 경찰서장이 제반 사항을 검토하여 일정한 경우 위 집회 및 시위의 금지를 통고할 수 있도록 한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6조, 제8조 및 그 금지통고에 대한 이의신청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같은 법 제9조가 헌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헌법 제21조 제1항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6조, 제8조, 제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5.27. 선고 86도456 판결(공1986,836), 1987.3.10. 선고 86도1246 판결(공1987,686), 1987.7.21. 선고 87도1081 판결(공1987,1434)

판례내용

【피 고 인】 A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1.6.27. 선고 89노19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택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그 판시 범죄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고 피고인의 판시 소위에 대하여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죄로 의율처단한 것도 정당하며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옥외집회 및 시위의 사전신고를 규정하고 있는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6조 및 일정한 경우에 집회 및 시위의 금지를 통고할 수 있도록 한 같은 법 제8조, 위 집회 및 시위의 금지통고에 대한 이의신청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같은 법 제9조의 각 규정들이 헌법 제21조에 위배되어 무효라는 것이나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의 자유도 스스로 한계가 있어 무제한의 자유가 아닌 것이므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집회 및 시위의 주최자로 하여금 미리 일정한 사항을 신고하게 하고 신고를 받은 관할경찰서장이 제반사항을 검토하여 일정한 경우 위 집회 및 시위의 금지를 통고할 수 있도록 한 위 각 규정 및 그 금지통고에 대한 이의신청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위 규정들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는 없다. 논지는 어느 것이나 이유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먼저 신고된 집회가 있다고 무조건 뒤에 신고된 집회를 금지할 수 있을까?

먼저 신고된 집회가 실제로 열릴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데도 단지 먼저 신고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나중에 신고된 집회를 금지한 것은 위법할 수 있다.

#집회#허위신고#금지통고#위법

생활법률

집회 및 시위, 언제 금지될까요? (feat. 법조항)

집회 및 시위는 법령 위반, 중복 신고, 주거/학습권 침해 우려, 교통 방해, 소음 기준 초과, 감염병 확산 우려 시 금지 또는 제한될 수 있으며, 학문, 예술, 체육, 종교 등 일부 예외 사항이 존재한다.

#집회시위#금지#집시법#법령위반

생활법률

내 생각을 말할 자유, 집회와 시위! 알고 하면 더 의미있어요!

집회·시위의 자유는 헌법에 보장된 권리이지만, 국가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해 집시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제한되며, 타인의 권리나 사회 질서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

#집회#시위#자유#헌법

형사판례

집회와 질서유지선, 그리고 공무집행방해

미신고 집회라도 바로 해산 명령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질서유지선 역시 최소한의 범위에서만 설정 가능하다. 또한 경찰관 배치로 질서유지선을 대체할 수 없으며, 위법한 공무집행에 대한 저항은 공무집행방해죄가 아니다.

#집회의 자유#질서유지선#경찰관 배치#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집회시위와 교통방해, 어디까지 허용될까?

적법하게 신고된 집회·시위라도 신고 범위를 벗어나거나 조건을 위반하여 교통을 방해하면 일반교통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 참가만으로 처벌되는 것은 아니고, 교통방해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거나 공모했어야 한다. 이미 교통이 차단된 상태에서 참가했더라도, 공모하여 교통방해 상태를 유지했다면 처벌될 수 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교통방해에 적극 가담하거나 공모했다는 증거가 부족하여 무죄 판결을 받았다.

#집회시위#일반교통방해죄#적극가담#공모

형사판례

집회 신고, 꼭 해야 할까요? 알고도 안 하면 처벌받아요!

경찰이 집회 개최를 미리 알고 있었거나 집회가 평화롭게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법에 따른 집회 신고 의무는 면제되지 않는다. 10명 이상이 모여 공동의 의견을 대외적으로 표명할 목적으로 일정 장소에 모이는 것은 집회 신고 대상이다.

#집회 신고 의무#경찰 사전 인지#평화적 진행#신고 면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