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배임수재,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1도2543

선고일자:

19911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학교 부총장이 의과대학부속병원의 부대시설 운영권을 인수하는 데 우선적으로 추천하여 달라는 청탁을 받고 그 사례비를 받은 경우 배임수재죄가 성립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대학교의 의과대학부속병원 부대시설의 임차 운영자를 선정할 권한을 가진 총장 겸 부속병원장의 직무를 보좌 또는 대행하거나 임차인을 추천할 권한 등이 있는 부총장이 위 부속병원의 부대시설 운영권을 인수하는 데 우선적으로 추천해 달라는 청탁을 받고 그 사례비 명목으로 금 3,000만 원을 받았다면, 이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해 사회상규 또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는 부정한 청탁을 받고 사례비 명목으로 금원을 받은 것이 되어배임수재죄를 구성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5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2.12. 선고 89도495 판결(공1990,301), 1990.8.10. 선고 90도665 판결(공1990,198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1.9.3. 선고 91노2957,90노4560(병합)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피고인 C에 대하여,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3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1. 피고인 A의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인용의 제1심판결이 든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범죄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피고인이 판시와 같이 동국대학교 기획조정실장, 총장직무대행, 부총장으로 근무하였고 부총장으로서 동국대학교 경주분교 의과대학부속병원 부대시설의 임차운영자를 선정할 권한을 가진 같은 대학교 총장 겸 부속병원장의 직무를 보좌 또는 대행하거나 임차인을 추천할 권한 등이 있었으며, 그 직위에 있으면서 원심피고인 송경호로부터 그가 위 부속병원의 부대시설운영권을 인수하는 데 우선적으로 추천해 달라는 청탁을 받고 그 사례비 명목으로 두 차례에 걸쳐 합계금 3,000만 원을 받았다면 이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해 사회상규 또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는 부정한 청탁을 받고 사례비명목으로 금원을 받은 것이 되어 배임수재죄를 구성한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배임수재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주장은 결국 원심의 전권인 사실의 인정과 증거의 취사를 전제로 이와 다른 견해에서 원심의 판단을 탓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한다. 내세우는 당원의 판결은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주장은 이유 없다. 2. 피고인 C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인용의 제1심판결이 든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범죄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원심은 피고인에 대하여 아직 확정되지 아니한 판시 두 사건을 병합하면서 그 두 죄가 형법 제37조 전단의 경합범관계에 있음을 이유로 1개의 형으로 처단하기 위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판시와 같이 판단한 것이므로 항소이유에 대하여 일일이 판단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판단유탈의 위법이 있었다고 할 수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인 C에 대하여는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학교 편입학 비리, 업무방해죄와 배임수재죄는 어떻게 적용될까?

대학교 교수가 편입학 부정 청탁과 함께 돈을 받았지만, 편입학 업무 담당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배임수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 대학교 자체는 업무방해죄의 피해자가 될 수 없으며, 편입학 업무는 총장, 성적 평가 업무는 담당 교수의 업무라는 점도 확인.

#편입학#부정청탁#금품수수#배임수재죄

형사판례

다른 대학교 교수에게 돈 주고 논문 써달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

다른 대학교 대학원생의 논문 작성을 도와주고 돈을 받은 교수는, 그 대학원생의 지도교수가 아니므로 배임수재죄로 처벌할 수 없다.

#배임수재죄#대학원생#논문#금품수수

형사판례

학교 운영권 양도와 돈, 죄가 될까? - 배임수재죄 논란 정리

학교법인 운영권을 돈을 받고 넘기는 행위 자체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순히 운영권을 양도하고 대가를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배임수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학교 운영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배임수재죄가 성립할 수 있다.

#학교법인 운영권#양도 대가#배임수재죄#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대학원생 논문 대필, 교수는 몰랐다? 배임수재죄 방조범 판결 이야기

다른 대학 교수가 대학원생들의 논문을 대필해 주고 돈을 받은 사건에서, 대학원생들이 직접 돈을 건넨 경우 지도교수의 배임수재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 단, 지도교수가 그 돈을 일부라도 받았다는 증거가 있다면 배임수재죄가 성립할 수 있다.

#논문대필#배임수재죄#지도교수#대법원

형사판례

대학교수의 교재 채택과 배임수증죄

대학교수가 특정 출판사의 교재를 채택하는 대가로 출판사로부터 금품을 받으면 배임수증죄에 해당한다.

#대학교수#교재 채택#금품 수수#배임수증죄

형사판례

부정한 청탁, 뭐길래? 배임수재죄의 핵심 키워드!

돈이나 이익을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사이에 '부정한 청탁'이 있어야 배임수재죄가 성립합니다. '부정한 청탁'은 사회상규나 신의성실에 반하는 내용이면 충분하며, 업무상 배임까지 이를 필요는 없습니다.

#배임수재죄#부정한 청탁#사회상규#신의성실